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유튜브 영상의 자막과 AI요약을 추출해보세요

AI 채팅

BETA

브랜든 샌더슨의 플롯 비법! 2025년 작가 강연 Q&A 핵심 정리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글쓰기 강의 정리 (브랜든 샌더슨, 2025년 에디션) - 플롯 편

이번 강의는 플롯에 대한 질문과 답변 시간이야. 혹시 이 영상을 보고 플롯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다면, 이전 두 강의도 꼭 봐주면 좋겠어. 질문은 댓글로 남겨주면 다음 웨비나 Q&A 시간에 답변해 줄게!

1. 플롯에서 중요한 약속들

  • 톤 약속 외에 중요한 약속들:

    • 플롯 약속 (Little P plot): 어떤 종류의 플롯이 펼쳐질지 살짝 보여주는 거야. (예: 스타워즈 - 작은 배가 큰 배를 이긴다!)
    • 캐릭터 약속: 주인공이 어떤 사람인지,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는지 보여주는 거지. (예: 뮬란 - 똑똑하고 독창적인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한다!)
    • 캐릭터 아크 약속: 주인공이 어떻게 변하고 성장할지 보여주는 거야. (예: 디즈니 영화의 'I want' 노래 - 주인공이 무엇을 원하고 어떤 여정을 떠날지 보여줌)
    • "일어서서 환호할 순간" 약속: 주인공이 결국 승리할 거라는 기대감을 주는 거지. (예: 캡틴 아메리카 - 약하지만 정의로운 주인공이 결국 슈퍼 히어로로 변신한다!)
  • 체호프의 총: 이야기 초반에 보여준 것은 마지막에 꼭 사용해야 한다는 원칙이야. 독자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을 보여주면, 그것이 이야기에 영향을 미치게 해야 해.

2. 플롯이 너무 독창적이지 않다고 느껴질 때

  • 걱정은 금물: 대부분의 경우, 독창성은 글을 쓰면서 자연스럽게 나온다고 해. 너무 걱정하지 마.
  • 기존 틀에서 벗어나기: 사람들이 예상하는 전개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더 깊고 흥미로운 결정을 내려봐. (예: 웨이 오브 킹스 - 주인공이 예상과 다른 선택을 하면서 이야기가 달라짐)
  • 반전은 필수 아님: 반전이 꼭 필요한 건 아니야. 이야기가 더 흥미로워진다면 반전을 넣고, 아니라면 굳이 넣지 않아도 돼. (예: 오만과 편견 - 결국 주인공들이 이어지는 것으로 충분히 재미있음)
  • 장르 바꾸기: 플롯을 다른 장르나 하위 장르로 옮겨서 새로운 트로프를 활용해 봐. (예: 10 Things I Hate About You - 셰익스피어 작품을 현대적으로 재해석)
  • 기존 이야기 뒤집기: 기존 이야기의 단점을 파고들거나, 이야기를 뒤집어 봐. (예: 미스트본 - 해리포터의 어둠의 군주들이 항상 아이에게 패배하는 것에 대한 반발로 탄생)

3. 시리즈물에서 약속을 지키지 않는 것에 대하여

  • 일부 약속은 지키지 않아도 괜찮아: 모든 약속을 다 지킬 필요는 없어. 독자들은 일부 약속이 지연되는 것을 받아들일 수 있어.
  • 첫 책은 완성된 이야기로: 신인 작가는 첫 책에서 완결된 이야기를 보여주는 것이 좋아. 시리즈로 이어질 가능성은 열어두되, 첫 책 자체로도 만족감을 줄 수 있어야 해. (예: 스카이워드, 스틸하트, 미스트본)
  • 큰 약속과 작은 약속: 시리즈 전체의 큰 약속은 나중에 해결하더라도, 각 책의 주요 캐릭터 아크나 작은 약속은 꼭 지켜줘야 해.

4. 플롯 짜는 방법

  • 개인에게 맞는 방법 찾기: 자신에게 맞는 플롯 짜는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해. 과거에 효과적이었던 방법을 활용해 봐.
  • 극단적인 방법 시도: 완전히 계획적인 방법과 즉흥적인 방법(Discovery writing)을 모두 시도해보고, 자신에게 맞는 방식을 찾아봐.
  • 아웃라인 작성:
    • 이야기의 주요 플롯 사이클(주요 줄거리, 캐릭터 아크 등)을 파악해.
    • 각 플롯 사이클의 시작과 끝, 그리고 중간의 중요한 사건들을 나열해.
    • 이것들을 조합하여 책의 전체적인 흐름을 구성해. (예: 샌더슨의 아웃라인 방식 - 주요 플롯, 캐릭터 상호작용, 정보 플롯 등을 구분하여 진행)

