6월 27일 약발 끝났다? 후속 대책 지연 이유 총정리!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부동산 시장 동향 요약 (중학생 눈높이)
서울 아파트 가격, 아직도 뜨거워!
- 서울 아파트 가격이 지난주보다 조금 더 올랐어. (0.12% → 0.14%)
- 이 정도면 아직도 집값이 많이 오르는 '과열' 상태라고 볼 수 있어.
- 작년 6월 말에는 집값이 훨씬 더 많이 올랐었는데, 지금은 그때보다는 조금 안정된 것처럼 보이지만, 그래도 여전히 높은 편이야.
전국적으로는?
- 서울 빼고 다른 수도권 지역도 조금씩 올랐고, 전국적으로는 아주 조금 올랐어.
- 지방은 오히려 집값이 조금씩 내리고 있는 곳도 있어.
- 전세는 비교적 안정적인 편인데, 집주인들이 세입자들이 안 나가게 하려고 전세금을 많이 안 올리거나, 5%만 올리는 경우가 많아서 전세 매물이 잘 안 나오고 있어.
어떤 지역이 제일 많이 올랐을까?
- 서울:
- 송파구가 이번에 제일 많이 올랐어. (0.4%대)
- 서초, 강남, 용산 같은 비싼 동네들도 계속 오르고 있고,
- 마포, 강동, 양천 같은 곳도 집값이 많이 올랐어.
- 결국 서울에서는 돈 많은 사람들이 사는 동네랑, 재개발 등으로 집값이 오를 만한 곳들이 더 뜨거운 거지.
- 경기도:
- 과천, 성남 분당, 판교 같은 곳이 엄청 뜨거워. (0.25% ~ 0.47%)
- 특히 성남 분당은 집값이 거의 1년에 60%씩 오르는 것처럼 분위기가 좋았대.
- 안양 동안 (평촌)도 재건축 기대감 때문에 집값이 오르고 있고,
- 수원 영통 (광교)도 다시 집값이 회복되고 있어.
- 광명도 재개발 때문에 집값이 오르고 있고, 하남도 이번에 많이 올랐어.
- 고양, 김포, 파주 같은 곳은 오히려 집값이 계속 내리고 있어.
- 결론적으로 경기도도 서울처럼 돈 많은 사람들이 사는 동네나, 재개발/재건축으로 집값이 오를 만한 곳들만 뜨거운 거야.
왜 이렇게 집값이 오르는 걸까?
- 정부에서 집값 잡으려고 대출 규제 같은 정책을 냈지만, '똘똘한 한 채' (좋은 집 한 채만 가지고 있으면 된다는 생각)를 사려는 사람들이 많아서 지방에서도 돈 있는 사람들이 서울로 집을 사러 오는 경우가 많아.
- 또 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것도 아직은 가능해서 이런 현상이 계속되는 것 같아.
앞으로 어떻게 될까?
- 정부에서 집값 안정을 위해 새로운 대책을 곧 발표할 예정인데, 아직 어떤 내용인지 정확히는 몰라.
- 집을 얼마나, 언제, 어떻게 공급할지, 재건축/재개발은 어떻게 할지, 전세 대출은 어떻게 할지 이런 것들을 지켜봐야 해.
- 최근에 주식 시장 규제가 강화되면서 사람들이 다시 부동산에 관심을 돌리는 것 같다는 분석도 있어.
- 부동산 시장을 안정시키려면 구조적인 문제들을 해결해야 하는데, 이게 쉽지 않다고 해.
결론적으로, 지금 부동산 시장은 서울과 경기도의 일부 지역만 뜨겁고, 특히 좋은 동네나 재개발/재건축이 있는 곳들이 더 오르고 있다는 거야. 정부의 다음 대책이 어떻게 나올지, 그리고 그 대책이 시장을 안정시킬 수 있을지가 중요해 보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