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부 세특 작성법과 핵심 비법 정리 | 입시 성공을 위한 해설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 오늘은 학생부의 세부 능력 및 특기 사항, 즉 세특에 대해 이야기할게요.
- 학생부 하면 성적이 먼저 떠오르지만, 세특도 매우 중요해요.
- 요즘은 학생부 교과 전형에서도 세특이 활용되고 있어요.
- 심지어 서울대는 정시에서도 세특을 반영하고 있답니다.
- 앞으로 2028학년도 대입에서는 세특 반영이 더 확대될 가능성도 있어요.
- 세특은 과목 선생님이 학생의 모습을 관찰해 기록하는 거예요.
- 수업 참여, 탐구 활동, 태도 등을 500자 이내로 적어요.
- 이 기록은 학생의 학업 역량과 자기 주도성, 관심 분야를 보여줍니다.
- 대학은 이 기록을 통해 학생의 구체적인 모습을 파악하죠.
- 예를 들어, 동국대의 세특 사례를 보면 학생의 탐구력과 활동 내용이 나와요.
- 지역 방언 연구와 심화 탐구 보고서 작성 내용이 구체적이죠.
- 이런 활동은 학생의 진로와 관심사를 잘 보여줍니다.
- 반면, 아쉬운 사례도 있는데요, 예를 들어 수학 관련 세특이 없어요.
- 전공과 관련된 활동이긴 하지만 수학적 사고력은 드러나지 않죠.
- 교과목과 전공이 연계된 활동이 중요해요.
- 예를 들어 AI 관심이면, 관련 과목 활동이 보여야 해요.
- 여러 과목이 하나의 관심과 연결되면 더 좋아요.
- 어떤 주제로 탐구할지 고민이 많을 텐데, 진짜 궁금한 것부터 시작하세요.
- 대학 가이드북 사례를 참고하는 것도 좋아요.
- 예를 들어, 경북대, 동국대 등에서 공개된 세특 예시를 봐보세요.
- 활동 그대로 따라 하라는 게 아니고, 아이디어 얻는 용도로 활용하세요.
- 과거 대학 설명회에서 공개된 활동이 너무 똑같이 나오기도 했어요.
- 그런 기록은 좋은 평가를 받기 어려워요.
- 진학사 고1리 서비스도 도움 될 수 있어요.
- 선배들이 생기부 작성 팁과 탐구 주제 추천을 해주거든요.
- 이 서비스는 선배들의 경험을 참고해서 본인 활동을 계획하는 데 도움돼요.
- 오늘은 세특 작성법과 활용법을 알아봤어요.
- 꼭 이대로 써야 하는 건 아니고, 다양한 역량을 보여줄 수 있어요.
- 수업 모습, 태도, 소통 능력 등 여러 면을 보여줄 수 있죠.
- 중요한 건 수업 중 열심히 배우고 탐구하는 모습이에요.
- 그러면 선생님과 대학에 좋은 인상을 남길 수 있어요.
- 힘든 학교 생활이지만 조금만 더 힘내보세요.
- 오늘은 여기서 마치고, 다음에 또 만나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