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ML 급락 속 삼성전자·반도체 투자 전략과 제2의 알테오젠 종목 공개!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뉴욕 증시 이슈 정리 (중학생 눈높이)
1. 어제와 오늘, 뉴욕 증시 분위기 변화
- 어제: 물가 상승(CPI) 때문에 "인플레 걱정"이 좀 있었음.
- 오늘: 물가 상승이 예상보다 낮게 나와서(PPI) "인플레 걱정"이 줄어들었음. 그래서 국채 금리도 떨어졌음.
- 이 덕분에 어제 떨어졌던 헬스케어 관련 주식들이 오늘 올랐음.
- 그런데 어제 중국 수출 재개 이슈로 올랐던 반도체 관련 주식들은 ASML이라는 회사의 실적 전망이 안 좋게 나와서 좀 실망하는 모습을 보였음.
2. 트럼프 대통령과 파월 의장 해임 소동
- 소문: 트럼프 대통령이 파월 연준 의장을 해임하려고 한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음.
- 영향: 이 소식 때문에 미국 국채 금리가 갑자기 확 올랐고, 주가도 떨어졌음.
- 진화: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말하면서 진화에 나섰음.
- 시장 반응: 그래도 트럼프 대통령이 파월 의장을 계속 비판하고 있어서, 시장에서는 "진짜 해임할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추측이 여전히 남아있음.
3. 물가 지표 발표 (PPI)
- 결과: 생산자 물가 지수(PPI)가 예상보다 낮게 나왔음.
- 의미: 어제 CPI 발표로 살짝 줄었던 금리 인하에 대한 희망이 다시 살아났다고 볼 수 있음.
4.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관련 발언
- 내용: 트럼프 대통령이 150개국 이상에 서한을 보낼 예정이며, 여기에는 의약품과 반도체에 대한 관세 내용이 포함될 것이라고 함.
- 영향: 이미 여러 번 나왔던 이야기라 우리 증시에 큰 영향은 없을 수도 있지만, 지켜봐야 함.
5. 주목할 만한 종목 및 섹터
- 테슬라: 중국에서 6인승 모델 Y를 출시한다는 소식과 캐시우드 아크 펀드의 추가 매수 소식으로 주가가 올랐음.
- 엔비디아: 더 좋은 칩을 중국에 팔고 싶다는 CEO 발언이 있었음. 이게 한국 반도체 기업(삼성전자, SK하이닉스)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기대감도 있음.
- ASML: 실적 전망 하향 조정으로 주가가 크게 떨어졌음. 이게 다른 반도체 기업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지켜봐야 함.
- 아마존: 위성 발사에 성공했다는 소식이 있었음.
- 은행주: 모건스탠리, 골드만삭스 등 대형 은행들의 실적이 좋게 나왔지만, 주가는 크게 오르지 못했음.
- 암호화폐 관련주: 미국 하원에서 암호화폐 관련 법안 표결을 다시 할 수 있게 되면서 주가가 올랐음. (서클, 비트마인 등)
- 릴리, 템퍼스 AI 등: AI와 바이오 관련 기업들의 주가가 좋았음.
- 양자 컴퓨터 관련주: 리게티 컴퓨팅의 성능 향상 소식으로 주가가 올랐음.
6. 국내 증시 흐름
- 어제: 물가 상승 우려로 금리가 오르고, 차익 실현 매물이 나오면서 코스피, 코스닥 모두 하락했음.
- 하지만 알테오젠 같은 대장주들이 장 후반에 올라 지수 하락을 방어했음.
- 오늘: 어제와 달리 미국 국채 금리가 떨어지면서 제약 바이오 섹터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됨.
- 반도체: ASML의 가이던스 하향 조정은 부담이지만, 엔비디아, AMD 등 다른 반도체 기업들은 괜찮았음. TSMC 실적 발표가 중요할 것으로 보임.
- 이재용 회장 관련 이슈: 오늘 이재용 회장의 대법원 선고가 예정되어 있어 시장의 주목을 받을 것으로 보임.
- 바이오: 금리 하락, 관세 리스크 완화 등으로 제약 바이오 섹터에 긍정적인 분위기. 알테오젠, 유한양행, 오스코텍 등이 주목받고 있음.
- OLED/폴더블: 애플의 폴더블폰 출시 기대감과 삼성디스플레이의 중국 BOE와의 분쟁 승소 소식으로 관련 기업들이 주목받고 있음. (덕산네오룩스, 파인텍 등)
7. 전문가 시각
- 시장 전반: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 등 노이즈는 있지만, 과거만큼 시장에 큰 영향을 주지는 않을 것으로 보임. 국내 증시는 여전히 우상향 가능성이 높다고 봄.
- 조정 시 매수: 건강한 조정을 이용해 반도체, IT, 지주사 관련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 좋다고 봄.
- 반도체: ASML 조정은 매수 기회로 볼 수 있으며, 삼성전자 밸류체인 관련 장비 기업(이오테크닉스, SNS텍 등)을 주목할 만함.
- 바이오: 금리 인하 가능성, 파이프라인 기술력 등을 고려할 때 제약 바이오 섹터는 여전히 긍정적. 알테오젠은 추가 상승 여력이 있고, ABL 바이오, 리가 바이오, 오스코텍 등을 유망하게 봄.
- OLED/폴더블: 덕산네오룩스, 파인텍 등을 주목하며, AP 시스템도 반도체 사업 다각화 가능성으로 눈여겨볼 만함.
- 스테이블 코인: 국내 관련주보다는 해외 상장 기업(서클, 코인베이스)에 투자하는 것이 더 유리하며, 국내에서는 결제 테마로만 단기 대응하는 것이 좋다고 봄.
- 전력/LNG: 트럼프 대통령의 인프라 투자 공약과 맞물려 전력 기기, LNG 관련 기업(넥스트리, 세아재강지주 등)에 대한 관심이 필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