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열도 반파 위기! 7월 지진보다 강력한 최악 재앙 경고
일본 대재앙 예언과 현실, 그리고 우리의 자세
최근 일본에서 대지진이 올 거라는 예언 만화가 화제가 되고 있어.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을 정확히 맞췄던 작가의 새 책에서 2025년 7월을 지목했기 때문이지. 물론 나는 이런 걸 믿지는 않지만, 일본 전문가들 말로는 지금 당장 지진이 터져도 이상하지 않다고 해.
일본에서 지진 전조 증상이 많이 나타나는 이유
몇 년 전 요코하마에서 고무 타는 냄새가 도쿄까지 퍼졌던 일 기억나? 화재도 없었는데 말이야. 전문가들은 지각이 맞물리면서 나는 냄새일 수도 있고, 지진 전조 증상일 수도 있다고 했어. 또 최근에는 물고기 떼가 떼죽음 당해서 해안으로 밀려오는 일도 많았고. 어떤 사람들은 오염수 때문이라고도 하지만, 이건 해양 지진 활동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고 해.
2024년 1월 1일 노토반도 지진도 엄청났지. 지각이 융기해서 일본 땅이 넓어졌을 정도니까. 이런 일들이 계속 일어나면서 2025년 7월 예언이 더 주목받고 있는 거야.
일본 전문가들이 말하는 대재앙 시나리오
일본 전문가들은 크게 세 가지 대재앙을 경고하고 있어.
- 난카이 트로프 지진: 일본 남쪽에서 발생하는 큰 지진인데, 80~100년 주기로 온다고 해. 마지막으로 1944년에 있었으니, 이제 올 때가 됐다는 거지. 일본 정부도 30년 안에 올 확률을 80%로 상향 조정했어.
- 수도 직하 지진: 도쿄에서 발생하는 지진인데, 이게 터지면 일본 전체가 마비될 수 있어. 정치, 경제, 문화가 다 도쿄에 집중되어 있으니까.
- 후지산 분화: 난카이 트로프 지진이나 수도 직하 지진의 영향으로 후지산이 분화할 수도 있다고 해.
최악의 시나리오는 이 세 가지가 동시에 일어나는 건데, 여기에 태풍 같은 자연재해까지 겹치면 일본은 정말 끝장날 수도 있다고 해.
지진 피해 규모와 일본의 미래
난카이 트로프 지진이 일어나면 사망자가 32만 명, 피해액은 1410조 엔에 달할 거라고 예상돼. 수도 직하 지진까지 겹치면 일본 GDP의 4배에 달하는 피해가 발생할 수도 있지.
만약 이런 대지진이 발생하면 일본 정부는 돈이 부족해서 국민들의 예금을 동결할 수도 있다고 해. 그래도 부족하면 미국이나 중국에 도움을 요청하겠지. 특히 중국 자본이 일본 땅을 사들이면서 일본이 중국의 경제 식민지가 될 수도 있다는 시나리오도 있어.
일본 지진이 한국에 미치는 영향
일본에서 큰 지진이 일어나면 한반도에도 영향을 줄 수 있어.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때 한반도 위치가 몇 센티미터 옮겨졌다고 하니까. 하지만 후지산 분화로 인한 화산재는 바람 방향 때문에 한반도로 날아올 가능성은 낮다고 해.
한국의 일본 지원과 일본의 태도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때 한국은 가장 먼저 일본을 도왔어. 핵발전소 사고를 막는 붕소도 보내주고, 원유도 무상으로 지원했지. 전국민이 모금 운동도 했고. 그런데 일본 언론은 한국의 도움을 거의 보도하지 않았고, 후원 순위에서도 한국을 빼버렸어. 마치 한국이 돕지 않은 것처럼 말이야. 일본이 한국을 철저히 무시했다는 거지.
만약 또다시 일본에서 대지진이 터진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지 신중하게 생각해 봐야 해.
일본의 재난 대응 실태
일본은 재난 발생 시 초기 대응은 빠른 편이야. 지진이 나면 TV에서 바로 속보를 내보내고 대피하라고 안내하니까. 하지만 문제점도 많아. 2011년 동일본 대지진 때 한국이 보낸 구호 물품을 매뉴얼이 없다는 이유로 거절했던 것처럼 말이야.
또 일본 피난소에서는 성폭행 피해가 항상 발생한다고 해. 이건 개인의 일탈이 아니라 조직적으로 일어나는 사회 문제라고 해. 심지어 최근에는 남성들이 성폭행 피해를 줄이기 위해 자위 도구를 피난소에 나눠주는 유튜버도 있었을 정도야.
일본의 '히트 쇼크' 문제
일본에서는 겨울철 실내 온도가 낮아서 '히트 쇼크'로 죽는 사람이 많아. 교통사고 사망자의 네 배나 된다고 하니 심각한 문제지. 집 안이 너무 추워서 화장실 가다가 쓰러지거나, 뜨거운 물에 갑자기 들어가서 쓰러지는 경우가 많아.
일본 집들이 이렇게 추운 이유는 단열 기준이 낮고, 건축 비용을 줄이기 위해 허술하게 짓기 때문이야. 특히 목조 주택은 단열이 안 되면 습기가 차서 지진에 더 취약해질 수 있어.
일본 쌀값 대란과 한국의 영향
최근 일본에서는 쌀값이 폭등하는 '쌀값 대란'이 일어났어. 처음에는 한국인 때문에 쌀이 부족해졌다는 소문도 있었지만, 결국 사재기 때문이라는 결론이 났지. 일본은 사회 문제가 생기면 외부 탓을 하는 경향이 있는데, 쌀값 대란에서도 이런 모습이 보였어.
일본 정부는 비축미를 풀겠다고 했지만, 전문가들은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할 거라고 봐. 오히려 일본 국민들은 후쿠시마산 쌀을 먹게 될 수도 있다는 우려도 있어.
한국과 일본의 한자 교육 차이
한국은 80년대부터 한글 전용화 운동을 하면서 한자가 많이 사라졌지만, 일본은 여전히 한자 중심이야. 초등학생만 해도 천 자가 넘는 한자를 외워야 하니 아이들이 고생하는 거지.
디지털 시대에는 한국어가 더 유리해. 한글은 발음 나는 대로 쓰면 되지만, 일본어나 중국어는 발음을 입력하고 한자를 선택하는 과정이 필요해서 불편하거든.
일본의 한자 사용과 디지털 문맹
일본에서는 디지털 기기 사용으로 직접 글씨를 쓰는 일이 줄어들면서 한자를 쓰지 못하는 '디지털 문맹'이 늘어나고 있어. 책에서도 어려운 한자 대신 히라가나를 쓰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고.
일본이 한자를 계속 사용하는 이유는, 한자 없이는 의미가 불분명해지고 소통이 어려워지기 때문이야. 베트남은 프랑스의 영향으로 로마자를 사용하게 되었고, 한국은 세종대왕 덕분에 자력으로 한자에서 벗어날 수 있었지.
한국의 한글 발전과 한류의 영향
한국은 한글 전용 노력과 IT 기술 발전 덕분에 편리하게 한글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어. 최근에는 한류의 영향으로 외국인들이 한국어를 배우는 경우도 많아지고 있어. 일본에서도 한글 교실이 인기라고 하니, 세종대왕님 덕분에 우리가 이렇게 편리하게 소통할 수 있다는 게 정말 대단한 것 같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