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유튜브 영상의 자막과 AI요약을 추출해보세요

AI 채팅

BETA

유투버들이 자기도 모르게 실수하는 2가지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유튜브 영상, 왜 중간에 꺼버릴까? 대본만 잘 써도 시청 시간 확 늘어난다!

유튜브 영상 만들 때 시청 지속 시간, 진짜 중요하잖아? 근데 영상 끝까지 보게 만드는 거, 생각보다 어렵지? 다행인 건 사람들이 영상을 보다가 왜 끄는지 이유가 꽤 명확하다는 거야. 바로 기획, 대본, 편집 이 세 가지 중에 하나라도 삐끗하면 시청자가 훅 떠나버리는 거지.

오늘은 이 중에서 대본에 대해 이야기해볼게. 많은 사람들이 놓치는 대본의 두 가지 실수를 알려주고, 마지막엔 대본 수정에 도움 되는 GPT 프롬프트까지 공개할 테니 끝까지 집중해줘!

대본 실수 1: 지루함은 금물! 영상 중간중간 '훅'을 넣어라!

영상 처음 3초 안에 시청자 시선을 사로잡아야 한다는 건 다 알잖아? 근데 사람 마음이 그렇지가 않아. 한번 잡았다고 끝까지 가는 게 아니거든. 중간중간 추가적인 자극이 없으면 관심은 점점 식어버려.

그래서 처음뿐만 아니라 영상 중간중간에도 주의를 다시 확 잡아끄는 장치를 의도적으로 넣어줘야 해.

예시를 한번 볼까?

  • "처음부터 5,000원이 나오면 기분 좋게 시작했지만 역시 로또라는 것이 그렇듯 갈수록 손해만 늘어갔습니다. 하지만 괜찮습니다. 200장 중 단 하나라도 3등 이내에 당첨된다면 결국엔 손해보다 이득이 더 커지기 때문입니다. 이것 보세요. 또 4등이 나왔습니다. 하지만 그 뒤론 5,000원만 가끔씩 나올뿐 별다른 소식은 없었고..."
  • "아내와 딸을 만나니 알만도의 에너지가 채워지는게 눈에 보였습니다. 가족이랑 하루를 정말 소중하게 보냈죠."

어때? 뭔가 느낌이 오지 않아?

바로 "하지만" 이라는 단어가 나올 때,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다시 집중하게 돼. 왜냐하면 "하지만"은 지금까지와는 다른, 새로운 전환점이 시작된다는 신호거든.

이걸 알면 대본을 이렇게 바꿀 수 있어.

  • "처음부터 5,000원이 나오면 기분 좋게 시작했지만, 역시 로또라는 것이 그렇듯 갈수록 손해만 늘어갔습니다. 하지만 괜찮습니다. 200장 중 단 하나라도 3등 이내에 당첨된다면 결국엔 손해보다 이득이 더 커지기 때문입니다. 이것 보세요. 또 4등이 나왔습니다. 하지만 그 뒤론 5,000원만 가끔씩 나올 뿐 별다른 소식은 없었고..."
  • "아내와 딸을 만나니 알만도의 에너지가 채워지는 게 눈에 보였습니다. 가족과 함께 하루를 정말 소중하게 보냈죠. 하지만 이런 순간은 더 쏜살같이 지나가는 법이죠. 그래서 떨어질 수 있겠죠. 하지만 가족과 떨어져 있는 것만 알만도를 괴롭히는 건 아니었습니다."

이렇게 시청자의 감정을 들었다 놨다 하는 것처럼 대본을 설계하면, 마치 롤러코스터를 타는 것처럼 지루할 틈 없이 영상을 보게 만들 수 있어. 이게 바로 시청 지속 시간을 높이는 진짜 비결이지!

이런 감정을 흔드는 단어 30개는 댓글에 따로 달아둘 테니 꼭 저장해둬!

대본 실수 2: 너무 어려우면 안 봐! 초등학생도 이해하게 써라!

두 번째 실수는 바로 이해하기 어렵게 쓰는 것이야. 재밌는 이야기 하나 해줄게. 영어에는 '가독성 테스트'라는 게 있는데, 내가 쓴 글이 얼마나 이해하기 쉬운지 평가해 주는 도구래.

근데 전 세계에서 구독자 제일 많은 유튜버, 미스터비스트의 대본을 이 테스트로 돌려보면 초등학교 5학년 수준으로 나온다는 거야. 신기한 건 구독자 천만 명 넘는 다른 유튜버들도 거의 똑같은 결과가 나온다는 거지. 이건 절대 우연이 아니야.

그 이유는 간단해. 사람들은 유튜브를 책처럼 집중해서 보는 게 아니라, 가능한 쉽고 부담 없이 보고 싶어 하기 때문이야. 그래서 우리의 대본도 그 수준에 맞춰야 해.

가독성을 높이는 방법은 네 가지가 있어.

  1. 쉬운 단어 쓰기: 특별한 목적이 없다면 어려운 말 대신 익숙한 단어로 바꿔 써.
  2. 능동태 쓰기: "누가 무엇을 했다"처럼 자연스러운 순서로 문장을 만들어. 수동태는 뇌가 한 번 더 생각하게 만들어서 피로도를 높여.
  3. 한자어 줄이기: 한자어 남발은 이해를 어렵게 만들어.
  4. 문장 짧게 쓰기: 긴 문장은 이해하기 힘들어. 내용을 쪼개거나, 긴 문장 뒤에는 짧고 쉬운 문장을 써서 시청자가 정보를 소화할 여유를 줘야 해.

이렇게 대본만 잘 다듬어도 시청 지속 시간이 확 달라질 수 있어.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부족해. 진짜 핵심은 기획에 있어. 영상 초반에 기대감을 심어주고, 그 기대를 어떻게 이어가고, 어떤 순간에 보상을 줄지 설계하는 것이 사람을 끝까지 몰입하게 만드는 진짜 힘이거든.

기획에 대한 이야기는 다음 영상에서 더 자세히 다룰 예정이니, 흐름 놓치고 싶지 않으면 지금 바로 구독해!

최근 검색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