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경제신문 30분 만에 읽기 | 20250812🌞#모닝루틴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8월 12일 화요일 경제 뉴스 요약 (중학생 눈높이)
1. 신용 사면: 빚 갚으면 연체 기록 지워준다!
- 뭐야? 빚을 좀 연체했더라도, 올해 말까지 5천만 원 이하 빚을 다 갚으면 신용 점수에 남는 연체 기록을 지워주는 거야.
- 누가 혜택받아? 2020년 1월 1일부터 올해 8월 31일까지 5천만 원 이하로 연체했지만, 올해 말까지 다 갚는 사람들이 대상이야. 약 52만 명 정도가 해당될 수 있어.
- 왜 해? 코로나 때문에 힘들었던 사람들을 다시 한번 도와주려는 거야.
- 좋은 점: 신용 점수가 올라서 카드 발급이나 대출받을 때 유리해질 수 있어.
- 걱정되는 점: 빚을 안 갚아도 된다는 생각(도덕적 해이)을 부추길 수 있고, 누가 빚을 잘 갚고 누가 안 갚았는지 구분이 어려워져서 금융 시스템이 약해질 수 있다는 의견도 있어.
2. 금 투자: 금을 은행에 맡기고 이자도 받자!
- 뭐야? 하나은행에서 금을 맡기면 연 1.5% 이자를 주는 상품을 출시했어.
- 왜 좋아? 집에 금을 쌓아두면 이자가 안 나오는데, 이 상품은 금을 안전하게 보관하면서 이자까지 받을 수 있어.
- 어떻게 해? 24K 순금으로 최소 100g부터 가입할 수 있고, 이자는 현금이나 금으로 받을 수 있어.
- 금값은? 어제 국제 금값이 2% 넘게 떨어졌는데, 이건 미국이 골드바에 관세를 매긴다는 소문이 돌았다가 트럼프 대통령이 아니라고 해서 떨어진 거야.
3. 원화 스테이블 코인: 비트코인처럼 쓰려면 준비가 필요해!
- 뭐야? 원화로 만든 스테이블 코인(가격이 안정된 암호화폐)을 만들려면, 돈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시스템이 먼저 필요하다는 거야.
- 어떤 시스템? 미국처럼 단기 국채 같은 안전 자산으로 준비금을 쌓아두는 건데, 우리나라는 이런 단기 국채 시장이 아직 발달하지 않았어.
- 왜 필요해? 사람들이 갑자기 돈을 돌려달라고 할 때, 바로 돈으로 바꿔줄 수 있어야 코인이 안전하다고 믿을 수 있으니까.
- 어려운 점: 우리나라 국채 시장은 중장기물 위주라 단기 국채 시장을 키우려면 법도 바꿔야 하고, 발행액이 늘어나는 것처럼 보여서 정치적으로 부담될 수도 있대.
4. 비트코인: 하버드대도 투자 시작!
- 뭐야? 하버드대학교가 1,600억 원 규모의 비트코인 ETF에 투자했다는 소식이야. 미국 대학 기금이 암호화폐에 투자한 첫 사례라 주목받고 있어.
- 왜 투자해? 미국 대학들은 돈이 엄청 많아서, 예전에는 주식, 채권에만 투자했지만 요즘은 부동산, 헤지펀드 같은 다른 투자(대체 투자) 비중을 늘리고 있어. 비트코인도 이런 새로운 투자처 중 하나로 보는 거지.
- 대체 투자의 단점: 돈이 필요할 때 바로 팔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는데, 이런 점 때문에 대학 기금 수익률도 예전보다 떨어지고 있다는 분석도 있어.
5. 엔비디아 & AMD: 중국에 AI 칩 팔고 미국 정부에 돈도 준다고?
- 뭐야? 엔비디아와 AMD가 중국에 AI 칩을 팔 수 있게 됐는데, 대신 중국 판매 매출의 15%를 미국 정부에 주기로 했대.
- 왜 이런 일이? 미국 정부가 중국에 AI 칩을 팔 수 있게 해주는 대신, 매출 일부를 가져가는 건 전례가 없는 일이야. 미국 정부가 돈을 벌려는 건지, 아니면 다른 이유가 있는 건지 지켜봐야 할 것 같아.
- 중국 반응은? 중국에서는 엔비디아 칩에 문제가 있다고 비난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어.
