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유튜브 영상의 자막과 AI요약을 추출해보세요

AI 요약 제목

싱가포르 부자유치 비법과 세금·정부 운영 전략 정리

원본 제목

1465. 내가 가본 최고의 나라, 싱가포르!

할 수 있다! 알고 투자

조회수 조회수 215 좋아요 좋아요 23 게시일 게시일

설명

자막

자막

전체 자막 보기
네, 오늘은 제가 싱가포에 와 있는데요.

어, 저는 좋은 나라가 어떤 나라냐라고 물어보면은 어, 부자들이 많이 들어오는 나라고 생각을 합니다.

아무래도 부자들이 기업을 만들고 일자리를 창출하고 혁신을 만들고 새로운 상품과 서비스를 만들고 RNG를 하기 때문에 어, 그 나라가 부유해질 수밖에 없는 거거든요.

자, 그런데 아시아에서 전통적으로 한국과 중국은 부자가 도망가는 나라인이고요.

그들이 어디로 가는가 하면은 이쪽 싱가폴로 많이 옵니다.

서양 부자들은 도망가면 유럽에서 도망가 가지고 두바이로 많이 오고요.

그리고 동양 부자들은 싱가폴로 많이 오는데 왜 그런가 그거를 좀 살펴보겠습니다.

자, 그럼이 나라가 도대체 왜 부자들한테 이기가 많은가 설명을 좀 어 드리겠습니다.

일단 부자가 제일 싫어하는게 뭐야? 세금이랑 국가 간섭이잖아요.

자, 근데이 나라 같은 경우는 어, 법인세가 맥시멈 17%이고요.

그리고 법인이 벌어드린 돈을 배당을 한다 그러면 그거는 비과세이고 그리고 상속세도 없습니다.

자, 그리고 대부분 부자들은 노동으로 소득을 버는게 아니라 보통은 자본 소득이 많잖아요.

근데 그 자본 소득세도 거의 다 제로예요.

우와.

그니까 내가 주식을 투자한다.

채권을 투자한다.

돈을 벌었다.

비과세.

예.

예.

네.

바로 이런 나라입니다.

네.

이러니까 부자들이 사랑할 수밖에 없는 거죠.

그래서 자연스럽게 동양 부자들이 싱가포로 쫙 다 몰려오고 있고 심지어 동양 부자들뿐만이 아니라 서양 부자들도 많이 오고 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개인 소득세가 높은 것도 아닙니다.

최고 세율이 22%이고요.

여기서 한 1억 정도 연봉이 나온다라고 하면은 세금을내는게 한 5% 정도이고 외국인들은 사대보험 가입 의무도 없습니다.

그러나 물론 의료 보험이 필요하기 때문에 사보험 같은 데는 가입을 좀 해야겠죠.

그리고 정말 큰 돈이 들어온다.

내가 200억이 넘어 가지고 패밀리 오피스를 세운다 할 경우에는 보통은 이제 법인이 투자를 하면은 17% 법인세를 내야 되는데 패밀리 오피스로 한다라고 하면은 그러면은 그 자본 소득에 대해서 세금을 또 안 내거나 매우 적게 내게 됩니다.

그러니까 부자들이 오마이갓 싱가포 할 수밖에 없다니까.

네.

저도 싱가포에 와서 싱가포 공부를 많이 했는데 제가 진짜 깜짝 놀랬던 거는이 나라가 정부 예산이 흑자라는 겁니다.

아니 정부 예산이 흑자인 나라가 있었어? 난 정부의사는 무조건 적자해야 된 줄 알았거든요.

그게 아니더라고요.

근데이 나라가 세율도 낮은 편이고 복지도 엄청 괜찮고 인프라도 훌륭한데 도대체 그게 어떻게 가능한가 분석을 좀 해 봤더니만 일단이 사람들이 투자를 굉장히 잘합니다.

국보 펀드 GIC가 있고 테마스이라는 기업이 있고요.

중앙도 외화를 굴리고 있는데 그 수익 투자 수익으로 정부 예산은 20에서 25%를 될 수 있다고 하네요.

그리고 아마 들어보셨겠지만 싱가포 공무원들이 급여도 굉장히 많은 대신에 근데 절대로 부정 부패를 허용하지 않습니다.

그니까 뭐 뇌물 버었다면 작살 나는 거예요.

