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유튜브 영상의 자막과 AI요약을 추출해보세요

AI 채팅

BETA

순간의 실수! 작업자의 끼임 재해 안전[산업안전보건교육]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순간의 실수, 끼임 재해 안전하게 막아요!

이번 시간에는 작업 중에 몸이나 신체 일부가 기계에 끼어서 다치는 '끼임 재해'에 대해 알아볼 거야. 끼임 재해는 전체 재해의 약 40%나 차지할 정도로 정말 흔하고 위험한 사고니까, 어떻게 하면 이걸 막을 수 있는지 꼭 알아두자!

1. 끼임 재해, 이게 뭐예요?

끼임 재해는 기계가 움직이는 부분 사이나, 움직이는 부분과 고정된 부분 사이에 몸이나 몸의 일부가 끼거나, 말려 들어가서 다치는 사고를 말해. 예전에는 '협착'이라고도 불렀어.

끼임 재해의 주요 유형:

  • 컨베이어 끼임: 컨베이어 벨트와 롤러 사이에 끼는 사고.
  • 리프트 끼임: 리프트 안에서 이동하다가 리프트 문이나 벽 사이에 끼는 사고.
  • 동력 전달부 끼임: 기계의 동력을 전달하는 벨트, 체인, 기어 등에 끼는 사고.

끼임 위험의 종류:

  • 협착: 움직이는 부분과 멈춰있는 부분 사이에 끼는 것 (예: 프레스 금형 사이)
  • 낌: 멈춰있는 부분과 돌아가는 부분 사이에 끼는 것 (예: 풀리와 고정 베드 사이)
  • 절단: 돌아가는 기계 부품 자체에 베이는 것 (예: 드릴 날, 밀링 커터)
  • 눌림 (울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아가는 두 개의 회전체에 말려 들어가는 것 (예: 롤러)
  • 접선 눌림: 돌아가는 부분에 접선 방향으로 말려 들어가는 것 (예: 풀리와 벨트 사이)

2. 끼임 재해 사례와 예방법

① 컨베이어 끼임 사고

  • 사고 내용: 컨베이어 벨트 아래에서 흙이나 얼음을 치우다가 벨트와 드럼 사이에 끼어서 사망.
  • 위험 포인트:
    • 컨베이어 아래에서 청소하거나 이물질 제거할 때.
    • 컨베이어를 고치거나 점검할 때.
    • 컨베이어 주변을 지나다닐 때.
  • 안전 작업 방법:
    • 끼임 위험이 있는 곳에는 덮개나 울타리를 꼭 설치하기.
    • 컨베이어 전체에 비상 정지 버튼 설치하기.
    • 컨베이어가 저절로 움직이지 않도록 잠금 장치 설치하기.
    • 컨베이어를 고치거나 청소할 때는 반드시 기계를 멈추고 작업하기.

② 리프트 끼임 사고

  • 사고 내용: 리프트 안에서 작업하다가 다른 사람이 실수로 리프트를 움직여서 끼임 사고 발생. 또는 리프트 문과 벽 사이에 끼어서 사망.
  • 위험 포인트:
    • 리프트 안에서 이동할 때 리프트와 벽 사이에 끼는 것.
    • 리프트 아래 구덩이에서 작업할 때 내려오는 리프트와 바닥 사이에 끼는 것.
  • 안전 작업 방법:
    • 리프트 문과 출입구에 안전 장치 설치하기.
    • 리프트 문이 열려 있으면 리프트가 움직이지 않도록 연동 장치 설치하고, 절대 해제하지 않기.
    • 작업자가 리프트에 타는 것 금지하기.
    • 리프트 조작 버튼은 리프트 밖에 설치하기.

③ 동력 전달부 끼임 사고

  • 사고 내용: 벨트 장력을 조절하려고 덮개를 열고 작업하다가 회전하는 축에 옷 소매가 말려 들어가 사망.
  • 위험 포인트:
    • 동력 전달 부위나 돌아가는 축에 몸이 말리는 것.
    • 기계를 고치거나 점검할 때 전원을 끄지 않고 작업하는 것.
  • 안전 작업 방법:
    • 동력 전달 부위와 돌아가는 축에는 반드시 덮개 설치하기.
    • 돌출된 나사나 핀 등은 튀어나오지 않도록 매끈하게 처리하기.

④ 사출성형기 끼임 사고

  • 사고 내용: 금형 사이에 들어가서 부품을 빼내려다 안전 문이 닫히면서 금형 사이에 끼어서 사망.
  • 위험 포인트:
    • 금형 안이나 주변에서 부품이나 이물질을 빼낼 때.
    • 금형을 설치하거나 조정할 때.
    • 기계를 고치거나 점검할 때 전원을 끄지 않고 작업하는 것.
  • 안전 작업 방법:
    • 안전 문과 기계 작동을 연동시키는 장치 설치하기.
    • 큰 사출성형기는 안전 문이 저절로 닫히지 않도록 발판 같은 것을 설치하기.
    • 안전 문 연동 장치를 임의로 해제하지 말고, 자주 점검하기.
    • 기계를 고치거나 점검할 때는 '수리 중'이라는 표시를 꼭 하기.

