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뜨고 당하는 돈 손실, 마이클 세일러의 충격 경고!
인플레이션, 제대로 알고 있니?
정부 말만 믿지 마! 진짜 인플레이션은 따로 있어.
요즘 뉴스에서 인플레이션 얘기 많이 나오지? 정부에서는 물건 가격이 얼마나 올랐는지 '소비자물가지수(CPI)' 같은 걸로 발표하는데, 이게 우리가 느끼는 거랑 좀 다를 수 있다는 거야. 왜냐하면 정부는 사람들이 주로 사는 물건들(휴지, 음식, 전자제품 등)을 모아서 '바구니'를 만들고, 그 바구니 가격이 얼마나 올랐는지 보는 거거든.
근데 이게 다가 아니야! 진짜 문제는 따로 있어.
정부는 가끔 이 '바구니'에 담긴 물건들을 바꿔. 예를 들어, 예전에는 넓은 아파트가 필요했지만 요즘은 기술 발전 때문에 작은 집에서도 충분히 살 수 있잖아? 그래서 집 크기를 줄여서 바구니에 넣으면, 집값이 올라도 인플레이션이 낮게 나올 수 있다는 거지. 마치 우리가 원하는 답을 얻기 위해 문제를 바꾸는 것처럼 말이야.
더 큰 문제는 따로 있어. 바로 '자산'이야.
집, 주식, 채권, 비트코인 같은 것들을 '자산'이라고 불러. 이건 우리가 먹거나 쓸 수 있는 물건이 아니잖아? 근데 정부는 이런 자산 가격이 오르는 건 인플레이션으로 잘 안 잡아. 왜냐하면 자산은 계속 만들 수 있는 게 아니라 희소성이 있거든.
예시를 들어볼게.
예전에 100만 달러짜리 채권이 있어서 연 5% 이자로 5만 달러를 벌 수 있었다고 해보자. 이걸로 은퇴해서 편하게 살 수 있었지. 근데 정부가 돈을 많이 풀어서 이자율이 0.5%로 떨어지면 어떻게 될까? 똑같은 채권 가격이 1000만 달러로 올라버려. 그럼 은퇴하려면 10배나 더 많은 돈이 필요하게 되는 거야. 이게 바로 '자산 인플레이션'인데, 정부는 이걸 잘 안 보여준다는 거지.
결론적으로,
정부가 발표하는 인플레이션율은 우리가 실제로 느끼는 것과 다를 수 있어. 특히 집값이나 주식 가격 같은 자산 가격이 오르는 건 제대로 반영되지 않는 경우가 많지. 그래서 우리는 정부 발표만 믿지 말고, 우리 주변의 물가와 자산 가격 변화를 잘 살펴봐야 해. 그래야 진짜 인플레이션이 뭔지 제대로 알 수 있을 거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