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유튜브 영상의 자막과 AI요약을 추출해보세요

AI 채팅

BETA

MBTI 기능 완벽 가이드: 주기능부터 열등 기능까지 쉽게 찾는 법!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MBTI 정신 기능 위계, 쉽게 알아보자! (4단계)

MBTI에서 각 기능이 어떤 순서로 쓰이는지, 즉 '주기능', '부기능', '3차 기능', '열등 기능'을 찾는 방법을 알려줄게. 이걸 '정신 기능의 위계'라고도 하는데, 마치 게임 캐릭터의 스킬 레벨처럼 생각하면 쉬워.

예시로 INFPESTJ를 가지고 설명해볼게.

  • I/E (내향/외향): 관심이 어디로 향하는지, 에너지가 어디로 쏟아지는지를 나타내.
  • N/S (직관/감각): 정보를 어떻게 받아들이는지를 나타내.
  • F/T (감정/사고): 결정을 어떻게 내리는지를 나타내.
  • P/J (인식/판단): 생활 방식이 좀 더 유연한지(P), 아니면 계획적이고 결정적인지(J)를 나타내.

이걸 기억하기 쉽게 '아생주삼' 4단계로 나눠서 설명해줄게!

1단계: 아랫줄에 반대되는 정신 기능 표시하기

먼저 MBTI 네 글자 위에 4가지 정신 기능(N, S, F, T)을 적어놓고, 각 기능의 반대되는 기능을 아랫줄에 적어봐.

| 위 | N | S | F | T |
|---|---|---|---|---|
| 아래 | S | N | T | F |

이렇게 해두면 나중에 어떤 기능이 더 중요한지(주기능, 부기능)를 정할 때 도움이 돼. 위에 있는 두 기능은 주기능이나 부기능이 될 가능성이 높고, 아래에 있는 두 기능은 3차 기능이나 열등 기능이 될 가능성이 높아.

2단계: 생활 양식으로 E/I 표시하기

이제 MBTI 네 글자 중에 마지막 글자(생활 양식)를 보고, 정신 기능에 E(외향)나 I(내향)를 붙여줄 거야. 생활 양식이 외부 세계와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를 보여주기 때문에, 정신 기능의 에너지 방향도 같이 따라가.

  • INFP: 마지막 글자가 'P' (인식)이지? 이건 생활 방식이 좀 더 유연하다는 뜻이야. 그래서 정보를 받아들이는 기능인 'N'에 E를 붙여서 Ne (외향 직관)라고 해. 반대로 'F'에는 I를 붙여서 Fi (내향 감정)라고 해.
  • ESTJ: 마지막 글자가 'J' (판단)이지? 이건 생활 방식이 좀 더 계획적이고 결정적이라는 뜻이야. 그래서 결정을 내리는 기능인 'T'에 E를 붙여서 Te (외향 사고)라고 해. 반대로 'S'에는 I를 붙여서 Si (내향 감각)라고 해.

정리하면 이렇게 돼:

  • INFP: Fi, Ne, Si, Te (여기서는 편의상 기능 순서를 바꿨어)
  • ESTJ: Te, Si, Fe, Ni (여기서도 편의상 기능 순서를 바꿨어)

3단계: 주기능과 부기능 결정하기

이제 정신 기능의 에너지 방향(I 또는 E)과 일치하는 기능을 찾아보자. 이게 바로 주기능과 부기능이 되는 거야.

  • INFP: INFP는 'I' (내향)가 에너지 방향이지? 그래서 'Fi'는 에너지 방향과 일치하니까 주기능이 돼. 'Ne'는 에너지 방향과 일치하지 않으니까 부기능이 돼.
  • ESTJ: ESTJ는 'E' (외향)가 에너지 방향이지? 그래서 'Te'는 에너지 방향과 일치하니까 주기능이 돼. 'Si'는 에너지 방향과 일치하지 않으니까 부기능이 돼.

4단계: 3차 기능과 열등 기능 결정하기

이제 마지막 단계야! 주기능과 부기능을 정했으니, 남은 두 기능은 3차 기능과 열등 기능이 돼.

  • INFP:

    • 열등 기능: 주기능 바로 아래에 있는 기능이 열등 기능이야. INFP의 주기능은 Fi니까, 그 아래에 있는 'Te'가 열등 기능이 돼. 열등 기능은 주기능의 에너지 방향과 반대야. INFP는 'I'가 주기능 방향이니까, 열등 기능인 Te는 'E'를 붙여서 Te (외향 사고)가 돼.
    • 3차 기능: 부기능 바로 아래에 있는 기능이 3차 기능이야. INFP의 부기능은 Ne니까, 그 아래에 있는 'Si'가 3차 기능이 돼. 부기능의 에너지 방향은 아직 학계에서도 의견이 좀 갈려서, 여기서는 따로 표시하지 않을게.
  • ESTJ:

    • 열등 기능: ESTJ의 주기능은 Te니까, 그 아래에 있는 'Fi'가 열등 기능이 돼. ESTJ는 'E'가 주기능 방향이니까, 열등 기능인 Fi는 'I'를 붙여서 Fi (내향 감정)가 돼.
    • 3차 기능: ESTJ의 부기능은 Si니까, 그 아래에 있는 'Ne'가 3차 기능이 돼. 마찬가지로 부기능의 에너지 방향은 따로 표시하지 않을게.

이렇게 해서 각 기능의 위계가 결정되는 거야! 이제 각 기능이 어떤 순서로 쓰이는지 좀 더 명확하게 알 수 있겠지?

최근 검색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