⑤ 선반 끼임 사고

  • 사고 내용: 선반에서 작업하다가 장갑이 돌아가는 부품에 말려 들어가 사망. 또는 팔이 회전 부위에 말려 들어가 사망.
  • 위험 포인트:
    • 돌아가는 부품에 몸이나 옷이 말리는 것.
    • 선반 부품이나 작업물에 옷, 장갑, 팔 등이 걸리는 것.
  • 안전 작업 방법:
    • 작업할 때는 손에 딱 맞는 가죽 장갑 외에 헐렁한 면장갑 등은 착용하지 않기.
    • 연마 작업은 전용 도구를 사용하기.
    • 기계에서 튀어나오는 칩을 막는 장치나 칩을 잘게 부수는 장치 설치하기.
    • 비상 시 바로 멈출 수 있는 브레이크 설치하기.

3. 끼임 재해 다발 작업 예방 대책

① 동력 전달부 점검 및 수리 작업

  • 사고 원인:
    • 끼임 위험 부위에 덮개나 울타리를 설치하지 않음.
    • 덮개나 울타리를 열어놓고 다시 닫지 않음.
    • 기계가 돌아가는 중에 점검이나 수리 작업함.
  • 예방 대책:
    • 끼임 위험 부위에 튼튼한 덮개나 울타리 설치하기.
    • 덮개나 울타리를 열었으면 반드시 다시 잘 닫기.
    • 점검이나 수리 작업 시에는 반드시 기계를 멈추고, '수리 중' 표시하기.
    • 덮개나 울타리를 열면 기계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되도록 연동 장치 설치하기.

② 운반 설비 취급 작업

  • 사고 원인:
    • 무리하게 운반 설비 운전해서 벽이나 기계 사이에 끼임.
    • 경사면에 세워놓고 미끄럼 방지 조치 안 함.
    • 작업장이 지저분해서 운반 설비 운전하기 어려움.
    • 운전자가 앞뒤를 잘 못 봄.
    • 지게차 등에 안전 벨트 미설치.
  • 예방 대책:
    • 자격 있는 사람만 운반 설비 운전하기.
    • 평평한 곳에 세우고 미끄럼 방지 조치하기.
    • 작업장 정리정돈 철저히 하기.
    • 운반 차량에 후사경, 후진 경보기 등 안전 장치 잘 유지하기.
    • 무리하게 짐 싣지 않기.
    • 지게차에 안전 벨트 설치하기.

③ 일반용 리프트 및 화물용 승강기 작업

  • 사고 원인:
    • 리프트 문 미설치.
    • 리프트 문이나 안전 장치 미설치 또는 고장.
    • 리프트 안에 탄 채로 운전함.
  • 예방 대책:
    • 리프트 문과 출입문에 안전 장치 설치하고, 리프트가 정 위치에 왔을 때만 문이 열리도록 연동하기.
    • 리프트 문이 닫혀야만 리프트가 움직이도록 하기.
    • 리프트 조작 버튼은 리프트 밖에 설치하기 (단, 인화성 물질을 옮기는 리프트는 안에 설치 가능).
    • 리프트 통로에 함부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울타리 설치하기.

④ 대형 설비 내부 작업

  • 사고 원인:
    • 안전 장치 미설치 또는 고장.
    • 덮개나 문 미설치.
    • 기계가 돌아가는 중에 점검이나 수리 작업함.
  • 예방 대책:
    • 안전 장치 설치 및 기능 유지하기.
    • 덮개나 문 설치하기.
    • 점검이나 수리 작업 시에는 반드시 기계를 멈추고, '수리 중' 표시하기.
    • 덮개나 문을 열면 기계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되도록 연동 장치 설치하기.

⑤ 공작기계 가공 작업

  • 사고 원인:
    • 기계가 돌아가는 중에 점검이나 수리 작업함.
    • 선반에서 연마 작업 등 원래 용도 외로 사용함.
    • 안전 장치 미설치 또는 고장.
  • 예방 대책:
    • 기계에서 튀어나오는 칩을 제거할 때는 전용 도구 사용하기.
    • 선반에서 연마 작업 금지하기.
    • 점검이나 수리 작업 시에는 반드시 기계를 멈추고, '수리 중' 표시하기.
    • 기계에 맞는 안전 장치 설치 및 기능 유지하기.

4. 끼임 재해 예방 관련 법규

법으로도 끼임 재해를 막기 위한 여러 가지 규칙이 정해져 있어.

  • 위험한 부분은 덮개나 울타리로 막아야 해. (원동기, 회전축, 기어, 벨트 등)
  • 돌출된 나사나 핀은 튀어나오지 않게 하거나 덮개를 씌워야 해.
  • 벨트 이음 부분에 튀어나온 고정구 사용 금지.
  • 기계 점검, 수리, 청소 등 작업 시에는 반드시 기계를 멈추고, 다른 사람이 작동시키지 못하도록 잠금 장치나 표지판 설치하기.
  • 안전 장치는 임의로 해체하거나 사용을 정지하면 안 돼. (수리, 조정, 교체 시 제외)
  • 작업복이나 머리카락이 말릴 수 있는 기계 작업 시에는 작업모나 작업복 착용하기.
  • 손이 말려 들어갈 위험이 있는 장갑 착용 금지. (가죽 장갑처럼 손에 잘 맞는 장갑 사용)
  • 프레스 등 위험한 기계는 작업자의 몸이 위험한 곳에 들어가지 않도록 덮개 등 안전 조치 필수.
  • 크레인 작업 시에는 충돌 방지 조치 및 안전 공간 확보하기.
  • 크레인 통로와 벽 사이 간격 유지하기.

이번 시간에 배운 내용을 잘 기억해서, 작업할 때 항상 안전하게! 순간의 실수가 큰 사고로 이어지지 않도록 조심하자!

최근 검색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