5. 플롯 구성 요소와 주의할 점

  • 복잡한 플롯 관리: 여러 플롯을 겹칠 때는 독자가 혼란스럽지 않도록 순서를 잘 조절해야 해. 때로는 플롯을 분리하여 각 캐릭터의 아크를 강조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어.
  • 설명(Exposition) 다루기:
    • 학습 곡선: SF/판타지 장르는 독자가 배워야 할 것이 많아 학습 곡선이 가파를 수 있어.
    • 설명 덤프 피하기: 한 번에 많은 정보를 쏟아내는 것은 지양해야 해.
    • 대화 활용: 대화 속에 자연스럽게 정보를 녹여내. (예: 메이드 버틀러 대화처럼 부자연스러운 설명은 피할 것)
    • 독자가 모르게: 독자가 눈치채지 못하게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 중요해. (예: 시금치를 스무디에 넣어주는 것처럼)
    • 장면 활용: 특정 장면을 통해 자연스럽게 정보를 전달해. (예: 호빗 - 드워프들이 빌보의 음식을 먹는 장면을 통해 세계관과 캐릭터를 보여줌)
  • 학습 곡선 완만하게 만들기:
    • 중간 설정: 평범한 세계에서 시작하여 독자가 캐릭터와 상황에 익숙해지도록 시간을 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야. (예: 해리포터, 호빗)
    • 마법의 불꽃: 이야기 초반에 약간의 마법이나 신비로운 요소를 넣어 독자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어.

6. 만족스러운 실패와 반전

  • 캐릭터의 실패: 캐릭터가 목표를 달성하지 못하더라도, 그 과정이 설득력 있고 의미 있다면 만족감을 줄 수 있어.
    • 후속작의 존재: 다음 이야기가 있다는 것을 알면 실패가 덜 충격적일 수 있어. (예: 제국의 역습)
    • 우주적 질서: 캐릭터의 실패가 당연하거나, 우주적 질서에 맞는 결과라면 독자는 받아들일 수 있어. (예: 부치 캐시디와 선댄스 키드)
    • 달콤쌉싸름한 결말: 일부는 성공했지만, 많은 것이 실패했을 때도 만족감을 줄 수 있어. (예: 반지의 제왕 - 프로도가 반지를 파괴하지만, 많은 것을 잃음)
  • 반전의 가치:
    • 충격 vs. 서스펜스: 단순히 충격을 주는 반전보다는, 독자가 예상할 수 있도록 복선을 깔아두는 것이 더 효과적이야.
    • 독자의 반응: 독자들이 반전을 예상하고, 그 과정에서 흥미를 느낀다면 좋은 반전이라고 할 수 있어.
    • 주제와 연결: 반전은 이야기의 주제나 캐릭터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사용되어야 해.

7. 복선과 내부 일관성 (Discovery Writer를 위한 팁)

  • 수정 단계에서 해결: 복선은 수정 단계에서 쉽게 추가하거나 조절할 수 있어.
  • 독자의 기대 활용: 독자가 예상하는 것을 파악하고, 그 예상을 살짝 비틀어 복선을 숨길 수 있어.
  • 세 번의 법칙: 어떤 것을 세 번 언급하면 독자는 그것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게 돼.
  • 캐릭터의 시선 활용: 캐릭터가 주목하는 것에 독자도 주목하게 돼. 이를 통해 복선을 자연스럽게 전달할 수 있어. (예: 스톰라이트 아카이브 - 주인공이 아닌 다른 인물의 시선으로 주인공을 보여주며 매력을 부각)

8. 중간 클라이맥스 이후의 품질 유지

  • 결말 클라이맥스로 이동: 중간 클라이맥스가 너무 강력하다면, 그것을 책의 최종 클라이맥스로 옮기는 것을 고려해 봐.
  • 더 멋진 결말 만들기: 중간 클라이맥스 이후에도 독자가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결말을 더욱 멋지게 만들어야 해.
  • 균형 잡기: 여러 캐릭터의 이야기가 있다면, 특정 캐릭터의 이야기가 다른 캐릭터의 이야기에 비해 지루하게 느껴지지 않도록 균형을 맞춰야 해.

9. 베타 리더에게 물어볼 질문

  • 지루한 부분: "어디에서 책을 덮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나요?"
  • 흥미로운 부분: "어떤 부분이 가장 흥미로웠고 계속 읽고 싶게 만들었나요?"
  • 정보 전달: "정보가 너무 많거나 적다고 느낀 부분이 있었나요?"

이 강의를 통해 플롯 구성에 대한 많은 팁을 얻었기를 바라! 다음 시간에 또 보자!

최근 검색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