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만약 한 쪽이 규모 8 이상 지진을 만들면 전체가 쪼개질 수 있어요.
- 이렇게 되면 규모 9.0 큰 지진이 발생할 수 있어요.
- 작은 지진에 관심 갖는 이유는 응력이 쌓여 있기 때문이에요.
- 어린이날 아침 재난 문자와 지진 경보가 떠서 불안하셨죠.
- 최근 태안 3.7 지진과 일본 난카이 대지진 경보도 있었어요.
- 3.7 지진은 사람이 느낄 수 있는 강도입니다.
- 6.6 지진은 먼 곳에서도 진동을 느낄 수 있어요.
- 일본은 2011년 대지진 후 큰 조사를 했어요.
- 일본은 도쿄 남쪽 난카이 해구를 주목했어요.
- 난카이 해구는 100년~150년 주기로 큰 지진이 옵니다.
- 북쪽과 남쪽 지역이 가장 위험하다고 예상됐어요.
- 200년 넘게 에너지가 쌓여 있어 언제 폭발할지 몰라요.
- 난카이 해구는 세 구역으로 나뉘어요.
- 만약 한 구역이 규모 8 이상이면 큰 재앙이 올 수 있어요.
- 최악의 시나리오는 전체가 쪼개지고 규모 9.0 지진이 발생하는 것.
- 일본은 과거 규모 7대 지진 전후에 큰 지진이 있었어요.
- 과거 기록만 보면 최대 지진은 7점대였어요.
- 하지만 1000년 넘는 주기로 더 큰 지진이 올 수 있어요.
- 일본은 1940년대 이후 큰 지진 기록이 적어요.
- 하지만 지진 해일 기록은 여러 차례 나와 있어요.
- 일본은 100~150년 주기로 큰 지진이 발생했어요.
- 도쿄 앞바다 지진이 오면 우리도 걱정해야 해요.
- 일본 대지진 후 우리나라에도 저주파 지진이 왔어요.
- 그 영향으로 지진 빈도가 급증했어요.
- 규모 5 이상 지진이 많이 발생했어요.
- 우리나라 내진 성능은 아직 미흡할 수 있어요.
- 원자력발전소는 내진 기준이 강화됐어요.
- 과거에는 0.2g였던 내진 기준이 지금은 0.3g로 올랐어요.
- 하지만 큰 지진에 견디기 위해선 더 강화가 필요해요.
- 규모 7에서 9로 가면 에너지가 1000배 넘게 늘어요.
- 작은 강화로는 큰 지진을 막기 어려워요.
- 인공 지진으로 에너지를 분산시키는 건 가능할까?
- 작은 지진이 에너지 해소에 도움 될 수 있어요.
- 하지만 작은 지진이 큰 지진을 유발할 수도 있어요.
- 큰 지진이 쌓인 에너지 해소에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어요.
- 그래서 작은 지진으로는 에너지 해소가 어려워요.
- 응력이 많이 쌓인 곳은 큰 지진이 올 수 있어요.
- 지진 피해를 줄이려면 어디서 나는지 아는 게 중요해요.
- 우리나라 지진은 대부분 숨은 단층에서 일어나요.
- 지하 단층 찾는 작업이 매우 중요합니다.
- 기상청이 전국 단층 조사를 하고 있어요.
- 빠른 조사로 재난 대비를 해야 합니다.
- 지진은 피할 수 없지만 피해는 최소화해야 해요.
- 오늘 홍태경 교수님과 이야기 나눴어요.
-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