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점 전환으로 인생 역전! 부자 되는 필독 인생책 추천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프레임: 세상을 보는 나만의 안경
이 글은 '프레임'이라는 책을 통해 우리가 세상을 어떻게 바라보고 판단하는지에 대한 심리 게임을 소개하고, 삶에 적용할 수 있는 팁을 알려주는 내용이야.
1. 프레임이란?
- 핑크 대왕 이야기: 핑크 대왕은 세상을 온통 핑크색으로 칠하고 싶었지만 하늘은 칠할 수 없었어. 그래서 스승은 핑크 대왕에게 핑크색 안경을 씌워줬고, 핑크 대왕은 세상을 핑크색으로 보며 행복하게 살았지.
- 나만의 안경: 우리도 각자 보고 들은 경험을 바탕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안경'을 쓰고 있어. 이 안경 때문에 같은 세상도 다르게 보이는 거지.
- 경험이 기준: 사람은 자신이 경험한 것을 기준으로 생각하고 판단해. 예를 들어, 어린 나는 24시간 문을 열지 않는 식당이 이해되지 않았지만, 식당 주인이 되어본 적이 없었기 때문이야.
- 다양한 이유: 어떤 일에는 한 가지 이유만 있는 게 아니라 여러 가지 복합적인 이유가 있어. '왜 저럴까?' 대신 '무슨 이유가 있지 않을까?'라고 생각하면 오해를 줄일 수 있어.
2. 심리 게임 1: 통계의 함정
- 질문의 순서: 같은 질문이라도 순서에 따라 통계 결과가 달라질 수 있어. 예를 들어, "데이트를 몇 번 했나요? 요즘 얼마나 행복하신가요?"라고 물으면 행복과 데이트의 상관관계가 높게 나오지만, 순서를 바꾸면 낮게 나와.
- 프레임으로 작용: 앞선 질문이 뒤에 오는 질문을 해석하는 '프레임'으로 작용하기 때문이야. 데이트가 행복의 주된 프레임이 되는 거지.
- 통계 맹신 금지: 신문 기사나 통계 결과를 볼 때, 질문 방식이나 조사 대상 등을 고려해서 맹신하지 말고 참고만 하는 게 좋아.
3. 심리 게임 2: 사람 프레임 vs 상황 프레임
- 남을 판단할 때: 우리는 다른 사람을 볼 때 "저 사람은 원래 그런 사람이야"라고 사람 자체로 판단하는 경향이 있어. (예: 친구가 늦으면 시간 개념이 없다고 생각)
- 나를 볼 때: 하지만 자신을 볼 때는 "차가 막혀서 늦었어"처럼 상황적인 이유를 들어 합리화하지.
- 상황 고려: 다른 사람의 행동도 그럴 수밖에 없었던 상황을 고려해서 이해하려고 노력해야 해. 그래야 분노나 오해를 줄일 수 있어.
4. 심리 게임 3: 방관자 효과와 동조 압력
- 방관자 효과: 위급 상황에서 주변에 사람이 많을수록 내가 나서서 돕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져. "다른 사람들도 가만히 있으니 괜찮겠지"라고 생각하기 때문이야. (예: 대구 지하철 참사 당시 사람들이 앉아 있었던 모습)
- 동조 압력: 많은 사람들이 틀린 의견을 말할 때, 나도 그 의견에 동조하게 되는 현상이야. 혼자서는 소신을 지키기 어렵지만, 나를 지지해 줄 단 한 사람만 있어도 소신을 지킬 수 있어.
5. 심리 게임 4: 최후통첩 게임 (월스트리트 게임)
- 공평함 vs 이득: 만약 만원을 나누는데 9900원을 갖고 100원을 준다면, 합리적으로는 100원을 받는 게 이득이지만 불공평하다고 느껴 거부할 수 있어.
- 이름의 힘: 같은 게임이라도 '월스트리트 게임'이라고 하면 자기 이익을 극대화하는 분배를 하고, '커뮤니티 게임'이라고 하면 더 공평하게 분배해. 이름이 프레임을 만들기 때문이야.
- 주변 환경의 영향: 주변 물건들도 무의식적으로 우리의 행동에 영향을 줘. 책으로 둘러싸인 환경과 술병으로 둘러싸인 환경은 사고방식이 달라질 수 있지. 나에게 좋은 프레임을 주는 환경을 만들자.
6. 심리 게임 5: 이득 프레임 vs 손실 프레임
- 선택의 차이:
- 100만원에서 50만원을 무조건 받기 vs 동전 던져 100만원 받기 (이득 프레임)
- 200만원에서 50만원을 무조건 내기 vs 동전 던져 100만원 내기 (손실 프레임)
- 안전 vs 모험: 이득 프레임에서는 안전한 선택을 하고, 손실 프레임에서는 손실을 피하기 위해 모험적인 선택을 하는 경향이 있어.
- 작은 손해를 피하려다 큰 손해: 작은 손해를 보기 싫어서 고객과 실랑이하다가 오히려 더 큰 시간적, 감정적 손해를 볼 수 있다는 것을 기억해야 해.
7. 프레임을 활용한 삶의 팁
- 밥그릇 바꾸기: 식사량을 결정하는 건 식욕이 아니라 그릇의 크기야. 작은 그릇을 사용하면 자연스럽게 식사량이 줄어들어.
- 신용카드 이미지 활용: 물건을 살 때 신용카드 그림을 보여주면 지불 의사가 높아져. (예: 쇼핑몰 상품 판매 시 신용카드 아이콘, 무이자 할부 내용 추가)
이 책은 단순히 읽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삶에 직접 적용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