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도 법인차 탑니다. 전부 다 알려 드릴게요. | 김종석 대표 세무사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 법인차 구매 방법은 세 가지다. 취득, 리스, 렌탈이다.
- 법인차는 누가 탈지 먼저 정하는 게 중요하다.
- 대표가 타면 보험이 안전하고, 직원은 렌탈이 좋아.
- 5년 이상 탈 차는 구매, 5년 이하면 리스 또는 렌탈 추천.
- 리스는 5년 이후엔 명의 승계와 부가세 문제 고려해야 한다.
- 차량 가격은 부가세 포함 금액이 중요하다.
- 신차 가격은 부가세 빼면 8,800만 원까지 가능하다.
- 개인 차를 법인에 넘기면 절세 효과 있지만 세금도 고려해야 한다.
- 법인 차량 양도 시 취등록세와 부가세가 발생한다.
- 법인 차량은 중고차도 매입 가능하며 세금계산서 필수다.
- 법인차 관련 세금 공제는 차량 종류에 따라 다르다.
- 경차, 9인승 이상, 화물차는 부가세 공제 가능하다.
- 운행일지는 7천만 원 넘는 차량에만 쓰는 게 좋아.
- 임직원 전용 보험은 필수는 아니지만 추천한다.
- 9인승 이상 차량은 부가세 공제, 비용처리 빠르고 한도 없다.
- 법인 차량은 사업용으로 쓰는 게 전제다.
- 직원 차량은 렌탈, 대표 차량은 구매 또는 장기 사용 추천.
- 5년 이상 탈 차는 구매, 짧으면 리스 또는 렌탈이 좋아.
- 대출이 필요하면 리스보다 렌탈이 유리하다.
- 국산차는 렌탈, 외제차는 리스가 더 경제적일 수 있다.
- 차량 구매 시 세금, 보험, 부가세 등 복합 요소 고려해야 한다.
- 궁금하면 로드뎀 세무 법인에 상담 추천한다.
- 기존 영상도 참고하면 많은 도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