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 매크로 폭락 신호, 투자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분석!
시장 상황과 투자 전략에 대한 이야기
요즘 주식 시장에 대해 매도 신호가 나온다는 이야기가 많아. 근데 나는 7월 폭락설에 대해 가능성이 낮다고 봤고, 지금도 그렇게 생각해. 물론 설득력 있어 보이는 지표들이 나오긴 하지만, 그걸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 같이 알아보자.
왜 폭락 가능성이 낮을까?
- 풀린 돈(유동성)이 시장을 받쳐주고 있어. 돈이 많이 풀려 있어서 시장이 쉽게 무너지지 않을 거야.
- 알려진 악재는 이미 반영됐어. 관세나 금리 같은 나쁜 소식들은 이미 시장에 알려져서, 다시 시장을 크게 흔들기 어려워.
- 과거 지표들은 지금 시장에 그대로 적용하기 어려워. PER이나 버핏 지수 같은 지표들이 높다고 해서 무조건 폭락하는 건 아니야.
PER과 버핏 지수, 왜 그대로 적용하기 어려울까?
- PER: 단순히 PER만 보고 비싸다고 판단하는 건 너무 단순한 생각이야. 기업의 이익 성장 속도도 같이 봐야 해. 예를 들어 엔비디아는 PER이 높아 보여도 이익이 엄청나게 성장하고 있잖아. 과거 닷컴 버블 때는 이익도 없이 주가만 올랐지만, 지금 IT 기업들은 실제 이익을 많이 내고 있어.
- 버핏 지수: GDP 대비 주식 시가총액 비율인데, 이것도 옛날 지표야. IT 혁명 이후 기업들의 이익 창출 능력이 훨씬 좋아졌기 때문에, 예전처럼 GDP 대비 시가총액이 높다고 해서 무조건 과열이라고 볼 수는 없어.
월가의 속셈과 미국의 도덕성
월가 투자은행들은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시장을 조작하기도 해. 리먼 브라더스 사태 때 골드만삭스가 서브프라임을 팔면서 동시에 폭락에 베팅했던 것처럼 말이야. 미국 정치권도 마찬가지야. 트럼프 측근들이 엔비디아 주식을 사기 전에 중국에 대한 수출 허가를 내줬다는 의혹도 있잖아. 이런 걸 보면 미국이 생각보다 도덕적이지 않다는 걸 알 수 있어.
주식 투자는 단순하지 않아
많은 사람들이 애널리스트나 전문가들이 보여주는 지표만 보고 투자하는데, 시장은 그렇게 단순하지 않아. 그들은 자신들의 논리에 맞는 지표만 보여주면서 우리를 현혹할 수 있어. 진짜 투자를 잘하려면 스스로 공부하고, 다양한 정보를 비판적으로 받아들이는 능력이 필요해.
고금리 시대에도 시장은 잘 가고 있어
3년째 고금리인데도 불구하고 시장은 오히려 신고가를 뚫고 올라가고 있어. 이건 교과서적인 경제 이론과는 다른 모습이야. 만약 연준이 금리를 내린다면 시장은 더 환호할 수도 있어. 하지만 인플레이션이 완전히 잡히지 않았기 때문에 금리 인하 시점은 신중할 수밖에 없을 거야.
채권 투자, 이제는 매력적이지 않아
채권 금리가 많이 올랐지만, 올해 하반기에는 채권 투자를 추천하지 않아. 금리 인하 가능성이 크지 않고, 시장도 채권에 큰 관심이 없어. 오히려 주식 투자가 더 재밌을 수 있어.
관세 전쟁과 한국의 외교
트럼프의 관세 정책은 계속될 가능성이 높아. 한국은 중국과 미국 사이에서 줄타기를 잘 해왔지만, 앞으로는 더 신중한 외교가 필요해. 중국의 IT 발전은 눈부시고, 한국은 오히려 뒤처지고 있다는 위기감도 느껴져.
중국의 IT 발전과 한국의 미래
중국은 IT 분야에 엄청난 투자를 하고 있고, 생산성도 빠르게 높이고 있어. 한국은 오히려 혁신이 부족하다는 평가도 있어. 중국의 부동산 문제도 5년 안에 해결될 가능성이 있고, 이렇게 되면 중국 경제는 더 강해질 수 있어. 반면에 미국의 재정 적자는 심화될 가능성이 높고, 이는 장기적으로 미국 경제에 부담이 될 수 있어.
결론: 공부하고 기다려야 해
지금은 신규 투자보다는 보유한 주식을 계속 가져가는 전략이 좋아. 이미 많이 올라서 지금 들어가는 건 늦었다고 볼 수도 있어. 다음 투자 기회를 기다리면서 꾸준히 공부하는 것이 중요해.
더 많은 정보와 함께 공부하고 싶다면 멤버십에 가입해서 단톡방에 참여해 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