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독자 PICK] ISA 만기자금, 연금계좌에 옮길 때 요새 진짜 많이 나오는 질문들 모아모아 답변 드려요!
ISA 만기 자금, 연금 계좌로 옮길 때 궁금한 점 총정리!
ISA 만기 자금을 연금 계좌로 옮기면 세액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 알고 있었어? 그런데 이걸 어떻게 옮기느냐에 따라 받을 수 있는 세액 공제 금액이 달라질 수 있대. 그래서 ISA 만기 자금을 연금 계좌로 옮길 때 자주 묻는 질문들을 모아서 쉽게 설명해 줄게!
1. ISA 만기 자금, 연금 계좌로 옮기면 세액 공제 얼마나 받을 수 있어?
- 기본 세액 공제: 연금 계좌(IRP, 연금저축)에는 1년에 총 1,800만 원까지 납입할 수 있어. 이 중에서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는 한도는 연금 계좌 전체 합쳐서 900만 원이야. (IRP 900만 원, 연금저축 600만 원, 둘 합쳐서 900만 원)
- 추가 세액 공제: ISA 만기 자금을 연금 계좌로 옮기면, 옮긴 금액의 10%를 추가로 세액 공제받을 수 있어. 단, 최대 300만 원까지야.
- 예시: ISA 만기 자금 2,000만 원을 연금 계좌로 옮기면, 200만 원 (2,000만 원의 10%) 추가 세액 공제 가능.
- 예시: ISA 만기 자금 4,000만 원을 옮기면, 최대 한도인 300만 원까지 추가 세액 공제 가능.
2. ISA 만기 자금, 한 번에 다 안 옮기고 나눠서 옮겨도 돼?
응, 괜찮아! ISA 만기 자금을 연금 계좌로 옮길 때는 몇 가지 특징이 있어.
- 만기일 전에 옮겨도 돼: ISA 만기일이 아니더라도, 의무 가입 기간(3년)만 채우면 만기일 전에 해지해서 연금 계좌로 옮길 수 있어. 만기일 전에 해지했다면, 해지한 날로부터 60일 이내에 연금 계좌로 옮기면 돼.
- 전부 안 옮겨도 돼: ISA 만기 자금 전부를 옮겨도 되고, 일부만 옮겨도 괜찮아.
- 여러 번 나눠서 옮겨도 돼: 한 번에 다 옮길 필요 없이, 조금씩 나눠서 여러 번에 걸쳐서 옮겨도 상관없어.
주의할 점: 만약 ISA 만기 자금 6,000만 원을 12월에 3,000만 원 옮기고, 다음 해 1월에 나머지 3,000만 원을 옮긴다고 해도, 추가 세액 공제는 ISA 계좌 하나당 최대 300만 원까지만 받을 수 있어. 나눠서 옮긴다고 해서 추가 세액 공제 한도가 늘어나는 건 아니야.
3. 연금 계좌가 여러 개인데, ISA 만기 자금을 어디에 넣어야 세액 공제를 더 많이 받을 수 있어?
ISA 만기 자금을 어디에 넣느냐에 따라 세액 공제 금액이 달라질 수 있어.
- IRP에만 넣었을 때: ISA 만기 자금 3,000만 원을 IRP에 넣으면, 추가 세액 공제 300만 원과 IRP 기본 세액 공제 한도 900만 원을 합쳐서 총 1,200만 원까지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어. (ISA 만기 자금 3,000만 원 중 300만 원에 대한 세액 공제 + IRP 기본 세액 공제 한도 900만 원)
- 연금저축에만 넣었을 때: ISA 만기 자금 3,000만 원을 연금저축에 넣으면, 연금저축 기본 세액 공제 한도 600만 원과 ISA 만기 자금 3,000만 원에 대한 추가 세액 공제 300만 원을 합쳐서 총 900만 원까지만 받을 수 있어. (연금저축 기본 세액 공제 한도 600만 원 + ISA 만기 자금 3,000만 원 중 300만 원에 대한 세액 공제)
결론: 추가 세액 공제를 최대한 많이 받고 싶다면, IRP와 연금저축 계좌를 모두 활용하는 것이 좋아.
더 자세한 예시:
- 연금저축에 3,000만 원, IRP에 400만 원을 넣었을 때:
- 연금저축: 기본 세액 공제 600만 원 + ISA 이전 자금 2,600만 원의 10% (260만 원) = 총 860만 원
- IRP: ISA 이전 자금 400만 원의 10% (40만 원) = 총 40만 원
- 총 세액 공제: 860만 원 + 40만 원 = 900만 원 (연금저축 기본 한도 600만 원 + 추가 세액 공제 300만 원)
- 연금저축에 2,700만 원, IRP에 300만 원을 넣었을 때:
- 연금저축: 기본 세액 공제 600만 원 + ISA 이전 자금 2,700만 원의 10% (270만 원) = 총 870만 원
- IRP: ISA 이전 자금 300만 원의 10% (30만 원) = 총 30만 원
- 총 세액 공제: 870만 원 + 30만 원 = 900만 원 (연금저축 기본 한도 600만 원 + 추가 세액 공제 300만 원)
- 주의: IRP에 300만 원만 넣었기 때문에, IRP에서 받을 수 있는 추가 세액 공제는 30만 원이 최대야. 만약 IRP에 30만 원을 더 납입하면 총 1,000만 원까지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어.
