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르시시스트를 정신 나가게 하는 행동들 (심리상담가 김용희)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나르시시스트, 왜 자존감 높은 사람을 싫어할까? 그리고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나르시시스트는 자신감 넘치고 주체적인 사람을 싫어해. 왜냐하면 그런 사람들은 나르시시스트의 통제나 가스라이팅에 쉽게 넘어가지 않거든.
자존감 높은 사람의 특징:
- 자신의 장점과 단점을 모두 인정해: 그래서 다른 사람을 볼 때도 완벽하게 보지 않고, 좋은 점과 나쁜 점을 모두 받아들여.
- 이상화하지 않아: 나르시시스트처럼 자신을 과대평가하거나 남을 맹목적으로 숭배하지 않아.
나르시시스트가 자존감 높은 사람을 무서워하는 이유:
- 통제가 안 돼: 나르시시스트는 자신의 부족한 부분을 들키고 싶지 않아서 남을 통제하려고 해. 하지만 자존감 높은 사람들은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개선하려는 의지가 있어서 나르시시스트의 통제에 쉽게 넘어가지 않아.
- 단점까지 봐: 나르시시스트는 자신의 완벽한 모습만 보여주고 싶어 하는데, 자존감 높은 사람들은 나르시시스트의 부족한 부분까지도 알아채고 지적할 수 있어.
나르시시스트에게서 벗어나는 방법:
- 빨리 알아차리고 멀어져: 나르시시스트는 잘 변하지 않아. 성격은 어릴 때부터 형성되기 때문에 바꾸려고 노력하기보다는 빨리 관계를 정리하는 것이 좋아.
- 그들의 욕망의 대상이 되지 마: 나르시시스트는 자신의 공허함을 채워줄 사람을 찾아. 의존적이거나 착취적인 사람에게 끌리는 경향이 있어.
- 무반응으로 일관해: 나르시시스트는 상대방의 반응을 통해 자신의 영향력을 확인해. 화를 내거나 기분 나빠하는 것도 그들에게는 보상이 될 수 있어. 약간의 무반응으로 일관하면 그들은 흥미를 잃고 멀어질 거야.
- 내 탓으로 돌리지 마: 나르시시스트는 가스라이팅을 통해 자신의 잘못을 남에게 돌리려고 해. "네가 잘못했잖아"라고 몰아붙여도 절대 내 탓으로 여기지 말고, 객관적으로 상황을 판단해야 해.
- 자기 분석과 상담: 만약 자신이 나르시시스트에게 휘둘리는 성향이 있다면, 자기 분석을 하거나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아.
나르시시스트, 모두 똑같을까?
나르시시스트라고 해서 모두 위험한 것은 아니야. 우리 모두에게는 어느 정도의 자기애가 필요해. 하지만 심각한 나르시시스트 성격 장애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여:
-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는 과시: 사회적 상황에 맞지 않게 자신을 과대평가하고 자랑해.
- 타인의 공로를 가로채거나 자신의 잘못을 남에게 떠넘겨: 남의 성과를 자기 것처럼 포장하거나, 잘못을 해도 절대 인정하지 않고 남 탓만 해.
- 현실적인 손실이나 괴로움: 이러한 행동 때문에 사회생활에 어려움을 겪거나 경제적 손실을 보기도 해.
- 대인관계에서의 착취: 주변 사람들을 이용하고 착취하는 경향이 뚜렷해.
외현적 나르시시스트 vs 내현적 나르시시스트:
- 외현적 나르시시스트: 자신의 우월함을 드러내고 찬사를 요구해.
- 내현적 나르시시스트: 겉으로는 겸손하고 수줍어 보이지만, 속으로는 타인의 평가에 민감하고 자신을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어.
나르시시스트는 어떻게 만들어질까?
- 굴복: 어릴 때부터 부모의 통제나 가스라이팅에 굴복하며 자라, 타인의 욕구에 맞춰 살아가는 방식에 익숙해져.
- 도망: 어린 시절의 상처 때문에 대인관계를 회피하고 사회적으로 고립되는 경우도 있어.
- 과잉 보상: 자신의 결핍을 채우기 위해 부모의 나르시시스트적인 모습을 답습하며 자신도 나르시시스트가 되는 경우도 있어.
나르시시스트라는 용어의 유래: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나르키소스라는 아름다운 소년이 자신의 모습에 반해 호수에 빠져 죽은 이야기에서 유래했어. 처음에는 자신의 몸을 성적인 대상으로 삼는 사람들을 지칭했지만, 점차 자신을 과대평가하고 자기중심적인 사람들을 통칭하는 용어로 사용하게 되었지. 에코이스트라는 용어도 나르키소스를 사랑했던 요정의 이름에서 따온 거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