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스트아크 비싼 이유와 게임 경제 구조 해설 및 해결 방법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 우리 영상 이후 로아 라이브 방송이 있었어요.
- 전체 반응은 로아가 원코인까지 올랐어요.
- 분위기는 조금 소강 상태로 바뀌었어요.
- 오늘은 로아의 구조, 특히 경제 구조를 이야기할게요.
- 초대석 캡틴님은 "문제 원인은 비싸다"라고 했어요.
- 디렉터님도 "생각보다 너무 비쌌다"라고 했어요.
- 디렉터님은 원래 비싼 게임을 원하지 않았어요.
- 그런데 실제로 가격이 비싸졌어요.
- 유저와 디렉터 모두 현재 비싼 게임이라고 인정해요.
- 하지만 디렉터님은 "그렇게 되고 싶지 않았다"고 했어요.
- 왜 이렇게 됐는지 궁금해서 구조를 분석했어요.
- 그래야 문제 해결 방안을 예상할 수 있거든요.
- 그래서 로스타크 구조를 전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했어요.
- 로스타크에는 여러 거래소가 있어요.
- 첫 번째는 인게임 거래소예요.
- 이곳은 재료를 골드로 사는 곳이에요.
- 또 화폐 거래소도 있어요.
- 블루 크리스탈과 골드가 오가는 구조죠.
- 이 거래소는 캐시로 구매해서 바꿔요.
- 또 아바타 캐시로 골드를 얻는 거래소도 있어요.
- 이 방식은 많은 게임들이 채택하는 방식이에요.
- 유저는 캐시로 아바타를 사고 팔아 골드를 얻어요.
- 이 두 거래소 이용률은 전체적으로 낮아요.
- 왜냐면 상위 거래소 이용이 많기 때문이죠.
- 시즌 3 이후 이용률이 급증했어요.
- 유저들이 골드를 사는 방법은 여러 가지예요.
- 골드가 없으면 구매해서 인게임 재료를 사죠.
- 골드를 사면 현금이 나가요.
- 골드와 재료는 유저 간 거래로 이동해요.
- 결국 돈이 나간 만큼 비용이 발생하는 거예요.
- 이 비용은 과금한 유저가 부담해요.
- 하지만 그 돈은 다른 유저에게 넘어가요.
- 그래서 과금 유저와 유저 간 수익 흐름이 달라요.
- 이 구조에서 작업장도 생겨나요.
- 작업장은 돈 버는 목적으로 만들어진 조직이에요.
- 일반 유저는 콘텐츠 즐기기 위해 플레이하지만,
- 작업장은 돈을 벌기 위해 플레이해요.
- 메이플, 리니지 같은 게임도 비슷한 구조예요.
- 득템 기반 거래는 경쟁이 치열해요.
- 일반 유저는 경쟁에서 밀리기 쉽죠.
- 반면 로아는 클리어로 골드를 벌어요.
- 클리어 골드가 바로 현금화 가능하죠.
- 그래서 규모의 경제 싸움이 적어요.
- 유저 간 시세는 실시간으로 결정돼요.
- 게임은 수작업이기 때문에 자동이 아니에요.
- 대부분 유저가 직접 골드를 벌여요.
- 이 골드는 시장에서 거래돼요.
- 골드 공급이 많아지면 가격이 내려가요.
- 시즌 초에는 스펙이 낮아지고 골드 수요가 높아져요.
- 이때 골드 가격은 급등할 수 있어요.
- 골드 가격이 오르면 선발대는 더 많이 써요.
- 비용이 올라가면 성장 동기가 떨어지죠.
- 성장 요구치가 높아지면 유저들이 멈춰요.
- 유저들은 성장보다 돈 버는 쪽으로 방향을 바꿔요.
- 무과금, 라이트 유저도 시장에 참여해요.
- 이들은 적당히 현거래로 수익을 내요.
- 유저들은 언제든 전환 가능해서 구조가 유연해요.
- 서버 상황에 따라 유저 전환이 쉽게 일어나요.
- 성장 동기와 시장 가격이 계속 변동돼요.
- 골드와 유각 가격은 서로 영향을 미쳐요.
- 유각이 오르면 골드가 급증하고, 가격이 떨어져요.
- 유각을 사서 가격을 조절하려는 시도도 있어요.
- 하지만 실패하면 손해를 볼 수도 있죠.
- 이런 구조적 문제 때문에 혼란이 계속돼요.
- 스마게는 재화 패키지 판매로 수익을 늘려요.
- 유저들이 공급하는 재화도 팔게 만들어요.
- 하지만 이 행동은 심각도에 비해 미미한 수준이에요.
- 로아가 비싼 이유는 선발 유저의 비용 부담이 커서예요.
- 수혜는 대부분 연거래 유저가 가져가요.
- 스펙이 높아질수록 수요 폭증 효과도 커지고요.
- 시즌 3 이후 구조는 더 심화됐어요.
- 선발 유저는 비용을 크게 부담하고 수익을 얻어요.
- 반면, 손해 보는 유저는 거의 없어요.
- 구조를 바꾸지 않으면 계속 문제는 반복돼요.
- 순간순간 해결책은 유각을 토하는 것뿐이죠.
- 하지만 유각을 먼저 사면 가격이 떨어질 위험도 있어요.
- 이 모든 혼란은 구조적 문제에서 비롯돼요.
- 스마게의 정책이 급하게 한쪽만 조작해서 문제를 키우기도 해요.
- 재화 패키지 판매는 유저 공급으로 이뤄지고요.
- 이 행동은 심각도에 비해 미미한 대응이에요.
- 결국, 로아가 비싼 이유는 선발 유저의 비용 부담이 크기 때문이에요.
- 수혜는 연거래 유저와 시장에 집중돼 있어요.
- 구조를 바꾸지 않으면 계속 혼란이 반복될 거예요.
- 근본 해결책은 구조 자체를 바꾸는 것뿐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