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유튜브 영상의 자막과 AI요약을 추출해보세요

AI 요약 제목

건물주가 리모델링 하는 진짜 이유와 세금 절감 비법

원본 제목

건물주가 리모델링에 돈 쓰는 진짜 이유

짤짤이

조회수 조회수 275.2K 좋아요 좋아요 2.7K 게시일 게시일

설명

자막

자막

전체 자막 보기
건물주가 리모델링하는 이후 친구형이 건물주인데 어느 날 갑자기 건물 외료 바꾸고 화장실 복도까지 싹 리모델링함.

형 건물 자면 돌도 있는데 굳이 리모델링을 왜해? 아 감가 생가 끝나서 그래.

그게 무슨 말이냐고 물어봤더니 설명해 줌.

세법상 건물 자체는 시간이 지날수록 가치가 떨어진다고 봄.

그래서 매년 일정 금액을 비용 처리할 수 있는데 이걸 감가 삼각이라고 함.

예를 들어 건물 가치가 10억이고 연간 감가 상각률이 3%라면 매년 3천만 원을 세금 계산할 때 비용으로 처리할 수 있음.

근데 문제는 이게 언제까지나 가능한게 아니라는 거임.

보통 20에서 40년에 감가 삼각 기간이 지나면 비용 처리할 수 있는 여지가 사라지는데 건물은 여전히 유지비 들고 나기도 하는데 세금을 줄일 수단이 사라지는 거임.

그래서 건물을 리모델링하고 자산 가치를 다시 높힘.

리모델링에 사용한 비용은 건물 자산으로 잡히고 다시 새롭게 감가 삼각 처리 가능함.

건물주 입장에선 세금도 줄이고 건물 가치도 올리고 월세 인상의 여지도 생기고 일석 3조 효과임.

영상 정리

영상 정리

1. 친구가 건물 외벽과 복도를 리모델링했어요.

2. 형은 건물에 돌이 있는데 왜 리모델링하냐고 물었어요.

3. 형은 감가상각이 끝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어요.

4. 세법상 건물 가치는 시간이 지나면 떨어진다고 해요.

5. 그래서 매년 일정 금액을 비용으로 처리할 수 있어요.

6. 이걸 감가상각이라고 부른답니다.

7. 예를 들어, 건물 가치가 10억이고 감가상각률이 3%면 매년 3천만 원을 비용으로 처리해요.

8. 하지만 감가상각은 영구적이지 않아요.

9. 보통 20~40년 후에는 더 이상 비용 처리 못해요.

10. 건물 유지비는 계속 들지만 세금 혜택은 사라지는 거죠.

11. 그래서 건물을 리모델링해서 자산 가치를 높였어요.

12. 리모델링 비용은 새 자산으로 잡혀요.

13. 다시 감가상각이 가능해지죠.

14. 이렇게 하면 세금도 줄이고 건물 가치도 올릴 수 있어요.

15. 월세 인상 기회도 생기니 일석이조랍니다.

최근 검색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