그래서 가장 스마트한 사람들이 공무원이 돼 가지고 국가를 꾸린다고 하네요.

네.

그래서 쓸데 없는 낭비가 별로 없습니다.

한국 같은 경우는 맨날 적자인데 여기는 공기업들이 사기업들과 똑같이 운영이 됩니다.

이익을 목표로 하고 있고 직원 인센티브도 실적에 따라서 주고 있고 그리고 정부가이 공기업들을 그 운영하는데 거의 개입을 안 한다라고 합니다.

네.

그래서 실제로 공기업들이 상장도 많이 되어 있고 이제 월드 클래스 기업들이 상당히 많이 있죠.

블루 중에서 공기업들이 상당히 많이 있습니다.

그래서 오히려 그 공기업들이 국가 예산을 잡아먹는게 아니라 오히려 국가 예산의 보탬이 된다라고 하더라고요.

정말 어메이징한 나라입니다.

이 나라는 참 배울게 많은데 하나씩 같이 살펴보시죠.

근데 뭐이 나라가 사실 뭐 정부 기관이 뛰어나서 잘렸다라기보다는 그 정부 기관에 뛰어난 사람들을 안친 겁니다.

사실 뭐 시스템이 나라를 만드는게 아니라 사람이 나라를 만드는 거잖아요.

그리고 싱가포 같은 경우는 과감하게 부족한 인력은 다 해외에서 데려옵니다.

그래서 지금 싱가포르의 노동자 중에 40% 이상이 해외에서 왔거든요.

그래서 여기는 그 노동 정책도 굉장히 자유롭고 이제 하이어와 파이어가 자유롭게 가능하고 취업 비자로 상대적으로 빨리 나오는 편이고요.

네.

그 대신에 일자리를 잃는다 하면은 당장 싱가포에서 나가야 되는 그런 시스템입니다.

이런 식으로 해서 실험 유력이 2% 미만이고요.

그래서 거의 완전 고용 어입니다.

네.

그리고 굉장히 중요한 거는이 나라는 공영어가네 개가 있는데 영화가 어디서도 다 통한다라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겠죠.

여기 정말 대충 보면은 별리별 인간들이 다 있거든요.

뭐 한중일, 동남아 쪽, 말레이시아, 인도 쪽, 백인들 아주 가지각색으로 있는데이 모든 사람들이 어 뛰어나게 이제 본인 자리에서 지금 일을 하고 어 있겠죠.

그래서이 나라가 잘 돌아가는 것 같습니다.

공무원들도 굉장히 유능하고 여기 오는 어 그 직원들, 노동자들 일하는 사람들도 다 엘리트들이 굉장히 많을 테니까요.

이게 정말 잘 돌아가는 나라가 아닌가 싶습니다.

네.

저도 자산 배분하는 사람으로서 싱가포 국부 펀드가 어디 투자하는지 굉장히 궁금해졌어요.

그래서 찾아봤거든요.

그러니까 32%는 채권과 현금을 한다고 하고요.

어 그리고 한 48% 정도는 주식형 자산 그중에서 한 18%는 비상장 기업 스타트업 이런데 투자를 하고요.

17%는 개도국 주식.

그리고 12에서 13%는 선진국 주식에 투자를 하고 13%는 부동산 그리고 7% 정도는 물가 연동 채권에 투자를 한다라고 합니다.

물론 이게 퍼펙트 자산 배분이다라고 말할 순 없지만 상당히 훌륭한 자산 배분이다.

우리가 한번 따라하고 연구해 볼 만하다.

그거 하나는 확실합니다.

그리고 싱가포의 통화 정책도 굉장히 특이합니다.

원중 같은 경우는 금리를 올렸다가 내렸다가 올렸다가 내렸다가 이렇게 하면서 어 인플레이션을 막잖아요.

근데 싱가포는 환율 조작을 합니다.

한마디로 어 인플레이션이 너무 세네라고 하면은 싱가포 달러를 이렇게 올려 버려요.

그러면은 수입 가격이 자연스럽게 떨어지기 때문에 물가 상승이 감소한다.

뭐 이런 얘기입니다.

어, 또 반대로 어, 이제 환율을 낮춰 가지고 수출 업자를 지원하고 어, 물가 상승이 별로 없다 하면은 수입 가격이 좀 올라도 상관없다.

