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고용쇼크 충격! 통계조작과 빅컷 금리인하설 긴급분석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미국 고용 통계 조작 의혹과 앞으로의 경제 전망
미국에서 일자리 통계가 조작되었다는 의혹이 터졌어. 담당 국장이 해고될 정도로 심각한 문제인데, 이게 무슨 뜻이냐면 실제로는 미국 고용 상황이 생각보다 훨씬 안 좋았을 수 있다는 거야.
1. 통계 조작 의혹, 대체 무슨 일?
- 핵심은 '비농업 부문 일자리': 이게 뭐냐면 농업 말고 다른 모든 분야에서 일자리가 얼마나 늘었는지 보여주는 지표야.
- 처음 발표 vs 나중에 수정:
- 처음 발표 때는 6월, 5월 취업자 수가 각각 14만 4천 명, 14만 7천 명 늘었다고 나왔어. 시장 기대치보다 좋았지.
- 근데 나중에 보니까 5월은 14만 4천 명이 아니라 1만 9천 명으로, 6월은 14만 7천 명이 아니라 1만 4천 명으로 수정된 거야. 거의 10분의 1 토막이지.
- 7월 고용 통계도 안 좋았어: 7월에는 7만 3천 명 늘었다고 나왔는데, 이것도 기대보다 못했고 실업률도 올랐어.
- 결론: 이런 통계 조작 의혹 때문에 실제 미국 고용 상황이 우리가 알던 것보다 훨씬 안 좋았고, 어쩌면 이미 고용 침체가 시작된 거 아니냐는 말이 나오고 있어. 만약 처음부터 제대로 발표됐다면 금리 인하가 더 빨리 결정되었을 수도 있다는 분석도 있어.
2. 통계 조작 vs 실수?
- 실수라면: 의도하지 않은 거겠지.
- 의도적인 조작이라면: 이건 범죄야. 엄청난 범죄지.
- 트럼프 반응: 트럼프는 바이든 행정부가 통계를 조작했다고 주장했고, 바이든이 임명한 노동통계국장(에리카 메켄타포)을 해고했어. 이분은 우리나라로 치면 통계청장 같은 역할인데, 2024년 1월에 임명된 분이야.
3. 실제 미국 고용 시장은 어때?
통계 조작 의혹을 떠나서, 실제 고용 시장도 좋지만은 않아.
- 신규 고용 증가 속도 둔화: 일자리가 늘어나는 속도가 점점 느려지고 있어.
- 실업률 상승 추세: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돌아왔던 실업률이 다시 조금씩 오르고 있어. 연준(미국 중앙은행)도 2025년에는 실업률이 4.5%까지 오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어.
- 임금 상승률 둔화, 근무 시간 감소: 시간당 평균 임금 오르는 속도도 느려지고, 일하는 시간도 줄어들고 있어.
이런 상황 때문에 미국 주가가 급락하고 금리 인하 가능성이 다시 높아졌어. 사람들은 "고용이 이렇게 안 좋으면 금리를 내려야 하는 거 아니야?"라고 생각하는 거지.
4. 앞으로 어떻게 될까?
- 경기 침체 우려: 고용 쇼크와 실업률 상승은 미국 경제가 침체될 수 있다는 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어. 그래서 주식 시장에서 위험한 자산(주식, 비트코인 등)을 팔고 안전 자산으로 옮겨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지.
- 금리 인하 가능성: 고용 시장이 안 좋아지면 연준은 금리를 내릴 수 있어. 하지만 연준의 두 가지 목표(최대 고용, 물가 안정) 중에서 지금은 물가도 높은 상황이라 딜레마에 빠져있어.
- 연준의 선택:
- 물가 우선: 연준 위원들은 물가가 너무 높기 때문에 고용이 좀 안 좋아지더라도 물가를 잡는 걸 우선시할 가능성이 높아. 즉, 실업률이 오르는 것을 물가 안정을 위해 감수할 수 있다는 거지.
- 고용 강조: 반대로 고용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위원들은 금리 인하를 주장할 수도 있어.
- 시장 반응: 처음에는 고용 쇼크를 '미국 경제 침체'로 받아들여 주가가 떨어지겠지만, 곧 '금리 인하 가능성'으로 해석하며 다시 반등할 수도 있어. 마치 "나쁘지만, 금리 인하 때문에 좋은 거네?" 하는 식으로 말이야.
5. 주요 은행들의 전망
- 금리 인하 없을 것: 일부 은행은 물가 때문에 금리 인하가 없을 거라고 봐.
- 9월부터 금리 인하: 다른 은행들은 9월부터 금리를 내릴 거라고 예상하기도 해.
결론적으로, 미국 고용 시장이 안 좋아지고 있다는 건 분명해. 하지만 이게 경기 침체로 이어질지, 아니면 금리 인하를 통해 잘 극복할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것 같아.
참고: 이 내용은 전문가의 의견이며, 투자 결정은 스스로 신중하게 해야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