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금리 인하, 기술주 폭등! 내년 6월까지 랠리 계속될까?
주식 시장, 지금 팔아야 할까? 아니면 더 사야 할까?
결론부터 말하면, 지금은 팔 때가 아니야!
주식 시장이 왜 이렇게 오르는지 세 가지 이유를 꼽아봤어.
- 정부 정책: 정부에서 주식 시장을 좋게 만들려고 노력하고 있어.
- AI: 인공지능 기술이 계속 발전하면서 관련 주식들이 오르고 있어.
- 유동성: 전 세계적으로 돈을 많이 풀고 있어서 주식 시장으로 돈이 흘러들어오고 있어.
이 세 가지 이유가 당장 끝나지는 않을 것 같아. 특히 돈을 푸는 것(유동성)은 내년 6월까지는 계속될 것 같으니, 아직은 주식을 팔 때가 아니라는 거지.
FOMC 금리 인하, 시장에 큰 영향은 없었다?
미국 연준(FOMC)에서 예상대로 금리를 0.25%p 내렸어. 하지만 시장은 이미 알고 있었던 내용이라 큰 반응은 없었지.
- 경제 성장 전망은 좋게 보고 있어: 미국 경제가 앞으로 더 성장할 거라고 예상하고 있어.
- 물가는 조금 오를 거라고 봐: 하지만 물가도 조금 오를 거라고 예상하고 있어서 금리를 크게 내리지는 않을 것 같아.
- 연말까지 금리 인하 2번 더 할 수도: 연준 위원들의 예상치를 보면 연말까지 금리를 2번 정도 더 내릴 수도 있다는 걸 시사하고 있어.
파월 연준 의장의 발언:
파월 의장은 금리를 내리고 싶지 않은데, 어쩔 수 없이 내린 것 같은 느낌이었어. 트럼프 대통령의 압박에 굴복했다는 평가도 있어.
- "경제는 나쁘지 않다"고 말한 것 자체가 금리를 내리고 싶지 않다는 뜻이야.
- 하지만 고용 시장이 조금씩 꺾이고 있어서 보험 삼아 금리를 내린 거라고 볼 수 있어.
- 물가는 여전히 조심해야 한다고 말했고, 금리를 한 번에 0.5%p 내릴 이유는 없다고 명확히 말했어.
결론적으로, 금리 인하 방향은 맞지만 시장이 놀랄 만한 뉴스는 아니었어.
M7 기업들, 시가총액 20조 달러 돌파!
구글, 테슬라 같은 미국 기술주 7개 기업(M7)의 시가총액이 20조 달러를 넘었어.
- 대안이 없어: 돈은 풀리는데, 이 돈이 갈 곳이 마땅치 않아. 스타벅스나 나이키 같은 기업들은 안 좋은데, AI 관련 기업들은 관세 문제도 없고 성장성이 좋으니까 돈이 계속 몰리는 거지.
- 실적도 뒷받침: 단순히 기대감만으로 오르는 게 아니라, 실제 실적도 좋아지고 있어. 구글의 제미나이 프로가 ChatGPT를 이기고 있고, 메타는 광고 사업으로, MS와 아마존은 클라우드로 돈을 벌고 있지.
- 애플만 조금 아쉬워: 애플은 AI 분야에서 조금 뒤처져 있지만, 아이폰 판매는 여전히 잘 되고 있어.
- 테슬라, 뒤늦게 합류: 테슬라도 뒤늦게 M7 랠리에 동참하고 있어.
테슬라, 지금이라도 사야 할까?
테슬라를 모으는 사람들은 가격에 상관없이 꾸준히 사고 있어. 일론 머스크는 2030년까지 로봇 사업으로 테슬라 가치가 80%가 될 거라고 말했지.
- 월급날마다 모으는 전략: 테슬라의 미래를 믿는다면 월급날마다 조금씩 모으는 것도 좋은 방법이야.
- 일론 머스크의 복귀: 일론 머스크가 정치 논란을 끝내고 테슬라에 집중하면서 주가가 오르고 있어.
- 독일 기가팩토리 생산 계획 상향: 유럽 전기차 시장도 좋아지고 있다는 신호야.
결론적으로, 테슬라는 당분간 괜찮을 것 같아.
반도체, 여전히 뜨겁다!
한국과 미국 모두 반도체 업종이 가장 뜨거워. 마이크론의 목표 주가를 올리고 제품 가격 인상 소식도 들려오고 있지.
