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유튜브 영상의 자막과 AI요약을 추출해보세요

AI 채팅

BETA

[지식뉴스 EP.59] 환율 천재 베센트, '이것' 노렸다...막무가내 트럼프를 위한 완벽한 판 준비했나, 미국이 진짜 무서운 이유 (ft.오건영 단장) / 교양이를 부탁해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미국 관세 협상, 앞으로 어떻게 될까?

미국이 다른 나라들과 관세 협상을 하면서 몇 가지 요구사항을 내걸었어. 이걸 알면 앞으로 경제가 어떻게 돌아갈지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거야.

미국이 원하는 것들

  1. 시장 개방: 미국은 다른 나라들에게 자기네 물건을 더 많이 팔 수 있도록 시장을 열어달라고 했어. 예를 들어, 동남아 국가들에게는 미국 물건을 수입할 때 관세를 낮춰주고, 대신 미국 비행기 같은 걸 사라고 요구했지. 한국, 일본, 유럽한테는 더 적극적으로 시장을 열고, 미국산 에너지(LNG)도 사라고 했어. 한국은 약 1000억 달러, 유럽은 7500억 달러 정도를 사야 할 수도 있대.

  2. 대미 투자 확대: 미국은 다른 나라들이 미국에 돈을 투자하라고 했어. 일본은 5500억 달러, 유럽은 600억 달러, 한국은 3500억 달러를 투자하라고 했지. 특히 한국은 조선 산업에 1500억 달러를 투자하라고 했어.

  3. 최소 관세 유지 (15%): 미국은 다른 나라에서 물건을 수입할 때 최소 15%의 관세를 매기기로 했어. 이건 미국 제조업을 보호하고, 다른 나라 물건과 가격 경쟁에서 밀리지 않기 위한 거야. 일본은 관세를 아예 없애고 싶어 했지만, 결국 15%를 받아들였지.

왜 이런 걸까?

미국이 이렇게 하는 이유는 간단해.

  • 미국 제조업 부흥: 공장도 짓고, 물건도 팔려면 돈이 필요하잖아. 시장을 열어서 물건을 팔고, 투자를 받아서 돈을 마련하려는 거지.
  • 가격 경쟁력 확보: 15% 관세 덕분에 미국에서 만든 물건이 다른 나라 물건보다 비싸지지 않게 되는 거야.

앞으로 어떻게 될까?

이제 우리는 '관세가 있는 세상'에서 살아야 해.

  • 물가 상승 및 성장 둔화 가능성: 관세가 붙으면 물건 가격이 오르고, 사람들이 물건 사기 힘들어지면 경제 성장이 둔화될 수도 있어.
  • 환율 전쟁 가능성: 다른 나라들은 관세 때문에 수출이 어려워지면 자국 통화 가치를 낮추려고 할 거야. 예를 들어, 대만이 자기 나라 돈 가치를 5% 낮추면 미국과 비슷해지거든. 이렇게 각자 통화 가치를 낮추려고 하면 '환율 전쟁'이 벌어질 수 있어.
  • 미국의 '더 약한 달러' 선호: 트럼프 대통령은 강한 달러보다 약한 달러를 좋아한다고 말했어. 약한 달러는 미국 물건을 더 많이 팔 수 있게 도와주거든. 다른 나라들이 통화 가치를 낮추려고 하면, 미국은 '더 약한 달러'를 만들어서 대응할 수도 있어.

왜 예전보다 시장이 덜 흔들릴까?

지난 4월에는 미국이 갑자기 많은 나라에 관세를 매겨서 금융 시장이 크게 흔들렸는데, 이번에는 상대적으로 조용해. 그 이유는 다음과 같아.

  1. 시장의 적응: 시장이 관세 이슈에 익숙해졌어.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변화에 예전만큼 놀라지 않는 거지.
  2. 순차적인 관세 부과: 이번에는 한 번에 많은 나라에 관세를 매기는 대신, 나라별로 협상하면서 순서대로 관세를 부과하고 있어. 그래서 충격이 덜한 거야.
  3. '풋'의 존재: 시장이 흔들릴 때 밑에서 받쳐주는 '풋'이라는 게 있어.
    • 연준 풋: 미국 중앙은행(연준)이 금리를 내려주는 것.
    • 트럼프 풋: 트럼프 대통령이 시장 상황을 보고 정책을 조절하는 것.
    • 재무부 풋: 미국 재무부가 경기 부양을 위해 돈을 푸는 것 (감세, 규제 완화 등).

지난 4월에는 이런 '풋'들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는데, 지금은 연준이 금리를 내릴 가능성이 있고, 트럼프 대통령도 정책을 조절할 여지가 있으며, 재무부도 감세와 규제 완화로 경기를 부양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마치 세 개의 다리로 균형을 잡는 의자처럼, 한쪽에서 문제가 생겨도 다른 쪽에서 받쳐주는 거지.

결론적으로, 미국은 시장 개방, 대미 투자 확대, 최소 관세 유지를 통해 자국 제조업을 강화하려고 하고 있어. 앞으로 관세와 환율 변동에 주목해야 할 거야.

최근 검색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