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유튜브 영상의 자막과 AI요약을 추출해보세요

AI 채팅

BETA

스스로 동기부여하는 심리 비밀 공개! 당신도 변할 수 있다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스스로를 움직이게 하는 힘: 4가지 C

경계? 하면 규칙, 법, 제한, 부모님, 선생님 같은 게 떠오르지? 물론 이런 것도 필요해. 우리도 누군가의 도움이 필요하니까.

근데 말이야, 가끔은 경계를 넘어서도록 영감을 주는 사람들도 있잖아? 시키는 것 이상으로, 우리가 원해서 하게 만드는 사람들. 어떻게 그게 가능할까? 연구 결과를 알려줄게. 이건 다른 사람을 위해서가 아니라, 너 자신을 위해서야.

핵심은 이거야. 남과 나 자신을 어떻게 스스로 동기 부여할까? 이걸 어려운 말로 '권능'이라고도 해.

경영학에서는 '권능'을 이렇게 정의해. "적은 자원과 시간으로 일을 끝내는 것. 권한을 줬으니 해내라고."

근데 여기서 말하는 '권능'은 스스로 동기 부여했을 때 느끼는 힘이야. 이 힘을 느끼려면 세 가지 질문에 '예'라고 답해야 해. 이건 그냥 상식이 아니라 연구 결과야.

1. 할 수 있어? (자기효능감)

  • 내가 이걸 할 수 있다고 믿니? 시간, 지식, 훈련이 충분한가?
  • '예'라고 답하면 일단 좋아.

2. 성공할까? (반응효능감)

  • 내가 하는 이 과정이 결국 좋은 결과로 이어질 거라고 믿니?
  • 이걸 알려면 교육이나 훈련이 필요해.
    • 교육은 그냥 지식을 알려주는 거라면, 훈련행동과 피드백까지 포함하는 거야. (성교육 vs 성훈련 생각하면 쉽지?)
    • 온라인 훈련? 이건 좀 모순이지. 훈련은 직접 봐야 하는데 말이야.
  • '예, 통하는 만큼은'이라고 답하면 다음 질문으로 가자.

3. 그럴 가치가 있나? (동기)

  • 내가 하는 일이 나에게 가치가 있을까?
  • 결과에 따라 행동하는 건 당연한 거야. (스키너, 카네기 형님들이 말씀하셨지)
  • 이 세 가지 질문에 모두 '예'라고 답하면 자신감이 생기겠지? 가치 있는 일에 자신감이 생기면 스스로 동기 부여될 가능성이 높아.

4. 선택 (자율성)

  • 내가 이 일을 선택할 수 있다고 믿니?
  • 자율성이 있다고 믿으면 더 동기 부여돼.
  • 결과에 따라 움직이는 것도 있지만, 즐거운 결과를 위해 일할 때는 기분이 좋잖아? 이걸 긍정적 강화라고 해. 반대로 싫은 결과를 피하려고 하면 부정적 강화라고 하고.
  • 실패를 피하는 대신 성공을 탐색하게 하는 것이 중요해. 실패를 두려워하면 그냥 '필수'라서 하는 거고, 성공을 좇으면 '기회'라서 하는 거야. 이건 관점의 차이, 즉 패러다임의 차이야.

5. 공동체 (사회적 지지)

  • 나는 혼자가 아니야. 나는 연결되어 있어. 라고 느끼는 게 중요해.
  • 타인과의 연결을 느낄 때 더 동기 부여되고 행복해.
  • '쿠키 도둑' 이야기 알지? 누가 쿠키를 훔쳤다고 생각했는데, 알고 보니 내가 훔친 거였잖아. 이건 우리가 상황을 어떻게 해석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는 걸 보여줘.
  • 우리는 독립적인 존재이기도 하지만, 상호의존적인 존재이기도 해. 서로에게 힘이 되어줘야 해.

스스로를 움직이게 하는 4가지 C:

  1. Capability (능력): 내가 할 수 있다고 믿는 것.
  2. Consequence (결과): 내가 하는 일이 좋은 결과로 이어질 거라고 믿는 것.
  3. Choice (선택): 내가 이 일을 선택할 수 있다고 믿는 것.
  4. Community (공동체): 내가 혼자가 아니라고 느끼는 것.

이 네 가지를 기억하고, 자신에게 질문해보자.

  • 자신감을 인지하고, 결과가 중요하다는 걸 가르치고, 선택권을 인지시키고, 우리는 모두 함께라는 걸 알게 하자.

드럼 이야기처럼, 처음에는 어려워도 쪼개서 연습하고, 꾸준히 노력하면 결국 해낼 수 있어. 중요한 건 피드백을 받아들이고, 말할 용기를 내는 것. 그리고 서로 도와주는 것이야.

결국, 자신을 동기 부여하는 건 말하는 방식, 자신과 소통하는 방식에 달려있어.

최근 검색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