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유튜브 영상의 자막과 AI요약을 추출해보세요

AI 채팅

BETA

“이더리움 2천만원 간다! 찰스슈왑·톰리의 블록체인 빅예측”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지난 주말 이슈 정리 및 시즌 종료 시점 매도 전략

1. 잭 도시의 블록, S&P 500 편입!

  • 블록(구 스퀘어): 비트코인으로 소상공인 결제, 모바일 결제하는 핀테크 회사야.
  • S&P 500 편입: 나스닥보다 들어가기 훨씬 까다로운 곳인데, 블록이 여기 들어갔다는 건 정말 대단한 성공이야. 코인베이스도 최근에 편입됐지.
  • 잭 도시의 비트코인 사랑: 블록은 매달 수익의 10%를 비트코인 사는 데 쓰고 있어. 현재 약 8,584개의 비트코인을 평균 3만 달러에 모았대. 대박이지?
  • 대주주가 누구일까?: 블록의 대주주 1위는 뱅가드(8.2%), 2위는 블랙록(6.8%)이야. 캐시우드 아크 인베스트먼트, 피델리티, 모건스탠리도 있어. 다 우리가 아는 유명한 회사들이지.

2. 블랙록, 비트코인 보유 기업 지분 취득!

  • 컬러 테크놀로지: 비트코인을 많이 보유하고 채굴도 하는 회사인데, 블랙록이 이 회사의 지분 5.6%를 취득했어.
  • 블랙록의 의도: 블랙록이 이런 회사를 사는 이유는 아마도 비트코인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을 더 끌어내려는 것 같아. '나도 비트코인 있어!' 하면서 FOMO(Fear Of Missing Out)를 유발하는 거지.
  • 컬러 테크놀로지의 대주주: 여기도 1위는 뱅가드, 2위는 블랙록이야. 역시나 우리가 아는 회사들이지.
  • 이더리움으로 관심 이동?: 최근에는 블랙록이 비트코인보다 이더리움을 더 많이 사고 있다는 소식도 있어. 6월 말부터 7월 초에 이더리움으로 관심이 옮겨가는 분위기야. 블랙록이 이더리움 스테이킹 ETF도 신청했지.

3. 샤프링크, 8조 원 규모 주식 발행!

  • 샤프링크: 이더리움을 많이 보유한 회사인데, 갑자기 8조 원이라는 엄청난 규모의 주식을 발행한다고 해.
  • 숨겨진 세력?: 샤프링크의 대주주 명단은 잘 공개되지 않아. 이건 세력들이 의도적으로 지분을 분산해서 자신들의 이름을 드러내지 않으려는 걸 수도 있어.
  • 유대인 자금?: 샤프링크 이스라엘과 이더리움 창시자인 조셉 루빈이 유대인이라는 점에서, 숨겨진 유대인 자금이 이 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을 가능성도 추측해 볼 수 있어.

4. 시즌 종료 시점, 매도 타이밍은 언제일까?

  • 하이먼 민스키 모델: 가격이 재미없을 때(기관 투자자), 대중이 참여할 때(지금 우리 같은 사람들)로 나뉘는데, 대중 참여 구간부터는 긴장해야 해.
  • 정점 통과 후 현실 부정: 시즌이 끝나도 우리는 "이번엔 다르다!"라고 외치며 현실을 부정하는 구간을 겪을 가능성이 높아. 이때가 마지막 탈출 기회인데, 이때라도 욕심을 버리고 팔아야 해.
  • 2017년과 2021년 사례: 2017년 비트코인은 정점 이후 잠시 올랐다가 크게 떨어졌고, 2021년에는 예상치 못한 변수(돈 풀기) 때문에 사이클이 예상보다 빨리 끝나버렸어.
  • 질리카 사례: 2021년 질리카는 이미 끝난 메타버스 테마로 갑자기 5배 넘게 올랐는데, 이때라도 팔았어야 했어. 지금 10~20원대인데, 이때 못 팔면 정말 큰일 나는 거지.
  • 엘리어 파동: 엘리어 파동에서도 마지막 탈출 기회(B 파동)가 나타나는데, 이때도 세력들이 새로운 소식으로 개미들을 꼬실 수 있어.
  • 핵심은 '끊어내는 것': 정점 근처에 못 팔았어도, 현실 부정 단계에서라도 욕심을 버리고 팔아야 살아남을 수 있어. 정점에 파는 건 실력이 아니라 우연이야. 현실 부정 단계에서 파는 것만으로도 엄청난 수익이라는 걸 기억해야 해.

최근 검색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