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무작정 '열심히' 하지 말고 이렇게 해보세요" 아무리 오래 해도 뇌가 지치지 않는 가장 효율적인 공부법 | 박문호 박사 빅퀘스천 1부 #뇌과학 #공부 #암기법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 한 달 공부했는데 효과가 안 나타났어요.
- 원리만 알면 창의성으로 빠르게 갈 수 있어요.
- 노력은 최소화하고 에너지 절약이 중요해요.
- 점진적 성공 위해선 훈련이 필요해요.
- 25년간 뇌와 신경 세포를 공부했어요.
- 신경 세포 연결 구조를 그림으로 그려야 해요.
- 신경 세포는 형태가 일정하지 않아요.
- 그림을 그리면 계속 달라지기 때문에 사각형으로 통일했어요.
- 사각형으로 연결하면 공부가 빨라지고 효과적이에요.
- 이 원리를 대칭의 원리라고 부릅니다.
- 기차, 아파트 단지처럼 반복 패턴을 활용하세요.
- 삼각형보다 사각형이 더 안정적이에요.
- 모듈러 원리로 단위성을 확보하세요.
- 연결성과 확장성도 중요해요.
- 대칭을 만들면 최소 노력으로 가능해요.
- 브레인은 근육이 아니기 때문에 부하를 줄여야 해요.
- 집중보다 편안함이 더 중요해요.
- 자연과 건물은 대부분 사각형 구조입니다.
- 대칭과 모듈화로 구조를 만들면 안정돼요.
- 사각형 대각선으로 삼각형이 나오고 무한히 확장돼요.
- 삼각 함수와 대칭이 우주와 연결돼 있어요.
- 우주는 90도 블록으로 만들어졌어요.
- 공부도 숲(큰 맥락)을 봐야 효과적이에요.
- 맥락은 공간, 시간, 사회적 맥락으로 나뉘어요.
- 맥락을 높이면 전체를 볼 수 있어요.
- 작은 맥락은 낚시꾼 같고, 큰 맥락은 건물 같아요.
- 맥락을 넓히면 더 많은 것을 한 번에 볼 수 있어요.
- 숲을 보면 개별 행동도 자연스럽게 만들어져요.
- 나무 공부보다 숲(전체 맥락)을 우선하세요.
- 맥락을 확장하는 게 공부의 핵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