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김사부가 전하는 현실 충격! 우리가 꿈꾸던 시장은 없다?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 집값은 잡기 어렵다고 봐야 해요. 거의 불가능하거든요.
- 집값이 오르는 주된 이유는 수요와 공급 불균형 때문입니다.
- 수요는 많고 공급은 적어서 가격이 오르는 거죠.
- 수요를 줄이거나 공급을 늘려야 하는데, 쉽지 않아요.
- 정책으로 수요를 잠깐 억제하는 것뿐이에요.
- 지금 돈의 가치도 떨어지고 있어요.
- 금리 인하, 대출 확대, 기본소득 계속 유지되고 있어요.
- 이러면 집값이 떨어질 가능성은 거의 없어요.
- 정책은 소비심리만 잠깐 누르는 역할일 뿐입니다.
- 집값이 떨어질 거란 기대는 현실적이지 않아요.
- 계층 사다리 걱정도 있지만, 대출 한계도 있죠.
- 취득세 중과가 문제의 핵심이에요.
- 한 채만 갖게 만든 게 오히려 양극화를 심화시켰어요.
- 지금은 취득세 인상은 쉽게 풀리기 어려워요.
- 대출 규제는 상승 속도를 막는 역할을 합니다.
- 서울 잠실이나 강남 입성은 2025년 이후 가능할까요?
- 저는 그렇게 기대하지 않아요.
- 반포를 갖고 싶어도 전세로 살면 되죠.
- 꼭 집을 사야 하는 건 아니에요.
- 부동산 가격이 많이 올랐어요.
- 현실적으로 재산을 늘리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 찬스는 언젠가 옵니다. 그때를 노리세요.
- 내 재산을 두 배로 늘리는 목표를 세우세요.
- 지금은 강세가 아니고 약세입니다.
- 대중이 참여 못하는 시장은 약세장입니다.
- 강세장은 규제 완화, 유동성 증가 때 옵니다.
- 앞으로 4~5년 기다려야 할 것 같아요.
- 소액 투자자는 일시적 2주택 전략을 써보세요.
- 2년 보유 후 팔면 비과세 혜택이 있어요.
- 늘 두 채를 갖고 있으면서 기회를 노리세요.
- 강남역 신축, 준강남, 역세권 점수로 투자성 판단하세요.
- 4년 내 두 배 수익 목표를 세우세요.
- 점수 시스템으로 투자 가능성을 쉽게 판단하세요.
- 2.5점 넘기면 거의 투자 가능하다고 보면 돼요.
- 재건축은 점수 낮아도 투자성은 있어요.
- 소액 투자자들은 이 기준으로 판단하는 게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