- 실적 기대감 UP: 다음 주에 마이크론 실적 발표가 있는데, 실적이 아주 잘 나올 것 같아. 내년까지도 긍정적인 전망이야.
- 가격 인상: 마이크론이 주요 메모리 반도체 가격 제시를 중단했어. 이건 가격을 올리고 싶은 대로 올리겠다는 뜻이지. 시장에서는 30%까지 인상될 거라고 보고 있어.
- 수요 폭발, 공급 부족: AI 때문에 수요는 계속 늘어나는데, 공급이 부족한 상황이야.
- AI 추론 시대 개막: AI가 이제 학습만 하는 게 아니라 문제 풀이(추론)를 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저장 장치가 많이 필요해. HDD와 SSD 같은 저장 장치 수요가 급증하고 있어.
- 삼성전자, 하이닉스도 수혜: 마이크론뿐만 아니라 삼성전자와 하이닉스도 이 수혜를 받을 거야.
결론적으로, 반도체는 이제 시작이야. 범용 반도체 관련 기업들도 AI 추론 시장 덕분에 좋아지고 있어.
틱톡 인수, 트럼프의 정치적 계산?
트럼프 대통령이 틱톡 인수에 거의 합의했다고 말했어.
- 미국 사업권 확보: 틱톡은 중국 기업이지만, 미국에서 이용자가 엄청 많아. 트럼프는 미국 사업권을 미국이 가져가도록 하려고 해.
- 정치적 활용: 젊은 유권자들의 표심을 얻기 위해 틱톡을 정치적으로 활용하려는 의도가 있어. 비트코인을 옹호했던 것처럼 말이야.
- 유력 인수 후보: 일론 머스크의 회사나 오라클이 유력한 인수 후보로 거론되고 있어.
오라클 전망:
오라클은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에 비해 클라우드 사업에서 존재감이 떨어졌지만, 최근 AI 때문에 선택하는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어.
- AI 클라우드 수요 증가: AI 때문에 클라우드 수요가 늘어나면서 오라클도 수혜를 받고 있어.
- 수주 장고 폭발: 실적 수주 장고가 갑자기 늘어났고, 이게 계속 유지될 가능성이 높아.
- 틱톡 인수 기대감: 틱톡을 인수하게 되면 더 큰 날개를 달 수 있을 거야.
히토류, 미국이 중국 견제 나선다!
미국이 중국의 히토류 독점을 견제하기 위해 해외 광산 개발에 1조 6천억 원을 투자할 거야.
- 중국 의존도 낮추기: AI, 첨단 전투기, 전기차 등에 필요한 히토류를 중국에만 의존하는 것을 벗어나려고 해.
- 공급망 확보: 중국이 히토류 공급을 막으면 로봇이나 전투기 생산에 차질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미국은 공급망 확보에 나서고 있어.
- 관련 기업 주목: MP 머티리얼즈, 라이나스, JS 링크 같은 히토류 관련 기업들이 수혜를 볼 수 있어.
이번 주 주식 시장 정리
- 외국인: 반도체, IT 관련주를 많이 샀어.
- 기관: 반도체, 금융 관련주를 많이 샀어.
- 개인: 반도체, 2차전지 관련주를 많이 샀어.
- 상승 업종: 반도체, 디스플레이, 우주항공, 관광 관련 업종이 좋았어.
다음 주 주목할 업종:
- 디스플레이: LG 디스플레이 같은 기업들이 오랜만에 올랐어.
- 우주항공: 위성 인터넷 관련 수주들이 나오고 있어.
- 카지노, 백화점: 다음 달 APEC 정상회담 때문에 K-관광이 계속 좋을 것 같아.
보고서 추천: AI 온기가 퍼지는 범용 컴포넌트
- MLCC (적층세라믹콘덴서): 전자제품에 꼭 필요한 부품인데, AI 데이터 센터에 많이 들어가. 삼성전기가 대표적인 기업이야.
- 기판: PC나 자율주행차에 들어가는 기판도 수급 환경이 개선되면서 좋아지고 있어. 대덕전자가 대표적이야.
- 아모텍: MLCC를 만드는 또 다른 기업인데, 서버용 MLCC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어.
결론적으로, AI와 자율주행 덕분에 이들 기업의 전망이 밝아.
10만 전자, 가능할까?
올해는 어렵겠지만, 내년까지 본다면 가능성도 있어. 반도체 사이클이 좋고, 삼성전자가 범용 반도체 비중이 높아서 이번 사이클에서 더 큰 수혜를 받을 수도 있거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