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널 부진 탈출! 당신이 모르는 성공의 진짜 비밀 공개
조회수 떡상 비법? 시청자가 뭘 원하는지 알아야 해!
많은 유튜버들이 조회수가 안 나오는 이유를 썸네일, 편집, 알고리즘 탓으로 돌리곤 해. 나도 그랬지만, 딱 한 가지 사실을 깨닫고 조회수 떡상을 경험했지. 그게 뭐냐고? 바로 "내 영상을 누가 볼지, 그들이 뭘 원하는지 모르고 영상을 만들고 있었다"는 거야.
여기서 말하는 '시청자'는 그냥 서울 사는 김 씨 같은 사람이 아니야. 내 영상을 보고 무언가를 얻고 싶어 하는 사람을 말하는 거지.
- 숏박스 채널은 공감을 원하는 사람들이 보고,
- 미스터비스 채널은 대리 경험을 하고 싶은 사람들이 본다고 생각해 봐.
이렇게 채널마다 시청자가 원하는 게 명확하게 달라. 그래서 질문은 이거야.
"내 채널 시청자는 뭘 원할까?"
이걸 모르면 조회수는 계속 바닥이고, 영상 만들수록 지치고, 결국 "나는 유튜브랑 안 맞나 봐"라고 생각하게 될 거야. 그러니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을 꼭 찾아야 해!
지금부터 시청자가 뭘 원하는지 알아내는 실전 분석 방법 3가지를 알려줄게.
1. 댓글 분석하기: 시청자의 속마음이 여기에!
시청자가 뭘 원하는지는 댓글에 다 나와 있어. 조회수 잘 나온 영상 2~3개를 골라서 댓글을 꼼꼼히 봐봐.
- "좋아요", "재밌어요", "웃겨요" 같은 일반적인 반응 말고,
- "이 부분이 좋았다", "이게 꿀팁이다", "이 장면이 진짜 웃겼다" 처럼 구체적인 반응에 집중해야 해.
궁극적으로 시청자가 원했던 게 뭔지, 그 근원 심리를 파악하는 게 중요해. (근원 심리 표는 설명란에 있다고 하니 참고해!)
"내 영상엔 댓글이 없는데..." 라고? 괜찮아!
- 유튜브 스튜디오 > 본성란 > 시청자층 탭으로 들어가서
- '내 시청자가 함께 본 채널', '내 시청자가 함께 본 영상'을 확인해 봐.
이 채널들의 댓글을 같은 방식으로 분석하는 거야. 사람들이 비슷한 채널을 본다는 건, 원하는 것도 비슷할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지. 그 채널의 인기 영상 댓글을 보면서 "이 사람들은 왜 이 영상을 좋아했을까? 뭘 기대하고 뭘 만족했을까?"를 파악하는 거지.
"근데 내가 보는 채널이랑 전혀 관련 없는 것들인데요?"
그렇다면 아직 유튜브 알고리즘이 네 채널 시청자층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상태일 수 있어. 조회수가 적고 시청자층이 흐릿한 채널에선 흔히 일어나는 일이야. 하지만 걱정 마! 더 좋은 방법이 있으니까.
2. 남의 채널 분석하기: 성공 채널의 비밀 파헤치기!
잘 되는 채널을 참고하라는 말은 이미 다 알겠지? 여기서 내가 진짜 추천하는 건 "어쩌다 한번 터진 영상"을 분석하는 거야.
구독자도 적고 늘 조회수가 천에서 만 사이였는데, 갑자기 영상 하나로 100만 조회수를 넘긴 채널이 있다면? 이건 그냥 운이 아니야.
"도대체 이게 뭐길래 평소엔 주목도 못 받던 채널이 갑자기 100만이나 터졌지?" 라고 생각해 봐야 해. 이건 브랜드 파워나 팬심 없이 순수하게 콘텐츠 자체가 매력적이었다는 증거거든. 정말 소중한 단서지!
구체적으로 분석하는 방법:
- 나와 비슷한 주제를 다루는 유튜브 채널 여러 개를 구독해.
- 그중에서 조회수가 비정상적으로 터진 영상을 골라.
- 단 하나의 질문을 품고 영상을 봐: "나머지 영상들과 뭐가 다르지?"
이 질문에 대한 답을 글로 정리해 봐. 그리고 그걸 네 콘텐츠에 '답안지' 삼으면 되는 거야. 감으로 영상 만드는 대신, 검증된 사실을 바탕으로 만들 수 있게 되는 거지.
3. 시청 지속 시간 그래프 확인하기: 시청자의 만족도 체크!
유튜브 스튜디오 > 콘텐츠 분석 > 참여도 > 시청 지속 시간을 확인해 봐. 이 그래프는 단순한 데이터가 아니야. 시청자가 어떤 장면에서 만족했고, 어떤 장면에서 실망했는지를 보여주는 명확한 답안지거든.
- 시청률이 높은 구간: 시청자가 원했던 장면일 가능성이 높아.
- 시청률이 낮은 구간: 원하지 않았던 장면일 가능성이 높아.
이 그래프는 단순히 원하는 것뿐만 아니라, 시청자의 감정, 특정 단어에 대한 선호도, 원하는 속도감 등 다양한 정보를 알려줄 수 있어. (이 그래프 분석 방법은 따로 자세히 알려줄 예정이니, 구독 버튼을 누르고 놓치지 마!)
꿀팁: 이 분석 방법은 내 영상뿐만 아니라 남의 영상에서도 활용 가능해. 시청률 그래프가 공개된 롱폼 영상을 보면, 내가 만들 콘텐츠와 비슷한 주제에서 사람들이 실제로 어떤 흐름을 원했는지 미리 파악할 수 있지.
예시: 내가 '로또 1등 당첨된 남자 이야기'를 쇼츠로 만들고 싶다고 가정해 보자.
- 그 이야기를 다룬 롱폼 영상을 찾아.
- 해당 영상의 시청률 그래프를 확인해.
- 그래프를 보니 "주인공은 수학 천재다", "로또를 많이 구매했다", "얼마를 벌었다" 이 세 부분에서 시청률이 몰렸다는 걸 확인했어.
- 나머지 부분은 과감히 버리기로 결정!
실제로 이 전략으로 쇼츠를 만들었더니, 본론으로 들어간 이후 특별한 이탈이 없었어. 반대로 가장 이탈이 많았던 구간은 기대감을 심기 위해 추가 멘트를 했던 부분이었지. 이걸 통해 다음 영상에서는 최대한 빠르게 본론으로 들어가야겠다는 교훈을 얻었어.
너도 마찬가지야! 매 영상마다 성과를 분석하고, 한 번에 하나씩 개선해 나가는 습관이 필요해.
지금까지 시청자가 원하는 걸 분석하는 세 가지 방법을 알려줬어. 이걸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의 차이는 정말 크지만, 더 중요한 건 그다음이야.
시청자가 원하는 걸 알아냈더라도, 그걸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면 아무 소용이 없기 때문이지.
따라서 다음 단계는 "시청자가 원하는 것을 어떻게 줘야 하는가?" 바로 기획이야. 영상의 진짜 완성도는 편집이 아니라 기획 단계에서 갈리기 때문에 반드시 알아야 하는 내용이지.
기획과 대본 작성에 대한 내용은 다음 영상에서 자세히 알려줄게. 그전까지 오늘 말한 방법들을 하나씩 따라 해보면서 시청자가 원하는 걸 직접 파악해 보길 바라! 다음 영상에서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