끌어당김은 왜 이렇게 말이 바뀌는 거 같을까? [T의 의지]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 오늘 영상은 소위티 성향 사람들을 위한 이야기예요.
- 끌어당김과 마음 공부에 관심 많은 분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어요.
- 저는 티 성향이 강한 사람들을 이성의 벽이 높은 사람이라고 부릅니다.
- 이성의 벽이 높으면 끌어당김이 모순처럼 느껴질 수 있어요.
- 처음엔 끌어당김이 기분 좋아서 쉽게 되지만, 깊이 공부하면 찜찜함이 생겨요.
- 찜찜함 때문에 원하는 현실이 안 나타나거나, 나쁜 일이 생기면 믿음이 흔들릴 수 있어요.
- 그래서 끌어당김에 대한 반감이 생기기도 해요.
- 그래도 이쪽 길을 포기하기 아까우니, ENTJ 석건남이 설명해 드릴게요.
- 질문은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어요.
- 첫째, 행복을 느끼면 행복한 현실이 오는 건가요? 아니면 불행도 같이 오나요?
- 둘째, 슬픔이 깊어지면 자연스럽게 기쁨이 오는 건가요?
- 셋째, 감사하면 감사한 일이 생기는데, 이게 균형력과 충돌하는 건가요?
- 저는 이 질문들에 대해 어느 정도 답을 찾았어요.
- 제 영상은 이 질문들을 바탕으로 만들어졌어요.
- 끌어당김과 카르마의 상충점도 참고하세요.
- 저는 여러분과 함께 고민하며 배우는 영혼이에요.
- 오늘 말씀들은 하나의 관점일 뿐이니 참고만 하세요.
- 너무 어렵거나 부정적이면 무시하셔도 좋아요.
- 이제 본론으로 들어갈게요.
- 첫 질문: 긍정적 상상만 하면 균형력은 어떻게 되나요?
- 결론은, 긍정만 선택하면 자연스럽게 균형이 맞춰져요.
- 균형력은 중요도에 따라 작용해요.
- 중요도가 높으면 반작용이 생기기 쉽죠.
- 긍정적 상상은 차원 이동 후 목표로 가는 과정이에요.
- 중요한 건, 중요도가 높으면 반작용이 온다는 거예요.
- 그래서 간절하지 말고 중요도를 낮추라고 해요.
- 어떤 분들은 이미 이루어졌다고 느끼겠죠.
- 간절함은 여러 단계로 나뉘어요.
- 첫째, 결핍 간절함은 포기와 집착을 만들어요.
- 둘째, 몰입형 간절함은 루틴과 몰입으로 해소돼요.
- 셋째, 내맡기기형은 중요도를 내려 실현 가능성을 높여요.
- 영혼 소명형은 우주와 영혼이 협력하는 단계예요.
- 감정 균형은 우리가 조절하는 게 아니에요.
- 자연이 알아서 맞춰준다는 개념입니다.
- 빛과 어둠은 항상 함께 생기지만, 굳이 어둠이 될 필요는 없어요.
- 중요도만 낮추면 무한 긍정을 발사해도 돼요.
- 두 번째 질문: 슬픔이 깊어지면 기쁨이 오나요?
- 자연스럽게 반대 방향 포텐셜이 작용해요.
- 슬픔이 깊어지면 기쁨이 올 준비를 하는 거죠.
- 하지만 엔트로피 법칙상, 무질서는 자연스럽게 늘어요.
- 슬픔이 계속되면 기쁨 아이템이 생기지만, 못 잡을 수도 있어요.
- 긍정도 깊어지면 부정이 오는 건 아니에요.
- 긍정은 자연스럽게 흐트러지기 쉽습니다.
- 기쁨 유지하려면 의식적 조율이 필요해요.
- 슬픔이 깊어지면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낙심할 수 있어요.
- 기쁨은 계속 조율해야 유지돼요.
- 감정은 자동이 아니고, 유지하려면 노력해야 해요.
- 뜨거운 물에 담그면 식듯이, 감정도 계속 관리해야 해요.
- 세 번째 질문: 감사하면 감사한 일이 생기는데, 자연은 균형 맞춰서 불만족이 오나요?
- 네, 맞아요. 중요한 건, 자연은 균형을 맞춰요.
- 너무 감사하면 불만족이 올 수도 있어요.
- 하지만 이건 자연스러운 과정이에요.
- 빛과 어둠은 항상 같이 생기니까요.
- 중요한 건, 중요도를 낮추면 무한 긍정도 가능하다는 거예요.
- 이 영상은 함께 생각하며 배우는 공간이에요.
- 자신만의 철학을 찾는 게 중요하죠.
- 오늘 이야기들이 도움이 되길 바라요.
- 감사합니다. 사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