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천 만원 손실 후 깨달은 인생 교훈, 7년 시행착오 12분 요약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사업 망치는 두 가지 욕구: 자아실현 욕구와 인정 욕구
사업이 잘 될 때 가장 위험한 게 바로 '자아실현 욕구'와 '인정 욕구'야. 이걸 제대로 컨트롤 못 하면 몇천만 원, 아니 억 단위의 손실을 보고 사업이 망할 수도 있어.
1. 자아실현 욕구: '내가 하고 싶은 것'에 빠지다
- 시기상조의 자아실현: 매출이 잘 나올 때, "내가 뭘 하고 싶지?"라는 생각이 들면서 갑자기 자아실현 욕구가 폭발할 수 있어. 예를 들어, 건조과일을 팔아 돈을 많이 벌었을 때, 갑자기 멋진 공유 오피스를 차리고 싶어서 비싼 주택을 빌려 인테리어까지 해놓고 강의를 열었지만 아무도 안 왔던 경험도 있어. 심지어 불법으로 에어비앤비를 운영하다가 걸려서 돈을 벌었지만 결국 끝난 사례도 있지.
- 반복되는 실수: 공유 오피스에 대한 이상한 욕구 때문에 계속해서 비슷한 시도를 반복하는 경우도 있어. 이게 진짜 사업의 사명에 맞는 건지, 아니면 그냥 내 욕구인지 헷갈릴 때가 많아.
- 치졸한 자아실현: "커뮤니티를 만들고 수익을 창출하는 피라미드를 만들 수 있을 것 같아"라고 생각하지만, 그 안에는 결국 내 욕구를 채우려는 치졸한 마음이 숨어있을 수 있어.
- 리스크 관리 실패: 경제적 자유가 완전히 이루어져서 리스크가 없을 때 하는 게 자아실현인데, 리스크가 있을 때 자아실현 욕구를 발동시키면 과도한 지출이나 월세 부담으로 이어질 수 있어.
- 시기상조의 대학원: 매출이 잘 나온다고 해서 갑자기 벤처캐피탈 MBA 과정에 등록했지만, 한 달 만에 그만두고 등록금을 날리는 경우도 있어.
- 대표의 로망: 멋진 사무실, 대표실, 디자인팀, 마케팅팀 등 로망을 빠르게 실현하려는 것도 자아실현 욕구일 수 있어. 하지만 조직 관리 체계나 원칙 없이 돈을 쓰면서 시행착오를 겪게 되는 경우가 많아.
- 디지털 노마드 로망: 치앙마이 같은 곳으로 가서 일하는 디지털 노마드 로망을 좇지만, 아직 준비가 안 된 상태에서 여행만 계속 다니는 경우도 자아실현 욕구의 한 형태일 수 있어.
결론: 시기상조로 자아실현 욕구가 발동되면 사업이 위험해질 수 있으니, 이걸 억제하는 것이 중요해.
2. 인정 욕구: '칭찬'에 목매달다
- '신급' 대접의 함정: 컨설팅을 받으러 오는 대표님들이 "신급" 대접을 해주면, 그 칭찬에 취해서 새벽까지 코칭을 하는 경우가 있어. 하지만 이게 정말 그 사람을 위한 건지, 아니면 그 사람의 감사하다는 말 한마디를 듣고 싶어서 하는 건지 돌아봐야 해.
- 나를 위한 것도, 남을 위한 것도 아닌: 결국 인정받으려고 했던 행동은 나를 위한 것도, 남을 위한 것도 아니었던 거야. 인정 욕구에 매몰된 행동일 뿐이지.
- 메타인지의 중요성: 인정 욕구를 메타인지하는 것이 중요해. 내가 하는 행동이 사명에 도움이 되는지, 아니면 인정 욕구를 채우기 위한 건지 판단해야 해.
- 직원과의 관계: 직원들에게 인정받으려는 대표들도 많아. 하지만 사상 체계가 다른 사람들을 구분하지 못하고, 듣기 좋은 말만 하는 사람들에게 둘러싸이면 결국 이상한 사람들만 남게 될 수 있어.
- 사명과의 분리: 내가 하는 행동이 사명을 이루는 데 도움이 되는지, 아니면 단순히 인정받기 위한 건지 끊임없이 질문해야 해.
- 정의와 의리의 함정: 가족이나 친구라는 이유로 잘못된 사람을 계속 데리고 가는 것은 정과 의리 때문일 수 있어. 하지만 이런 관계는 결국 사업을 망칠 수 있어. "내가 얘네들을 믿어줬으니까"라는 생각은 인정 욕구일 수 있어.
- 진짜 의도 파악: "너 진짜 의도 뭐야?", "거기 왜 가는 거야?"라고 스스로에게 계속 질문해야 해. 옛날의 분위기를 그리워하거나, 젊은 사람들과 어울리고 싶다는 이유만으로는 부족해.
결론: 인정 욕구와 자아실현 욕구를 사명과 구분하는 것이 중요해. 자신의 진짜 의도를 파악하고, 사명에 집중해야 해.
어떻게 구분하고 극복할까?
- 사명 구체화: 자신의 사명을 명확하게 정의하고, 함께 갈 사람들의 원칙과 장기적인 목표를 세워야 해.
- WHY 질문 반복: 자신의 행동에 대해 "왜?"라는 질문을 다섯 번씩 반복하며 진짜 의도를 파악해야 해.
- 객관적인 판단: 인정 욕구나 자아실현 욕구가 발동될 때, 그것이 사명에 도움이 되는지 객관적으로 판단해야 해.
- 감정 조절: 부정적인 감정(두려움 등)을 먼저 컨트롤하고, 자아실현 욕구나 인정 욕구가 올라올 때 사명을 떠올리거나 WHY 질문을 통해 의사결정 능력을 높여야 해.
- 마시멜로 실험처럼: 당장의 욕구를 참으면 더 큰 것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해.
이 채널은 솔직하게 경험과 감정, 잘못했던 것까지 이야기하는 곳이니 구독하면 많은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을 거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