6. 마이크론 & 인텔: 반도체 회사 소식
- 마이크론: 앞으로 매출과 이익이 더 좋아질 거라고 예상치를 높였어. 특히 HBM(고대역폭 메모리) 판매가 잘 되고 있대.
- 인텔: 트럼프 대통령이 인텔 CEO를 만나서 이야기를 나눴는데, 트럼프 대통령이 인텔에 대한 태도를 좀 누그러뜨린 것 같아. 앞으로 인텔이 뭔가 투자를 발표할 수도 있다는 전망이 있어.
7. 해운업계: 미국 관세 폭탄 피하는 방법
- 현대글로비스: 미국 관세 영향을 덜 받는 유럽, 아시아 노선을 늘리고, 현대/기아차 외 다른 회사(특히 중국 전기차) 물량을 많이 받아서 사상 최대 실적을 냈어.
- 팬오션: LNG 선박을 늘려서 LNG 사업으로 돈을 많이 벌었어.
- HMM: 컨테이너선에 너무 의존해서 실적이 좀 안 좋은 편이야. 그래서 앞으로 벌크선(원자재 운반선) 비중을 늘릴 계획이야.
8. 디지털 치료제: 게임처럼 뇌 질환 치료한다!
- 뭐야? 게임처럼 즐기면서 치매, 파킨슨병, 자폐 같은 뇌 질환을 치료하는 새로운 방식의 치료제야.
- 어떻게 해? 스마트폰 앱이나 VR 기기를 이용해서 치료하는데, 의사 처방이 있어야 사용할 수 있어.
- 왜 좋아? 부작용이 적고, 약물 치료와 함께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 시장 전망: 앞으로 시장이 엄청 커질 거라고 예상돼.
9. 국내 증시: 2차전지, 리튬 관련주 강세!
- 코스피: 2차전지, 리튬 관련주들이 많이 올랐어. 중국에서 리튬 생산을 중단했다는 소식이 호재로 작용했기 때문이야.
- 코스닥: 마찬가지로 2차전지 관련주들이 강세를 보였고, 엔터주들도 분위기가 좋았어.
- KT: 영업이익이 두 배로 늘어서 처음으로 1조 원을 돌파했는데, 이건 부동산 개발 이익 때문이라서 앞으로는 예전 수준으로 돌아갈 가능성이 있어.
- 메디톡스: 실적이 예상보다 안 좋아서 주가가 많이 떨어졌어.
- 나라셀라: 와인 수입 업체인데, 와인 판매가 부진해서 안동 소주 사업에 도전한다고 해.
10. 화장품 업계: K뷰티, 프랑스도 경계!
- 달바, 한국콜마: 실적이 예상보다 안 좋아서 주가가 크게 떨어졌어.
- K뷰티: 한국 화장품이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으면서 프랑스에서도 경계하는 분위기야. 한국 화장품이 뷰티 시장의 새로운 분야까지 장악할까 봐 우려하고 있어.
11. S24: 또 해킹 사고 발생!
- 뭐야? 우리나라 최대 인터넷 서점인 S24가 두 달 만에 또 랜섬웨어 해킹 시도로 서비스를 중단했어.
- 문제점: 지난번 해킹 때 해커에게 비트코인을 주고 문제를 해결했는데, 이것 때문에 다른 해커들에게 '해킹 맛집'으로 찍혀서 앞으로도 계속 공격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어.
12. 뉴욕 증시: 미국 물가 지표 발표 기다리는 중
- 미국 증시: 어제는 3대 지수 모두 하락했어. 오늘 밤에 발표될 미국의 소비자 물가 지표(CPI)를 기다리면서 투자자들이 조심하는 분위기야.
- 미국-중국 관세: 미국과 중국이 관세 전쟁을 90일 더 연장하기로 했지만, 반도체나 의약품에 대한 관세 발표가 변수가 될 수 있어.
- 테슬라: 일론 머스크가 슈퍼컴퓨터 '도조' 팀을 해체했다고 공식 발표했어.
- 스트라티지: 비트코인 보유량이 많은 회사인데, 비트코인 가격 상승 소식에 주가가 올랐어.
13. 경제 지수 퀴즈: SCFI, BDI는 뭘까?
- 정답: 해상 운임 지수야!
- SCFI: 상하이에서 출발하는 컨테이너선 운임 지수
- BDI: 벌크선 운임 지수
- 왜 중요해? 해운업계가 얼마나 잘 돌아가는지, 경기가 어떤지 알 수 있는 중요한 지표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