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용 태양광 3kW 2년 사용 후기! 4kW 추가 설치 비용과 전기요금 절감 비법은?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태양광 설치 후기 요약 (중학생 눈높이)
안녕하세요! 오늘은 태양광 패널을 2년 넘게 써본 후기를 솔직하게 이야기해 줄게. 태양광이 뭔지, 어떻게 설치하는지, 돈은 얼마나 드는지, 그리고 누가 얼마나 설치하면 좋을지까지 싹 다 알려줄 테니 이 영상 하나만 보면 태양광 설치 고민 끝!
1. 우리 집 태양광 설치 현황
- 처음 설치: 3kW 태양광 패널 (2년 2개월 사용)
- 추가 설치: 4kW 태양광 패널 (최근에 추가)
2. 설치 비용은 얼마? (정부 지원 꿀팁!)
- 정부 지원: 보통 지자체 50% + 정부 30% = 총 80% 지원
- 원래 비용: 90만 원 ~ 100만 원 정도 (3kW 기준)
- 현실: 정부 지원 신청하면 너무 오래 걸려! (1년 이상 대기하는 사람도 많음)
- 우리가 한 방법: 지자체 지원 50%만 받고 빨리 설치! (약 200만 원 지불)
- 결론: 기다리지 않고 빨리 설치하는 게 이득일 때도 있어!
3. 태양광 설치 전 우리 집 전기 사용량
- 냉장고: 2대
- 컴퓨터: 2대 (하루 12~15시간 사용)
- 모니터: 5대
- 인덕션: 사용
- 전기 온수 보일러: 사용 (이게 전기세 폭탄의 주범!)
설치 전 전기세:
- 겨울: 15만 원 ~ 18만 원 (온수 보일러 때문에!)
- 여름: 9만 원 ~ 11만 원 (에어컨 때문에)
4. 태양광 설치 후 전기세는 얼마나 줄었을까?
3kW 설치 후:
- 겨울: 8만 원 ~ 9만 원 (거의 반값!)
- 여름: 6만 원 ~ 8만 원 (확 줄었어!)
왜 이렇게 줄었을까?
- 발전량 증가: 태양광으로 전기를 만들어서 사용하니까.
- 누진세 구간 하락: 원래 전기 많이 써서 누진세 4단계까지 갔는데, 2단계나 1단계로 떨어졌어. 누진세는 단계가 올라갈수록 전기 요금이 2배, 4배씩 뛰거든!
4kW 추가 설치 후:
- 전기세: 거의 안 나와! (기본 요금 정도만 나옴)
- 결론: 사실상 전기 요금 0원!
온수 보일러 사용 꿀팁!
- 봄, 여름, 가을에는 가스비, 기름값 전혀 안 들어!
- 겨울에도 전기 온수 보일러 때문에 전기세가 조금 더 나오긴 하지만, 샤워하는 데는 따로 돈이 안 들어.
- 1년 에너지 요금: 40만 원 ~ 55만 원 정도면 난방까지 해결! (기름 보일러 쓸 때보다 훨씬 싸!)
5. 태양광 설치, 언제 어떻게 해야 할까?
- 정보 얻는 법: 연초/연말 정부 홍보, 마을 이장님, 읍면동사무소에 문의! (직접 물어보는 게 제일 좋아)
- 신청 시기: 보통 2월~3월에 많이 신청해.
- 가장 먼저 할 일: 정부 지원 3kW 무조건 신청!
- 설치 비용 (최근): 120만 원 정도 (인건비, 자재값 때문에 조금 올랐어)
- 설치 장소: 남향 자리, 지붕 (경량 철골조 제외)
- 핵심: 전기 요금이 3만 원 이상 나온다면 무조건 3kW 설치해! 손해 볼 일 없어.
6. 추가 설치, 언제 고민해야 할까?
- 전기 요금이 8만 원 이상 나온다면: 추가로 3kW 설치를 추천!
- 가스 보일러 사용 중이라면: 태양광 설치하고 전기 온수 보일러로 바꾸는 걸 추천!
- 가스비 절약 + 건강에도 좋아 (가스에서 나오는 유해 물질 감소)
- 겨울 난방비, 여름 온수비까지 해결!
7. 태양광 설치 시 주의할 점
- 업체 선정: 가격 비교 꼼꼼히! (같은 3kW도 200만 원 이상 차이 날 수 있음)
- 패널 종류: 중국산 vs 국산, 단면형 vs 양면형 (양면형이 발전량 더 좋음)
- 무조건 싸다고 좋은 게 아니야! 꼼꼼히 따져보고 믿을 수 있는 업체에 맡기자.
8. 태양광 발전량, 언제 가장 많을까?
- 의외로: 여름보다 날씨 변화 적은 봄, 가을에 발전량이 가장 많아.
- 여름: 장마로 흐린 날 많음.
- 겨울: 해 짧음.
- 3kW 기준: 한 달에 300~400kW 정도 생산하면 아주 좋은 거야!
9. 전기 요금 고지서 읽는 법 (어려운 용어 쉽게 설명!)
- 상계 처리: 내가 발전한 전기랑 한전에서 가져온 전기랑 서로 퉁치는 거.
- 잉여량: 태양광으로 발전했는데 내가 다 못 쓰고 남은 전기.
- 수전량: 야간이나 흐린 날 한전에서 가져온 전기.
- 상계: 잉여량이랑 수전량이랑 퉁치는 거.
- 월월 잉여량: 퉁치고도 남은 전기. 다음 달로 넘겨서 쓸 수 있어. (전기 요금 적립!)
"발전량은 많은데 왜 고지서에 안 찍히지?"
- 낮에 태양광으로 발전하는 동안 우리 집에서 바로 전기를 써. (냉장고, 컴퓨터 등)
- 그래서 한전으로 보내는 전기가 적어 보이는 거야.
- 한전 고지서에는 우리가 얼마나 썼는지가 아니라, 얼마나 한전에서 가져왔는지만 기록돼.
"전기세가 0원인데 왜 돈이 나와?"
- 기본 요금: 1,000원 (전기 쓰든 안 쓰든 나옴)
- 전력 기금: 3,000원 ~ 4,000원 (유지보수 비용)
- 부가가치세 (VAT): 10% (한전에서 가져온 전기 요금에 붙는 세금)
- 이건 상계 처리가 안 돼! 그래서 발전량이 많아도 야간에 전기를 좀 쓰면 요금이 조금 나와.
10. 그래서 나는 태양광을 얼마나 설치해야 할까?
- 전기 요금 3만 원 이상 나온다면: 무조건 3kW 설치!
- 전기 요금 8만 원 이상 나온다면: 추가로 3kW 설치 고려! (총 6kW)
- 특히 가스 보일러 쓰는 집은 전기 온수 보일러로 바꾸면 가스비, 난방비 절약 효과 톡톡!
마지막으로:
- 정부 지원으로 설치할 때는 시청에서 주는 업체 리스트를 활용하면 안전해.
- 추가 설치할 때는 믿을 수 있는 업체인지 꼼꼼하게 알아보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어! 구독과 좋아요, 댓글 많이 남겨주면 더 좋은 영상으로 돌아올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