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중서의 유학 부활! 한무제를 사로잡은 음양오행의 비밀은?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중국 최초 제국 진나라부터 한나라까지, 유학이 국가 이념이 된 이야기
1. 진나라의 짧은 역사와 초한대전
- 중국 최초로 통일된 나라, 진나라는 겨우 15년 만에 망했어.
- 진나라가 망하고 나서는 초나라의 항우와 한나라의 유방이 싸우는 초한대전이 벌어졌지.
- 결국 한나라의 유방이 이겨서 새로운 나라를 세웠어.
2. 한 고조 유방의 리더십
- 기원전 202년, 유방은 한나라를 세우고 황제가 되었어.
- 유방은 이렇게 말했대: "나는 똑똑한 신하들처럼 책략을 쓰거나, 행정을 잘하거나, 군사를 잘 이끌지는 못해. 하지만 나는 능력 있는 사람들을 제대로 쓸 줄 알지. 반면에 항우는 자기 곁에 있는 똑똑한 사람 하나도 제대로 쓰지 못했어. 이게 내가 천하를 얻고 항우가 얻지 못한 이유야."
3. 진나라의 유산과 한나라의 변화
- 진시황의 나라는 금방 사라졌지만, 이후 다른 나라들이 본받을 만한 점이 많았어.
- 한나라는 진나라의 황제라는 이름과 통치 방식을 그대로 이어받았지.
- 진나라는 법가라는 사상을 중심으로 나라를 통일하려고 했는데, 너무 엄격해서 부작용이 많았어.
- 그래서 한나라는 유가 사상을 중심으로 나라를 다스리려고 했지.
4. 한 무제의 유학 채택
- 한나라의 전성기는 한 무제 때라고 할 수 있어.
- 처음에는 노장사상을 기반으로 한 황로학이 유행했어.
- 하지만 한 무제는 동중서라는 사람의 말에 따라 유학을 나라의 중요한 사상으로 삼았어.
- 왜냐하면 진나라가 법가를 써보고 나서 너무 엄격하면 문제가 생긴다는 걸 알았기 때문이야.
- 유학은 사람들의 마음속 도덕성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예의를 지키는 질서를 추구했어. 법가보다는 좀 더 부드럽게 나라를 다스릴 수 있었지.
5. 동중서와 유학의 만남
- 동중서는 음양오행설과 유학을 합쳐서 생각했어.
- 그는 하늘의 변화와 사람들의 삶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했지. 이걸 천인감응설이라고 해.
- 예를 들어, 날씨가 변하는 것처럼 사람들의 마음도 변하고, 나라의 정치도 하늘의 변화와 관련이 있다고 본 거야.
- 동중서는 또 춘추라는 역사책을 중요하게 생각했어. 춘추는 공자가 쓴 책인데, 사실대로 기록하고 옳고 그름을 분명히 하려고 노력한 책이야.
- 동중서는 춘추를 통해 나라를 하나로 통일하고 태평성대를 이루자는 대일통 사상을 주장했어.
6. 유학의 국가 이념화
- 동중서 덕분에 유학은 한나라의 중요한 사상이 되었고, 이후 오랫동안 나라를 다스리는 데 영향을 끼쳤어.
- 동중서는 하늘과 사람은 서로 닮았다고 생각했고, 그래서 사람이 우주에서 가장 귀한 존재라고 여겼지.
- 천인감응설은 나중에 미신으로 비판받기도 했지만, 유학자들 사이에서는 계속 이어져서 왕이 잘못하면 하늘이 벌을 내린다는 식으로 정치에 반영되기도 했어.
7. 앞으로 살펴볼 내용
- 이제 유학이 나라의 중요한 사상이 되었으니, 앞으로 노장사상이나 불교가 유학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살펴보는 것도 재미있을 거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