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살림 고수도 몰랐던 재활용 분리수거 핵심 꿀팁 공개!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분리 배출, 제대로 알고 하자!
요즘 분리 배출 때문에 헷갈리는 사람들이 많다고 해. 포상금 노리고 남의 쓰레기 봉투를 뜯어서 신고한다는 말도 있고, 어떤 건 종량제 봉투에 버리고 어떤 건 분리 배출해야 하는지 복잡하게 느껴질 수도 있어. 그래서 오늘은 분리 배출에 대한 궁금증을 풀어주고, 올바른 방법을 알려줄게!
1. 왜 분리 배출을 해야 할까?
- 자원 고갈 막기: 우리가 쓰는 물건들은 땅속에서 나오는 자원으로 만들어져. 그런데 자원은 계속 쓸 수 있는 게 아니잖아? 쓰레기에서 자원을 다시 뽑아내서 쓰면 자원 고갈을 막을 수 있어.
- 환경 보호: 자원을 캐내고 물건을 만들 때 환경 오염이 발생해. 쓰레기를 태우거나 묻는 것도 땅이나 공기를 오염시키지. 분리 배출을 잘하면 쓰레기 양을 줄여서 환경 오염을 막을 수 있어.
- 쓰레기 처리 문제 해결: 우리나라처럼 땅이 좁은 나라에서는 쓰레기를 태우거나 묻을 공간이 부족해. 분리 배출을 통해 재활용하면 쓰레기 처리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돼.
2. 분리 배출의 기본 원칙: 3R과 비행석!
- 3R:
- Reduce (줄이기): 쓰레기를 아예 만들지 않는 게 제일 좋아. 물건을 살 때 필요한 만큼만 사고, 일회용품 사용을 줄여보자.
- Reuse (다시 쓰기): 아직 쓸 수 있는 물건은 버리지 말고 다시 사용하자. 장바구니, 텀블러 사용도 좋은 예야.
- Recycle (재활용하기): 어쩔 수 없이 생긴 쓰레기는 분리 배출해서 다시 쓸 수 있도록 하자.
- 비행석:
- 비우고: 내용물을 깨끗하게 비우자.
- 헹구고: 물로 깨끗하게 헹궈서 이물질을 제거하자.
- 라벨 등은 분리하고: 플라스틱 병에 붙은 라벨이나 뚜껑은 분리해서 버리자.
- 섞히면 안 된다: 일반 쓰레기와 재활용품은 절대 섞어서 버리면 안 돼!
3. 헷갈리는 분리 배출, 제대로 알아보자!
- 음식물 쓰레기:
- 뼈: 닭뼈, 생선뼈 등은 음식물 쓰레기가 아니라 일반 쓰레기로 버려야 해. 재활용 과정에서 문제를 일으킬 수 있거든.
- 살점 묻은 뼈: 뼈에 살점이 조금 붙어 있어도 뼈 자체를 음식물 쓰레기로 보지 않아.
- 택배 박스:
- 테이프: 종이 박스에 붙은 테이프는 재활용을 방해하니까 꼭 떼서 버리자.
- 운송장: 운송장은 재활용이 안 되는 종이니까 따로 버리거나 종량제 봉투에 버리자.
- 완충재: 종이 완충재는 폐지로, 비닐 완충재는 비닐로 분리 배출하면 돼.
- 아이스팩:
- 종이 아이스팩: 안에 물이 들어있다면 물은 물대로, 종이는 종이대로 분리 배출하자.
- 젤 형태 아이스팩: 젤이 들어있는 아이스팩은 일반 쓰레기로 버려야 해.
- 플라스틱 용기:
- PP 재질: 배달 용기로 많이 쓰이는 PP 재질 플라스틱은 깨끗하게 헹궈서 버리면 재활용이 잘 돼. 색깔이 조금 남아있어도 괜찮아.
- 종이컵:
- 단면 코팅: 안쪽에만 비닐 코팅된 종이컵은 깨끗하게 헹궈서 폐지로 버려도 괜찮아.
- 양면 코팅: 양쪽 모두 코팅된 종이컵은 재활용이 어려우니 종량제 봉투에 버리자.
- 음식물 묻은 종이컵: 떡볶이 국물처럼 음식물이 많이 묻은 종이컵은 재활용이 안 되니 종량제 봉투에 버려야 해.
- 페트병:
- 라벨: 라벨은 떼서 비닐로 분리 배출하고, 페트병 뚜껑은 페트병에 닫아서 함께 버리자. 뚜껑을 따로 버리면 재활용이 안 돼.
- 유리병:
- 종이 라벨: 유리병에 붙은 종이 라벨은 재활용 과정에서 제거되니까 굳이 떼려고 스트레스받지 않아도 돼.
- 보증금 표시: 소주병, 맥주병처럼 보증금 표시가 있는 유리병은 판매점으로 가져가서 보증금을 돌려받자.
- 깨진 유리: 깨진 유리는 신문지 등으로 잘 싸서 종량제 봉투에 버려야 안전해.
- 내열 유리, 크리스탈 유리, 거울: 이런 유리들은 재활용이 어려우니 종량제 봉투에 버리자.
- 물티슈: 종이 물티슈가 아닌 일반 물티슈는 플라스틱이니까 일반 쓰레기로 버려야 해.
- 과자봉지: 알루미늄 코팅된 과자봉지는 재활용이 안 되니 일반 쓰레기로 버리자.
- 작은 플라스틱: 칫솔, 빨대처럼 부피가 작은 플라스틱은 재활용이 안 되니 종량제 봉투에 버리자.
- 형광등: 깨지지 않게 원형 그대로 분리 수거함에 버려야 해. 깨진 형광등은 일반 쓰레기로 버리자.
- LED 등: 지자체 조례를 확인해서 분리 배출해야 해.
- 건전지: 종류 구분 없이 건전지 수거함에 버리면 돼.
- 보조 배터리: 리튬 배터리가 들어있어 폭발 위험이 있으니, 랩으로 잘 싸서 건전지 수거함에 버리자.
- 작은 충전 기기: 이어폰처럼 작은 충전 기기는 건전지 수거함에 함께 버리는 게 좋아.
- 캔: 철캔, 알루미늄 캔은 고철류로 분리 배출하고, 플라스틱 뚜껑은 꼭 분리해서 버리자.
- 알루미늄 호일: 뭉쳐서 크기를 만들면 재활용이 가능해.
- 우산: 천과 플라스틱 부분을 분리해서 금속 부분만 고철류로 버리자.
- 옷: 낡은 옷은 아름다운 가게나 중고 가게에 기부하거나, 의류 수거함에 배출하자.
- 약: 절대 변기에 버리지 마! 약국이나 보건소에 있는 해약품 수거함에 버리거나, 없다면 종량제 봉투에 버리자.
4. 분리 배출 표시, 믿고 버려도 될까?
분리 배출 표시가 있는 것은 일단 분리 배출하면 돼. 재활용이 어려운지는 소비자의 문제가 아니라 지자체나 생산자가 해결해야 할 문제야. 분리 배출 표시가 있다는 것은 우리가 물건을 살 때 이미 재활용 비용을 지불했다는 의미니까, 망설이지 말고 분리 배출하자!
5. 분리 배출, 너무 걱정하지 마!
작은 실수 하나로 과태료를 물거나 하지는 않아. 종량제 봉투의 절반이 재활용품으로 채워져 있거나 음식물 쓰레기가 많이 섞여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크게 걱정할 필요 없어. 중요한 건 올바른 분리 배출 방법을 알고 꾸준히 실천하는 거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