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유튜브 영상의 자막과 AI요약을 추출해보세요

AI 채팅

BETA

컴공 전공자, 개발자 취업자 필수시청 영상 (feat.코딩 마스터들의 개발 이야기) | 버뮤다과학지대 Ep.3 | 허성범, 류석영 교수, LG유플러스 송주영 연구위원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개발 방식과 문화의 변화: 데브옵스(DevOps)와 미래 기술 이야기

1. 사람이 늘어나면 개발 속도가 빨라질까?

  • 이상적으로는: 사람이 늘어나면 개발 속도가 엄청나게 빨라져야 해.
  • 현실은: 오히려 사람이 너무 많아지면 싸우고 회의만 늘어나서 일이 더 느려지기도 해.

2. 데브옵스(DevOps)란 뭘까?

  • 간단히 말하면: 개발(Dev)과 운영(Ops)을 합쳐서, 개발과 운영을 동시에 하는 거야.
  • 더 자세히:
    • 문화: 사람들과 함께 일하는 방식이야.
    • 자동화: 반복적인 일은 컴퓨터가 하게 만드는 거야.
    • 측정: 뭘 잘하고 못하는지 데이터를 보고 파악하는 거야.
    • 공유: 좋은 아이디어나 문제점을 서로 나누는 거야.
    • 축적: 경험을 쌓아서 계속 발전시키는 거야.
  • 목표: 사람이 많아져도 개발 속도가 계속 빨라지게 만들어서 좋은 서비스를 만드는 거야.

3. 개발자들의 첫사랑: 처음 만들었던 프로그램

  • 류석 교수님: 대학원 때 로켓 발사 코드에서 발생한 오류를 잡기 위해 '정적 분석기'를 만들었던 경험. 코드를 이해하고 확장하는 과정이 힘들었지만 재미있었대.
  • 송정 연구원님: 학부 때 어셈블리어로 블랙잭 게임을 만들었던 경험. 컬러풀한 UI까지 만들 정도로 열정적이었고, 그때는 그런 게 정말 재미있었대.

4. 혁신적인 기술: 라지 랭귀지 모델 (LLM)

  • LLM의 중요성: 사람들이 컴퓨터와 소통하는 방식을 완전히 바꿨어. 자연어로 대화하듯 컴퓨터에게 명령할 수 있게 된 거지.
  • 충격: 사람들이 LLM을 이렇게 쉽게 받아들이고 활용하는 모습에 놀랐다고 해.

5. LG U+의 데브옵스 적용

  • 목표: 넷플릭스나 아마존처럼 최고의 기업을 따라가는 것.
  • 변화:
    • 1년에 4번 배포하던 것을 수십 번으로 늘렸어.
    • 가장 복잡한 정산 시스템의 절반 이상을 클라우드로 옮기고 마이크로 서비스로 나눴어.
    • 모든 코드를 '코드로서 관리(GitOps)'해서 누가 언제 무엇을 바꿨는지 정확히 추적할 수 있게 됐어.

6. 좋은 개발자가 되려면?

  • 호기심: "이게 왜 되지?", "안 되면 왜 안 되지?" 하고 궁금해하고 계속 찾아보는 자세가 중요해.
  • 문제 해결 자세: 주어진 문제를 제대로 해결하려는 마음가짐이 필요해.
  • 사회적 책임감: 내가 만드는 기술이 사람들과 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생각하고, 더 좋은 세상을 만드는 데 기여해야 해.

7. 개발의 미래

  • 소프트웨어가 세상을 주도: 이제 소프트웨어가 세상을 만들고 이끌어가는 시대야.
  • 책임감: 우리가 만드는 기술이 현실 세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항상 생각하고 책임감을 가져야 해.
  • 예술로 승화: 코드를 예술처럼 만들어서 세상을 이롭게 하는 개발자가 되자!

8. 국내 기업의 과제

  • SI 방식: 외주 업체에 개발이나 운영을 맡기는 방식은 서로 즐겁지 않은 일이었지만, 이제는 함께 성장하는 파트너로 생각해야 해.
  • 글로벌 경쟁: 국내 경쟁이 아니라 세계와 경쟁해야 하므로, 생태계 전체의 수준을 높여야 해.

최근 검색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