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새통 037] 틀안에서 생각하기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책에서 혁신적인 아이디어 찾는 5가지 방법!
이 책은 브레인스토밍처럼 무작정 아이디어를 쏟아내는 게 아니라, 정해진 틀 안에서 반복적으로 생각하면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나온다고 말해. 마치 공식처럼 말이지!
1. 핵심 제거: 없애는 게 답이다!
- 예시: 헤드폰 줄을 없애서 더 편하게 만들거나, 이케아 가구에서 조립 과정을 빼서 소비자가 쉽게 만들 수 있게 한 것처럼, 당연히 있어야 할 것을 제거하면 혁신이 일어날 수 있어.
- 주의: 무설탕 음료처럼 당연히 있어야 할 것을 빼면 안 돼!
2. 요소 분할: 쪼개서 보면 새로운 게 보여!
- 예시: 음악 녹음할 때 밴드 전체를 한 번에 녹음하는 대신 악기별로 따로 녹음하면 더 좋은 결과가 나오는 것처럼, 제품이나 서비스를 여러 요소로 나눠서 생각하면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어.
- 주의: 단순히 쪼개는 게 아니라, 쪼갰을 때 더 효과적인지 생각해 봐야 해.
3. 다수화: 여러 개를 곱하면 시너지가 난다!
- 예시: 이중날 면도기처럼 두 개의 날을 합쳐서 더 좋은 성능을 내거나, 흑백 사진에 색을 입혀서 컬러 사진으로 만드는 것처럼, 여러 요소를 조합하면 새로운 가치를 만들 수 있어.
- 주의: 단순히 더하는 게 아니라, 곱했을 때 어떤 시너지가 나는지 생각해 봐야 해.
4. 과제 통합: 어차피 해야 할 일, 합쳐서 효율 높이기!
- 예시: 보안을 위해 입력해야 하는 캡차와 번역 서비스를 합쳐서 사용자가 더 편리하게 이용하게 하거나, 호텔 체크인 시 가방을 놓는 위치까지 고려해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처럼, 어차피 해야 할 일들을 합치면 효율을 높이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어.
- 주의: 그냥 합치는 게 아니라, 합쳤을 때 어떤 시너지가 나는지 생각해 봐야 해.
5. 속성 수정: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디자인!
- 예시: 와이퍼가 비 오는 속도에 따라 자동으로 속도가 조절되거나, 자동차 헤드라이트가 마주 오는 차에 따라 자동으로 상향/하향 조절되는 것처럼, 상황에 따라 변하는 디자인은 혁신적인 아이디어가 될 수 있어.
- 주의: 단순히 변하는 게 아니라, 상황에 따라 더 나은 경험을 제공하는지 생각해 봐야 해.
혁신은 틀 밖이 아니라, 틀 안에서 나온다!
이 책은 혁신이 꼭 틀 밖에서 나오는 게 아니라, 오히려 정해진 틀 안에서 주어진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고 제약 조건을 극복하려는 노력에서 나온다고 말해. 마치 맥가이버처럼 말이지!
결론적으로, 혁신은 우리가 가진 자원과 상황을 어떻게 조합하고 활용하느냐에 달려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