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유튜브 영상의 자막과 AI요약을 추출해보세요

AI 채팅

BETA

로스트아크 비싼 이유와 게임 경제 구조 해설 및 해결 방법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1. 우리 영상 이후 로아 라이브 방송이 있었어요.
  2. 전체 반응은 로아가 원코인까지 올랐어요.
  3. 분위기는 조금 소강 상태로 바뀌었어요.
  4. 오늘은 로아의 구조, 특히 경제 구조를 이야기할게요.
  5. 초대석 캡틴님은 "문제 원인은 비싸다"라고 했어요.
  6. 디렉터님도 "생각보다 너무 비쌌다"라고 했어요.
  7. 디렉터님은 원래 비싼 게임을 원하지 않았어요.
  8. 그런데 실제로 가격이 비싸졌어요.
  9. 유저와 디렉터 모두 현재 비싼 게임이라고 인정해요.
  10. 하지만 디렉터님은 "그렇게 되고 싶지 않았다"고 했어요.
  11. 왜 이렇게 됐는지 궁금해서 구조를 분석했어요.
  12. 그래야 문제 해결 방안을 예상할 수 있거든요.
  13. 그래서 로스타크 구조를 전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했어요.
  14. 로스타크에는 여러 거래소가 있어요.
  15. 첫 번째는 인게임 거래소예요.
  16. 이곳은 재료를 골드로 사는 곳이에요.
  17. 또 화폐 거래소도 있어요.
  18. 블루 크리스탈과 골드가 오가는 구조죠.
  19. 이 거래소는 캐시로 구매해서 바꿔요.
  20. 또 아바타 캐시로 골드를 얻는 거래소도 있어요.
  21. 이 방식은 많은 게임들이 채택하는 방식이에요.
  22. 유저는 캐시로 아바타를 사고 팔아 골드를 얻어요.
  23. 이 두 거래소 이용률은 전체적으로 낮아요.
  24. 왜냐면 상위 거래소 이용이 많기 때문이죠.
  25. 시즌 3 이후 이용률이 급증했어요.
  26. 유저들이 골드를 사는 방법은 여러 가지예요.
  27. 골드가 없으면 구매해서 인게임 재료를 사죠.
  28. 골드를 사면 현금이 나가요.
  29. 골드와 재료는 유저 간 거래로 이동해요.
  30. 결국 돈이 나간 만큼 비용이 발생하는 거예요.
  31. 이 비용은 과금한 유저가 부담해요.
  32. 하지만 그 돈은 다른 유저에게 넘어가요.
  33. 그래서 과금 유저와 유저 간 수익 흐름이 달라요.
  34. 이 구조에서 작업장도 생겨나요.
  35. 작업장은 돈 버는 목적으로 만들어진 조직이에요.
  36. 일반 유저는 콘텐츠 즐기기 위해 플레이하지만,
  37. 작업장은 돈을 벌기 위해 플레이해요.
  38. 메이플, 리니지 같은 게임도 비슷한 구조예요.
  39. 득템 기반 거래는 경쟁이 치열해요.
  40. 일반 유저는 경쟁에서 밀리기 쉽죠.
  41. 반면 로아는 클리어로 골드를 벌어요.
  42. 클리어 골드가 바로 현금화 가능하죠.
  43. 그래서 규모의 경제 싸움이 적어요.
  44. 유저 간 시세는 실시간으로 결정돼요.
  45. 게임은 수작업이기 때문에 자동이 아니에요.
  46. 대부분 유저가 직접 골드를 벌여요.
  47. 이 골드는 시장에서 거래돼요.
  48. 골드 공급이 많아지면 가격이 내려가요.
  49. 시즌 초에는 스펙이 낮아지고 골드 수요가 높아져요.
  50. 이때 골드 가격은 급등할 수 있어요.
  51. 골드 가격이 오르면 선발대는 더 많이 써요.
  52. 비용이 올라가면 성장 동기가 떨어지죠.
  53. 성장 요구치가 높아지면 유저들이 멈춰요.
  54. 유저들은 성장보다 돈 버는 쪽으로 방향을 바꿔요.
  55. 무과금, 라이트 유저도 시장에 참여해요.
  56. 이들은 적당히 현거래로 수익을 내요.
  57. 유저들은 언제든 전환 가능해서 구조가 유연해요.
  58. 서버 상황에 따라 유저 전환이 쉽게 일어나요.
  59. 성장 동기와 시장 가격이 계속 변동돼요.
  60. 골드와 유각 가격은 서로 영향을 미쳐요.
  61. 유각이 오르면 골드가 급증하고, 가격이 떨어져요.
  62. 유각을 사서 가격을 조절하려는 시도도 있어요.
  63. 하지만 실패하면 손해를 볼 수도 있죠.
  64. 이런 구조적 문제 때문에 혼란이 계속돼요.
  65. 스마게는 재화 패키지 판매로 수익을 늘려요.
  66. 유저들이 공급하는 재화도 팔게 만들어요.
  67. 하지만 이 행동은 심각도에 비해 미미한 수준이에요.
  68. 로아가 비싼 이유는 선발 유저의 비용 부담이 커서예요.
  69. 수혜는 대부분 연거래 유저가 가져가요.
  70. 스펙이 높아질수록 수요 폭증 효과도 커지고요.
  71. 시즌 3 이후 구조는 더 심화됐어요.
  72. 선발 유저는 비용을 크게 부담하고 수익을 얻어요.
  73. 반면, 손해 보는 유저는 거의 없어요.
  74. 구조를 바꾸지 않으면 계속 문제는 반복돼요.
  75. 순간순간 해결책은 유각을 토하는 것뿐이죠.
  76. 하지만 유각을 먼저 사면 가격이 떨어질 위험도 있어요.
  77. 이 모든 혼란은 구조적 문제에서 비롯돼요.
  78. 스마게의 정책이 급하게 한쪽만 조작해서 문제를 키우기도 해요.
  79. 재화 패키지 판매는 유저 공급으로 이뤄지고요.
  80. 이 행동은 심각도에 비해 미미한 대응이에요.
  81. 결국, 로아가 비싼 이유는 선발 유저의 비용 부담이 크기 때문이에요.
  82. 수혜는 연거래 유저와 시장에 집중돼 있어요.
  83. 구조를 바꾸지 않으면 계속 혼란이 반복될 거예요.
  84. 근본 해결책은 구조 자체를 바꾸는 것뿐이에요.

최근 검색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