뭐 이런 식이거든요.

이게 되나라고 했는데 최근 몇 십년 동안에 싱가포의 물가 상승률이 연평균 1.

9%밖에 안 돼요.

그래서 미국이나 유럽 이런 나라보다도 인플레이션이 훨씬 더 어 적습니다.

그래서 어, 금리로 어, 그 인플레이션을 조정하는게 아니라 환율 조작을 통해서 인플레이션 조작하는 거.

아, 이런 것도 가능하구나.

이런 거를 제가 여기 와서 배우게 되었죠.

[음악] 오 [박수] [음악] [박수] [음악] 몰라도 뭐 그것도 없어.

[음악] [박수] [음악] 몰라도로 [음악] [음악] เ [음악] [음악] 싱가포가 또 특이한게 뭐냐 하면은 교통 체이 거의 없습니다.

일단 차값이 엄청 비싸고요.

그리고 어 차 운용권을 또 사야 되는데 그게 1억 정도 한다고 하고 그거를 또 10년에 한번 갱신을 해야 된대요.

그러니까 정말 부자 아니면은 차를 운전을 할 수가 없거든요.

네.

그래서 교통 체증이 출퇴근 시간에도 거의 안 보이더라고요.

그 이렇게 쭉 보면은 네.

맞습니다.

차가 별로 썩 많이 보이지는 않죠.

네.

그리고 놀라운게 뭐냐면은 또 제가 여기 지금 온지 거의 3, 4일는데 쓰레기를 찾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러니까 너무너무 깨끗해 가지고 어 그 제가 길거리를 돌아다니고 견드리도 가는데도 쓰레기가 안 보여요.

그래서 3일 4일 동안에 쓰레기를 찾는 거를 실패했습니다.

데 이렇게 깨끗하게 진짜 처음 봤어.

이런 것도 굉장히 놀랍습니다.

어떻게 이게 유지가 가능한지.

자, 싱가포르는 분명히 부자들이 오는데 굉장히 좋은 나라입니다.

자, 그런데 부자들이 많으면은 빈부 격차가 발생할 수밖에 없어요.

자본주 국가는 무조건 빈부 격차가 있게 되어 있고 그게 나쁜 것도 아닙니다.

모든 사람이 똑같으면은 그러면은 동기 부여가 하나도 안 생기잖아.

자, 근데 중요한 거는 빈부 격차가 생기고 좀 이제 가난한 사람들, 서민들이 그럭저럭 잘 살 수 있나 이게 중요한 거죠.

왜냐면은 빈부 격차가 너무 커져 가지고 이제 빈 세력들이 정말 밥도 못 먹는다 하면 폭동이 막 나고 좋을 리가 없잖아요.

그래서 싱가포도 고민을 많이 한 것 같아요.

여기는 놀라운 거는 90%가 자기 집이 있습니다.

와우.

한국 50% 정도밖에 안 되잖아요.

그렇죠? 네.

그리고 교통이 상당히 좋고 교육 인프라가 뛰어나고 의료 인프라가 뛰어나고 연금 시스템도 되게 잘 돼 있습니다.

이거 이제 어떻게 하냐면요.

여기 CPF라는 기관이 있는데 거기에 싱가포 사람들은 강제 저축을 해야 돼요.

그리고 강제 저축한 그 돈을 국가가 국보 펀드를 통해서 불려주고 그리고 그 국민들한테는 이자를 지급합니다.

그 이자도 각각 좀 다른데 2.

5에서 6% 정도 나온다라고 하네요.

그리고 그 돈을 가지고 싱가포 국민들은 나중에 연금으로 쓰는 경우도 있고 일부는 여기서 의료 보험 쪽으로 빠지고요.

그리고 부동산 살 때도 어 본인이 넣을 쓸 수가 있는데 여기서 중요한 포인트는 뭐냐 하면은 한국 구민형 같은 경우는 어 내가 넣은 거와 상관없이 어 내가 받는게 좀 이제 거의 비슷하잖아요.

근데 여기는 그니까 내 돈을 내 계좌에 넣는 겁니다.

그러니까 내가 CPF에 돈을 더 많이 넣었으면은 내가 나중에 거기서 끌어서 쓸 수 있는 돈이 훨씬 더 많은 거고 그리고 내가 적게 쓰 넣었으면은 적게 쓰는 거죠.

