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유튜브 영상의 자막과 AI요약을 추출해보세요

AI 채팅

BETA

산재 후유장해 등급별 장해급여 완벽 가이드! 산재보상 꿀팁 공개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산재 후유장해, 제대로 받고 싶다면?

산재로 다치면 치료받는 동안 휴업급여를 받아서 당장의 생활비 걱정은 좀 덜 수 있어. 그런데 많은 사람들이 산재 치료 끝나고 나서 예전처럼 일을 계속할 수 있을지, 아니면 또 다른 보상을 받을 수 있을지 걱정하더라고.

산재 보상은 치료 기간 동안의 휴업급여 말고는 후유장해급여가 전부거든. 그래서 오늘은 산재 후유장해 기준이랑 등급 받는 방법, 그리고 개인 보험이랑도 어떻게 연결되는지 쉽게 알려줄게.

1. 산재 장해급여, 어떻게 받을까?

산재 장해급여는 1급부터 14급까지 등급이 나뉘어 있어. 등급이 높을수록 더 많이 받을 수 있고, 7급 이상이면 연금으로 받을 수도 있어. 이건 본인한테 뭐가 더 유리한지 잘 따져보고 신청해야 해.

  • 14급: 55일치 임금
  • 13급: 99일치 임금
  • 12급: 154일치 임금

2. 산재 후유장해 기준, 부위별로 달라!

어디를 다쳤는지에 따라 후유장해 기준이 달라져. 예를 들어 다리를 다쳤으면 다리 기준, 척추를 다쳤으면 척추 기준이 따로 있어.

  • 척추 압박골절:
    • 수술했으면: 운동 장애로 평가받아.
    • 수술 안 했으면: 척추가 얼마나 찌그러졌는지 (압박률)에 따라 평가받아.
      • 5~10% 압박률: 14급
      • 압박률이 높을수록 등급도 올라가.
    • 꿀팁! 척추 신경에 문제가 있다면 근전도 검사 등으로 추가 상병을 확인해서 1~2등급 더 받을 수도 있어.

3. 산재 등급, 어떻게 결정될까?

산재 등급은 크게 두 가지 과정을 거쳐 결정돼.

  1. 후유장해 진단서 작성: 치료받았던 병원의 주치의 선생님이 작성해줘.
  2. 근로복지공단 심사: 진단서를 제출하면 공단에서 심사를 거쳐 등급을 결정해.

그러니까 보상을 잘 받으려면 이 두 가지 과정 모두 신경 써야 해!

4. 개인 보험이랑은 어떻게 다를까?

산재 후유장해 기준이랑 개인 보험 후유장해 기준은 다른 경우가 많아.

  • 척추의 경우:
    • 산재: 주로 압박률로 평가하지만,
    • 개인 보험: 불안정성을 기준으로 평가하는 경우가 많아.

개인 보험은 후유장해 진단을 어디서 받을지 선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그래서 주치의 선생님뿐만 아니라 다른 전문 의사에게도 진단을 받아보는 게 좋아. 조금이라도 유리한 쪽으로 평가받으면 산재 등급도 잘 받고 개인 보험금도 더 받을 수 있거든.

5. 보상금이 부족하다면?

만약 산재 후유장해 등급을 받았는데 보상금이 부족하다고 느껴진다면, 사업주가 가입한 근로자 재해보장보험을 통해 추가 보상을 받을 수도 있어. 사업주가 이 보험에 가입하지 않았다면, 일반 민사소송으로 청구할 수도 있고.

다만, 산재 후유장해 진단 기준과 근로자 재해보장보험의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산재가 종결된 후에 맥브라이드 방식 등으로 후유장해 진단 평가를 받아보고 손해액을 계산해서 추가 청구하는 게 좋아.

결론적으로, 산재 후유장해 등급을 잘 받으려면:

  •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을 한번쯤 확인해보고,
  • 본인의 부상이 어떻게 평가되는지 알아보는 것이 중요해.

앞으로도 유익한 정보 많이 알려줄 테니 계속 구독해줘!

최근 검색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