4. ISA 만기 자금을 옮길 때, 세액 공제 받은 금액과 받지 않은 금액을 따로 관리할 수 있어?
이건 좀 복잡한데, 결론부터 말하면 일반적으로는 어렵다고 봐야 해.
- 세액 공제 받은 금액 (과세 재원): 나중에 연금 받을 때 세금을 내야 해.
- 세액 공제 받지 않은 금액 (비과세 재원): 나중에 연금 받을 때 세금을 안 내도 돼.
금융 회사에서는 계좌별로 돈을 관리하는데, 돈이 들어올 때 세액 공제 한도 내에서 최대한 과세 재원으로 먼저 인식하는 경향이 있어. 나중에 세액 공제 받지 않은 금액을 과세 재원으로 바꾸는 건 가능하지만, 반대로 과세 재원을 비과세 재원으로 바꾸는 건 거의 불가능하다고 보면 돼.
예를 들어 ISA 만기 자금 3,000만 원을 옮길 때, 300만 원은 세액 공제 받고 2,700만 원은 세액 공제 안 받는 걸로 나누고 싶어도, 금융 회사에서는 300만 원을 옮긴 순간 30만 원(300만 원의 10%)만 세액 공제 받은 걸로 인식하고, 나머지 270만 원은 세액 공제 받지 않은 걸로 인식할 수 있어. 그래서 2,700만 원 전체를 세액 공제 받지 않은 걸로 확정하기는 어렵다는 거지.
5. ISA 만기 자금만으로도 계속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어?
응, 가능해! ISA 만기 자금을 연금 계좌로 옮기고 나서 추가 세액 공제를 받지 않은 금액이 있다면, 다음 해나 다다음 해에 세액 공제 받은 금액으로 전환할 수 있어.
하지만 ISA 만기 자금 자체에 대한 추가 세액 공제는 한 번만 받을 수 있어. 즉, 300만 원 한도를 다 받았다면 다음 해부터는 더 이상 ISA 만기 자금으로 추가 세액 공제를 받을 수는 없어.
6. ISA 만기 자금을 옮길 때, 세액 공제를 안 받고 싶으면 어떻게 해?
세액 공제를 받고 싶지 않다면, 연말정산이나 종합소득세 신고 때 "세액 공제 받지 않겠다"고 신고하면 돼. ISA 만기 자금도 마찬가지로, 세액 공제 혜택을 받지 않겠다고 신고하면 세액 공제 받지 않은 금액으로 남길 수 있어.
이렇게 세액 공제 받지 않은 금액으로 남겨둔 돈은 나중에 필요할 때 세금 없이 인출할 수 있고, 만약 나중에 세액 공제를 받고 싶다면 전환 특례를 신청해서 받을 수도 있어.
7. ISA 만기 자금을 연금 계좌로 옮긴 후, 세액 공제 받지 않은 금액을 나중에 세액 공제 받은 금액으로 바꾸려면 어떻게 해야 해?
이건 좀 복잡한데, 연말정산이 끝나고 국세청 자료 등이 확정되는 시점(보통 다음 해 7월 이후)에 금융 회사에 "연금 보험료 등 소득세 공제 확인서"를 제출해서 세액 공제 받지 않은 금액을 확정하면 돼.
만약 급하게 돈이 필요해서 세액 공제 받지 않은 금액을 먼저 인출했다면, 일단 세금이 부과될 수 있어. 하지만 나중에 위에서 말한 확인서를 제출하면, 이미 낸 세금을 환급받을 수 있어.
8. 연금 개시를 한 IRP 계좌에 ISA 만기 자금을 옮길 수 있어?
안 돼. 연금 개시를 신청한 연금 계좌에는 더 이상 돈을 넣을 수 없기 때문에, ISA 만기 자금을 옮기는 것도 불가능해. 연금 개시를 신청하면 그 계좌는 '연금 개시 계좌'로 분류되거든.
만약 연금 개시를 신청한 계좌가 있다면, 일부 금융 회사에서는 새로운 연금 계좌를 추가로 개설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경우도 있으니 확인해 보는 게 좋아.
9. ISA에서 투자하고 있던 상품 그대로 연금 계좌로 옮길 수 있어?
안 돼. ISA 만기 자금을 연금 계좌로 옮길 때는 현금으로만 가능해. ISA에서 투자하고 있던 상품을 그대로 옮기는 건 불가능하고, 해당 상품을 모두 팔아서 현금으로 만든 후에 연금 계좌로 옮겨야 해.
ISA 만기 자금을 연금 계좌로 옮기는 것은 세액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좋은 기회야. 오늘 설명해 준 내용들을 잘 참고해서 현명하게 활용하길 바라!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남겨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