건부 다 개인이 CPF의 계좌가 있고 거기에다가 강지 저축을 하는 거기 때문에 만족도가 높습니다.

왜냐면은 내가 넣은만큼 쓸 수 있는 거기 때문요.

때문이니까요.

굉장히 자본주의적인 어 룰이죠.

아무튼 그 CPF를 통해 가지고 여기는 그 연금도 잘 돼 있고 이제 의료 시스템도 잘 돼 있고 부동산 살 때도 좋고 그래서 그 국민 90%가 집이 있고요.

그래서 여기가 사실 독재 국가인데도 불구하고 만족도가 굉장히 높은 것 같습니다.

뭐 선거가 있기는 있는데 늘 똑같은 당에 계속 직권을 하고 있거든요.

이관유 그리고 기관유 아들 뭐 이렇게 하는데 사실 이게 국가라는게 민주주의가 중요한게 아니라 사람들이 잘 먹고 잘 사나 이게 중요한 거잖아요.

그리고 그거는 싱가포가 확실히 이루고 있는 거 같습니다.

그래서 국민들의 만족도가 굉장히 높은 거죠.

그래서 부자들도 오기가 굉장히 좋은 땅이고 서민들도 살기 나쁘지 않고이 절묘한 균형을 아주 잘 맞췄다라고 볼 수가 있습니다.

어 그래서 저는 솔직히 말해서 싱가포와 사랑에 빠졌습니다.

[음악] 예.

그리고 또 싱가포는 정부, 기업, 그리고 노동자 사이가 굉장히 좋은 편입니다.

최근 몇십년 동안에 파업이 딱 두 번밖에 없었대요.

싱가포르에서.

네.

그리고 예를 들면 1980년대 경제가 좀 어려웠을 때 그 정부, 기업 그리고 노동 쪽이 합의를 해 가지고 급여을 막 12% 깎고 막 그랬는데 노동자들이 그걸 받아들였다라고 합니다.

그 대신에 물론 몇 년 후에 정가 경제가 다시 좋아졌을 때 그거를 다시 메워 줬죠.

네.

그리고 전반적으로이 여기 싱가포는 하이어와 파이어가 상당히 자유로운 편이고요.

네.

노동 시장이 굉장히 유연한 편입니다.

그래 가지고 오히려 그 하이어링 하기가 굉장히 쉽죠.

왜냐면 아 얘가 아니다 하면 빨리 자를 수가 있기 때문에.

그리고 직원 입장에서도 딱 들어갔는데이 회사 아닌 거 같아 그러면은 여기 나오고 빨리 다른 데로 취업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그런 것도 상당히 좋은 것 같습니다.

이제 한국 같은 경우가 어 노동 정책이 굉장히 좀 유연하지 않은 편이죠.

이런 것도 좀 본받았으면 굉장히 좋을 것 같습니다.

이제 슬슬 싱가포르를 떠나고 다시 한국으로 들어가야 되는데 어 확실한 거는 싱가포르는 세상에서 가장 잘 운영되는 나라 그거는 확실한 것 같습니다.

아니 정부가 흑자를 내다니 헐 어 그리고 부자들 오기적게 세금도 낮은 편이고 사업 환경도 엄청 좋고요.

자본에게 굉장히 프렌도 갖고 있고 그렇다고 해서 서민들이 못 사는 것도 아니고 서민들도 집도 있고 교육도 받고 의료 시스템도 좋고 연금도 받고 어 정말 모든 거를 다 이론 나란과 같아 가지고 저는이 나라가 상당히 어 부러웠습니다.

진짜 저 여기서 와서 살고 싶네요.

여기 이제 너무 좋았습니다.

아 이제 또 공학으로 가야겠네요.

에휴.

아, 참 구독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실어를 들으시면 제가 매우 싫어합니다.

영상 정리

영상 정리

1. 오늘 싱가포르에 왔어요.

2. 좋은 나라의 조건은 부자들이 많이 오는 거예요.

3. 부자들은 기업을 만들고 일자리를 창출하죠.

4. 그래서 나라가 부유해지는 거예요.

5. 한국과 중국은 부자가 도망가는 나라예요.

