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유튜브 영상의 자막과 AI요약을 추출해보세요

AI 채팅

BETA

"후지산까지 화르르"...'난카이 대지진'이 몰고 올 충격 시나리오, 우리나라 영향은?

  1. 만약 한 쪽이 규모 8 이상 지진을 만들면 전체가 쪼개질 수 있어요.
  2. 이렇게 되면 규모 9.0 큰 지진이 발생할 수 있어요.
  3. 작은 지진에 관심 갖는 이유는 응력이 쌓여 있기 때문이에요.
  4. 어린이날 아침 재난 문자와 지진 경보가 떠서 불안하셨죠.
  5. 최근 태안 3.7 지진과 일본 난카이 대지진 경보도 있었어요.
  6. 3.7 지진은 사람이 느낄 수 있는 강도입니다.
  7. 6.6 지진은 먼 곳에서도 진동을 느낄 수 있어요.
  8. 일본은 2011년 대지진 후 큰 조사를 했어요.
  9. 일본은 도쿄 남쪽 난카이 해구를 주목했어요.
  10. 난카이 해구는 100년~150년 주기로 큰 지진이 옵니다.
  11. 북쪽과 남쪽 지역이 가장 위험하다고 예상됐어요.
  12. 200년 넘게 에너지가 쌓여 있어 언제 폭발할지 몰라요.
  13. 난카이 해구는 세 구역으로 나뉘어요.
  14. 만약 한 구역이 규모 8 이상이면 큰 재앙이 올 수 있어요.
  15. 최악의 시나리오는 전체가 쪼개지고 규모 9.0 지진이 발생하는 것.
  16. 일본은 과거 규모 7대 지진 전후에 큰 지진이 있었어요.
  17. 과거 기록만 보면 최대 지진은 7점대였어요.
  18. 하지만 1000년 넘는 주기로 더 큰 지진이 올 수 있어요.
  19. 일본은 1940년대 이후 큰 지진 기록이 적어요.
  20. 하지만 지진 해일 기록은 여러 차례 나와 있어요.
  21. 일본은 100~150년 주기로 큰 지진이 발생했어요.
  22. 도쿄 앞바다 지진이 오면 우리도 걱정해야 해요.
  23. 일본 대지진 후 우리나라에도 저주파 지진이 왔어요.
  24. 그 영향으로 지진 빈도가 급증했어요.
  25. 규모 5 이상 지진이 많이 발생했어요.
  26. 우리나라 내진 성능은 아직 미흡할 수 있어요.
  27. 원자력발전소는 내진 기준이 강화됐어요.
  28. 과거에는 0.2g였던 내진 기준이 지금은 0.3g로 올랐어요.
  29. 하지만 큰 지진에 견디기 위해선 더 강화가 필요해요.
  30. 규모 7에서 9로 가면 에너지가 1000배 넘게 늘어요.
  31. 작은 강화로는 큰 지진을 막기 어려워요.
  32. 인공 지진으로 에너지를 분산시키는 건 가능할까?
  33. 작은 지진이 에너지 해소에 도움 될 수 있어요.
  34. 하지만 작은 지진이 큰 지진을 유발할 수도 있어요.
  35. 큰 지진이 쌓인 에너지 해소에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어요.
  36. 그래서 작은 지진으로는 에너지 해소가 어려워요.
  37. 응력이 많이 쌓인 곳은 큰 지진이 올 수 있어요.
  38. 지진 피해를 줄이려면 어디서 나는지 아는 게 중요해요.
  39. 우리나라 지진은 대부분 숨은 단층에서 일어나요.
  40. 지하 단층 찾는 작업이 매우 중요합니다.
  41. 기상청이 전국 단층 조사를 하고 있어요.
  42. 빠른 조사로 재난 대비를 해야 합니다.
  43. 지진은 피할 수 없지만 피해는 최소화해야 해요.
  44. 오늘 홍태경 교수님과 이야기 나눴어요.
  45. 감사합니다.

최근 검색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