넛지와 팩트풀니스, 꼭 읽어야 할 행동경제학 베스트 책 추천!
우리 뇌의 두 가지 생각 시스템: 도마뱀 vs. 현자
왜 똑똑한 사람들은 같은 옷만 입을까?
스티브 잡스나 마크 주커버그처럼 똑똑한 사람들은 왜 맨날 똑같은 옷만 입을까? 그건 바로 결정할 때 에너지를 아끼기 위해서야. 매일 옷 고르는 데 머리 쓰기보다 중요한 일에 에너지를 집중하려는 거지.
1000만원 vs. 한 달 뒤 2000만원?
만약 내가 너에게 지금 당장 1000만원을 주거나, 아니면 한 달 뒤에 2000만원을 줄게. 단, 한 달 뒤 2000만원은 80% 확률로 받을 수 있고, 20% 확률로는 아예 못 받을 수도 있어. 뭘 선택할래?
대부분의 사람들은 지금 당장 1000만원을 선택했대. 하지만 계산해보면 한 달 뒤 2000만원을 기다리는 게 더 합리적이지. 이건 '경제학'이라는 학문에서 말하는 합리적인 선택이야.
하지만 우리는 늘 합리적이지 않아!
여기서 등장하는 사람이 바로 대니얼 카너먼이라는 심리학자야. 이 사람은 심리학자인데도 노벨 경제학상을 받았어. 왜냐하면 사람들이 늘 합리적이지 않고, 편향된 생각을 한다는 걸 증명했거든. 이걸 행동 경제학이라고 해.
우리 뇌에는 두 가지 시스템이 있어!
카너먼은 우리 뇌가 두 가지 시스템으로 작동한다고 설명해.
- 시스템 1 (도마뱀 뇌): 이건 무의식적이고 본능적인 생각이야. 우리가 생각 없이 습관적으로 하는 행동들이지. 예를 들어, 길을 가다가 익숙한 사람을 보면 반갑게 인사하는 거. 이건 우리 생각의 80%를 차지한대.
- 시스템 2 (현자 뇌): 이건 의식적이고 이성적인 생각이야. 복잡한 계산을 하거나, 새로운 정보를 분석할 때 사용되지. 예를 들어, 15 곱하기 23 같은 계산 말이야. 이건 우리 생각의 20%를 차지해.
왜 우리는 도마뱀 뇌를 많이 쓸까?
우리 뇌는 에너지를 아끼려고 해. 뇌는 우리 몸의 2%밖에 안 되지만, 에너지는 20%나 쓴대. 그래서 에너지를 절약하기 위해 시스템 1(도마뱀 뇌)을 주로 사용하고, 시스템 2(현자 뇌)는 꼭 필요할 때만 쓰는 거지. 마치 컴퓨터의 대기 모드처럼 말이야.
도마뱀 뇌의 함정: 편향!
문제는 시스템 1(도마뱀 뇌)이 체계적인 오류, 즉 편향을 일으킨다는 거야. 이건 실수로 한 번 잘못 생각하는 게 아니라, 늘 반복되는 오류 패턴이지. 카너먼은 이런 편향들을 연구해서 노벨상을 받았어.
카너먼이 말하는 편향들:
- 프레이밍 효과: 같은 내용이라도 어떻게 말하느냐에 따라 다르게 느껴지는 거야. 예를 들어, "사망 확률 20%"라고 말하는 것보다 "완치 확률 80%"라고 말하는 게 훨씬 긍정적으로 들리지?
- 앵커링 효과 (닻 내림 효과): 처음 접하는 정보에 닻을 내려서, 그 정보에 묶여 다른 판단을 하게 되는 거야.
- 헬로 효과: 첫인상이 좋으면 다른 것도 다 좋게 보이는 것. 반대로 첫인상이 나쁘면 다른 것도 다 나쁘게 보이지.
- 가격: 비싼 메뉴를 먼저 보면 나중에 나오는 메뉴들이 싸게 느껴지는 것처럼. 백화점에서 비싼 명품을 먼저 보면 다른 층의 물건들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느껴지는 것도 같은 원리야.
- 연봉 협상: 작년에 4200만원 받던 사람이 올해 4000만원 받으면 불만족스럽지만, 작년에 3600만원 받던 사람이 올해 3800만원 받으면 만족하는 것처럼. 처음 받은 금액이 '닻'이 되는 거지.
- 손실 회피: 사람들은 이익보다 손실에 훨씬 민감해. 두 배 정도 더 민감하다고 해. 그래서 우리는 손실을 피하려고 해.
- 매몰 비용의 오류: 이미 투자한 돈이 아까워서 계속 투자하는 것. 주식 투자에서 손해를 봐도 계속 하는 이유지.
- 마케팅: "이 혜택을 포기하시겠어요?"라며 해지를 망설이게 하는 것. 홈쇼핑에서 "이 기회를 놓치면 손해예요!"라고 강조하는 것도 손실 회피 심리를 이용하는 거야.
- 부정적인 예측: 미래에 대한 부정적인 예측이 더 잘 맞고 기억에 남는 이유도 손실 회피와 관련이 있어.
결론: 생각하고 또 생각하자!
시스템 1(도마뱀 뇌)은 우리에게 습관이나 좋은 반응을 주기도 하지만, 편향이라는 오류도 일으켜. 그래서 우리는 시스템 2(현자 뇌)를 더 많이 사용해야 해.
- 의식적으로 생각하는 연습을 많이 해야 해.
- 책을 많이 읽어서 새로운 정보를 많이 얻어야 시스템 2를 더 잘 활용할 수 있어.
이렇게 의식적인 사고를 통해 시스템 1의 오류를 줄이고, 좋은 습관으로 바꾸면 우리의 삶은 더 나아질 수 있을 거야. 결국, 끊임없이 생각하고 자신을 성찰하는 것이 중요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