6. 부자들은 싱가포르로 많이 옵니다.

7. 서양 부자들은 유럽이나 두바이로 가고요.

8. 동양 부자들은 싱가포르를 선호해요.

9. 왜 부자들이 싱가포르를 좋아할까요?

10. 세금과 국가 간섭이 적기 때문이에요.

11. 법인세는 최대 17%이고 비과세도 많아요.

12. 상속세도 없고 자본 소득세도 거의 제로예요.

13. 그래서 부자들이 사랑하는 나라죠.

14. 동양과 서양 부자들이 몰려오고 있어요.

15. 개인 소득세도 최고 22%로 낮아요.

16. 외국인도 사대보험 의무가 없어요.

17. 200억 넘는 부자들은 법인세 혜택이 있어요.

18. 싱가포르 정부가 흑자를 내는 게 놀라워요.

19. 세율이 낮아도 복지와 인프라도 좋아요.

20. 정부 수익은 주로 투자 수익에서 나와요.

21. 공무원들은 급여도 높고 부패도 없어요.

22. 공무원들이 나라를 잘 이끌고 있어요.

23. 공기업들도 이익을 내며 운영돼요.

24. 정부 시스템보다 뛰어난 인재들이 일해요.

25. 싱가포르는 해외 인력을 적극 데려와요.

26. 노동자 중 40% 이상이 해외 출신이에요.

27. 자유로운 취업과 해고가 가능해요.

28. 거의 완전 고용 상태입니다.

29. 공용어가 하나라서 소통이 좋아요.

30. 다양한 인종과 문화가 공존해요.

31. 정부가 잘 운영돼서 나라가 잘 돌아가요.

32. 정부 예산이 흑자인 것도 대단해요.

33. 국보 펀드와 외화 투자로 수익을 내요.

34. 싱가포르 공무원들은 정직하고 엄격해요.

35. 낭비 없이 효율적으로 나라를 운영해요.

36. 공기업들이 오히려 나라에 도움을 줘요.

37. 인재를 해외에서 적극 데려오는 정책도 좋아요.

38. 싱가포르는 인력 정책도 매우 유연해요.

39. 노동시장도 매우 유연하고 자유로워요.

40. 싱가포르는 부자와 서민 모두 잘 사는 나라예요.

41. 90%가 자기 집을 가지고 있어요.

42. 국민 복지와 인프라도 최고예요.

43. 국민 만족도가 매우 높아요.

44. 국민들이 잘 먹고 잘 살게 만든 나라예요.

45. 싱가포르의 자산 배분도 훌륭해요.

46. 채권, 주식, 부동산 등에 고르게 투자해요.

47. 환율 조작으로 인플레이션도 조절해요.

48. 최근 물가 상승률이 매우 낮아요.

49. 교통이 매우 발달했고 차값도 비싸요.

50. 차 운전권도 비싸고 갱신도 해야 해요.

51. 교통 체증은 거의 없어요.

52. 길거리도 매우 깨끗하고 정돈돼 있어요.

53. 쓰레기도 거의 찾기 힘들 정도예요.

54. 부자들이 많아도 빈부 격차는 적어요.

55. 대부분이 자기 집을 가지고 살고 있어요.

56. 교육, 의료, 연금 시스템도 잘 갖춰졌어요.

57. CPF라는 강제 저축 제도도 있어요.

58. 국민들은 저축한 돈으로 연금과 의료를 이용해요.

59. 저축한 만큼 쓸 수 있어서 만족도가 높아요.

60. 국민 만족도가 매우 높고, 정부도 안정적이에요.

61. 정치도 안정적이고, 국민들이 잘 살고 있어요.

62. 정부, 기업, 노동자 모두 협력적이에요.

63. 파업도 거의 없고, 유연한 노동시장입니다.

64. 한국보다 노동 정책이 훨씬 유연하죠.

65. 싱가포르는 정말 잘 운영되는 나라예요.

66. 정부가 흑자를 내고, 부자 세금도 낮아요.

67. 서민들도 집과 의료, 교육 모두 좋아요.

68. 저는 싱가포르가 정말 부럽고 좋아요.

69. 여기서 살고 싶을 정도예요.

70. 앞으로 더 배울 점이 많다고 느꼈어요.

71. 구독과 좋아요도 부탁드릴게요.

최근 검색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