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세청도 모르는 3억 현금 증여 비법, 아들에게 합법 증여하는 방법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자녀에게 세금 없이 돈 주는 법 (중학생 눈높이)
1. 자녀에게 3억까지 세금 없이 줄 수 있다고?
- 결론부터 말하면, 가능해! 세무사님 말로는 3억까지는 세금 없이 줄 수 있는 방법이 있대. 엄청 큰 돈이지?
2. '3366'으로 1억 8천만원 만들기!
- 아기가 태어나면 바로 증여 시작!
- 태어나자마자 부모님한테 2천만원까지는 세금 없이 받을 수 있어.
- 이모, 고모, 삼촌 같은 다른 친척한테도 1천만원까지 받을 수 있어. 그럼 아기 때 3천만원!
- 10년마다 또!
- 증여는 10년에 한 번씩 공제받을 수 있거든.
- 11살 때 또 3천만원, 21살 때 또 3천만원... 이렇게 31살까지 꾸준히 받으면 총 1억 8천만원을 세금 없이 줄 수 있대.
- 친척이 여러 명이어도?
- 이모, 고모가 여러 명이어도, 한 명한테 받는 게 아니라 여러 명한테 합쳐서 1천만원까지 받을 수 있어.
- 서로 조카한테 돈 주고받는 식으로 해도 괜찮다고 하네. (단, 진짜 주고받는 것처럼 해야 해!)
- 자녀가 여러 명이면?
- 자녀가 여러 명이어도 똑같이 적용되니까, 1억 8천만원씩 줄 수 있어.
3. 군대 월급 + 국가 지원금으로 3천만원 더!
- 군대 월급도 쏠쏠해! 요즘 군대 월급이 많이 올랐잖아. 병장 월급이 한 달에 150만원 정도 된대.
- 국가가 1:1로 지원해 준다고?
- 군대에서 적금을 들면, 국가에서 똑같은 금액을 더 넣어준대. 최대 1천만원까지!
- 이렇게 하면 군대에서만 3천만원을 벌 수 있대.
- PX 용돈은 증여 아니야?
- 군대 월급은 열심히 번 돈이고, PX 용돈은 부모님이 주는 거잖아. 이건 증여로 안 본대. (단, 너무 많이 주면 의심받을 수도 있으니 조심!)
4. 축하금으로 3천만원 더! (기록이 중요!)
- 기념일에 받는 돈은 세금 없어!
- 취업, 생일, 졸업, 명절 세뱃돈 등 축하금은 세금이 안 붙는대.
- 단, 이런 돈을 받을 때마다 통장에 잘 기록해 둬야 해.
- 얼마까지 괜찮을까?
- 너무 많이 받으면 의심받을 수 있으니, 적당한 금액 (예: 세뱃돈 20만원 정도)이 좋다고 하네.
- 물가 상승률도 생각해서 적절하게 주는 게 좋겠지?
- 꾸준히 모으면 3천만원!
- 이렇게 축하금을 꾸준히 모으고 기록해두면 3천만원 정도는 세금 없이 모을 수 있대.
5. 총 2억 4천만원! 3억까지는 어떻게?
- 지금까지 모은 돈이 2억 4천만원이잖아. 3억까지는 어떻게 할까?
- 이자까지 붙으면 3억 이상!
- 이 돈을 자녀 통장에 잘 넣어두고, 주식이나 펀드 같은 곳에 투자하면 이자까지 붙어서 3억 이상이 될 수도 있대. 부모님이 잘 지도해주면 더 좋겠지?
6. 돈을 더 주고 싶다면? (2억 추가!)
- 집 살 때 5억이 필요하다면?
- 자녀가 집을 살 때 5억이 필요하다고 하면, 앞에서 모은 3억에 2억이 더 필요하잖아.
- 차용증 쓰고 빌려주기!
- 2억 정도는 차용증을 쓰고 빌려주는 것도 방법이야. 이자를 안 받아도 되는 금액이 있거든.
- 진짜 돈 빌린 것처럼!
- 단, 진짜 돈 빌린 것처럼 원금이라도 꾸준히 갚아야 세무서에서 인정해준대.
7. 코인이나 주식으로 증여하면? (조심해야 해!)
- 국세청은 다 알아! 코인이나 주식을 자녀에게 넘겨주는 것도 증여야.
- 추적 프로그램이 있어! 국세청은 가상자산 지갑까지 추적할 수 있대.
- 걸리면 가산세 폭탄! 세금 신고 안 하고 몰래 주면 가산세를 내야 할 수도 있어.
8. 현금으로 주는 건 괜찮을까? (위험해!)
- 현금으로 몰래 주면?
- 세금 안 내려고 현금으로 몰래 주는 건 위험해. 금융기관에서 다 보고될 수 있거든.
- 쪼개서 주거나 쓰거나!
- 현금을 쪼개서 주거나, 그냥 써버리는 게 오히려 덜 위험할 수도 있대. (하지만 이것도 의심받을 수 있으니 조심!)
- 반복적인 출금은 의심받아!
- 계속 현금을 인출하면 세무 조사 나올 때 의심받을 수 있어. 돈이 어디서 왔는지 소명해야 하거든.
9. 카드 주는 건 괜찮을까? (조심해야 해!)
- 부모님 카드로 생활비 지원?
- 자녀가 소득이 있어도 부모님 카드로 생활비를 주는 건 증여로 볼 수 있대.
- 사용 내역을 보고 판단해!
- 어떤 업종에서 카드를 썼는지 보면 세무서에서 알 수 있거든.
10. 교육비 지원은 괜찮을까? (부모님만!)
- 할아버지, 할머니가 교육비 내주면?
- 부모님이 있는데 할아버지, 할머니가 손주 교육비를 내주면 증여로 볼 수 있대.
- 부양 의무자는 부모님!
- 교육비를 내줘야 할 의무는 부모님한테 있는 거거든.
- 결론은?
- 결혼해서 직장도 다니는 자녀에게는 부모님이나 조부모님이 직접 돈을 주는 것보다, 자녀 스스로 해결하도록 하는 게 안전해.
핵심 정리:
- 자녀에게 세금 없이 돈을 주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기록을 잘 남기고 합법적인 테두리 안에서 해야 해.
- 현금으로 몰래 주거나, 카드 사용 내역이 의심스러운 경우는 조심해야 해.
- 세금 관련 내용은 계속 바뀔 수 있으니,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가장 좋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