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ct, Next.js, Svelte, Supabase 인기템 속 레일즈만 고집하는 이유는?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 최근 질문이 많아 제 생각을 공유할게요.
- 지금은 수파베이스가 대세입니다.
- 1년 5개월 전에 추천 영상도 올렸었어요.
- MCP 연동으로 쉽고 편리해졌어요.
- 저는 리액트, 넥스트 JS도 써봤어요.
- 스벨트로도 2년간 사용했어요.
- 결국 루비온 레일즈로 돌아왔어요.
- 앞으로는 리액트 넥스트는 잘 안 쓸 것 같아요.
- 스벨트는 조금 쓸 수도 있겠어요.
- 리액트는 코드량이 많고 복잡해요.
- 최신 버전도 유즈메모, 유즈콜백 문제 있어요.
- 반응성 프로젝트는 전체 애플리케이션의 10% 정도예요.
- 대부분은 그냥 HTML, CSS, 자바스크립트면 충분해요.
- 리액트는 백엔드 API 필요로 해요.
- API는 넥스트 JS 또는 익스프레스 JS로 구현하죠.
- 코드량이 많고 DB도 별개로 관리해야 해요.
- API와 프론트는 각각 개발돼야 하고 소통 비용이 커요.
- 서버 컴포넌트로 혼자 개발 가능하지만 시장은 복잡하죠.
- API 방식이 더 간단하고 효율적일 때도 있어요.
- DB는 포스트그레스 추천하지만 느리면 확장하면 돼요.
- 레일즈는 모델, 뷰, 컨트롤러 구조로 되어 있어요.
- 모델은 데이터베이스와 연결되고 SQL 없이도 가능해요.
- 마이그레이션으로 안전하게 데이터 변경 가능해요.
- 레일즈는 루비로 읽기 쉽게 쓸 수 있어요.
- 데이터베이스 변경 내역도 쉽게 관리돼요.
- 레일즈는 SQLite, 포스트그레스 모두 지원해요.
- 뷰는 반응성 필요 없으면 굳이 리액트 안 써도 돼요.
- 서버에서 HTML 만들어 내려주면 충분하죠.
- 캐시도 내장돼 있어 성능 향상에 좋아요.
- 실시간 채팅은 솔리드 케이블과 웹소켓으로 쉽게 구현 가능해요.
- 레일즈는 터보로 일부 페이지만 갱신도 가능해요.
- 백그라운드 잡도 내장돼 있어 긴 작업도 처리 가능해요.
- 큐 서비스와 Redis 없이도 가능하죠.
- 서버 배포는 디지털오션 같은 저렴한 곳도 좋아요.
- 서버 비용은 직접 서버가 훨씬 저렴하죠.
- 인프런 강의도 추천드려요.
- 개발자라면 레일즈 심화 강의도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