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이 주도하는 비트코인 시장, 새로운 안전자산은 이더리움?(오태민 교수 2부)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 옛날에는 비트코인 제도권 밖이었어요. 월가 세력들이 장난쳤죠.
- 지금은 제도화돼서 장난이 위험해졌어요. 감옥 갈 수 있거든요.
- 뉴스 반영이 빨라지고 변동성도 줄었어요. ETF 승인 덕분인 것 같아요.
- 이번 불장은 이전과 달라요. 기관 투자자가 많이 들어왔기 때문이죠.
- 기관들은 가격 오르면 익절, 내리면 사서 변동성 완화시켜요.
- 일부는 세력의 장난에 불과하다고 보는 시선도 있어요. 견해가 필요하죠.
- 답이 이미 정해진 질문도 있고, 열린 질문도 있어요.
- 예를 들면, 마이크로스트레이트가 팔면 폭락한다는 질문이죠. 답은 명확해요.
- 과거에는 월가가 작전으로 가격 조작했어요. 지금은 엄격히 처벌받죠.
- ETF 승인 후 세력들이 감옥 걱정하며 조심하는 모습입니다.
- 지금 상승은 글로벌 리스크 완화와 미래 기대감 때문이에요.
- 유일한 위험은 세계 경제 침체입니다. 급락하면 힘들겠죠.
- 하반기 변수는 해킹이나 사건들이에요. 시장은 늘 조심해야 해요.
- 최근 이더리움도 많이 올랐어요. 푸테린의 발언이 큰 영향을 줬어요.
- 이더리움은 사용성 강조, 가격이 오르면 수수료도 올라가요.
- 비탈릭 푸테린은 복잡한 시스템을 단순화하자고 선언했어요.
- 소각 규모가 커지면 희소성 높아지고 가격도 오를 수 있어요.
- 기관 투자자들도 이더리움에 관심을 갖고 있어요. ETF 유입이 늘고 있죠.
- 이더리움은 예측 가능성 높아지고 있어요. 기대감이 커지고 있죠.
- 이더리움은 20만 원대에 저평가됐다고 생각했어요.
- 최근 반등하며 강한 생태를 보여줬어요.
- 업그레이드와 네트워크 확장 기대도 크죠.
- 블록체인 시장은 기업 참여가 늘어나고 있어요.
- 기업 블록체인으로 가는 흐름이 강해지고 있어요.
- 이더리움은 다양한 자산을 기반으로 돌아갈 가능성이 높아요.
- 시장 변동성과 규제 불확실성은 투자 신중을 요구해요.
- 비트코인 투자는 어렵고 조정도 많아요.
- 조급하게 투자하지 말고 조정 때 들어가는 게 좋아요.
- 사토시 나가모터는 지금 상황을 어떻게 볼까요?
- 그는 지정학적 게임보다는 신뢰성 확보를 원했어요.
- 비트코인은 미국의 강력한 소프트파워가 되고 있어요.
- 중국이 비트코인을 제도화했더라면 미국이 자산을 잃었을지도 몰라요.
- 중국은 불법화하고 미국은 수용하며 경쟁했어요.
- 비트코인은 미국 자산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습니다.
- 여기까지 오태민 교수와 함께했습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