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유튜브 영상의 자막과 AI요약을 추출해보세요

AI 채팅

BETA

구글 AI 프롬프팅 완벽 가이드 | TCREI 핵심 노하우 공개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AI한테 똑똑하게 질문하는 방법 (TCREI 구조)

AI한테 질문했는데 맨날 결과가 제각각이라 답답했지? 이제 구글이 알려주는 TCREI라는 방법으로 AI한테 질문하면 훨씬 더 안정적이고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어! 이 영상만 보면 앞으로 AI랑 대화하는 게 완전히 달라질 거야. 끝까지 봐줘!

TCREI가 뭐냐고?

TCREI는 AI한테 질문할 때 꼭 필요한 5가지 단계를 말해.

  1. T (Task): 뭘 해야 할지 명확하게 말하기

    • 핵심: 뭘 만들고 싶은지, 어떤 결과물을 원하는지 정확하게 알려줘야 해.
    • 나쁜 예: "요약해 줘." (너무 막연하지?)
    • 좋은 예: "보고서를 다섯 문장으로 요약해 줘. 마크다운 형식으로 만들어 주고, 초보자도 이해하기 쉽게 써 줘. 어려운 용어 뒤에는 괄호로 쉬운 설명을 붙여 줘."
    • 기억할 것: 동사 (요약해 줘), 산출물 (보고서), 제약 조건 (다섯 문장, 마크다운 형식, 쉬운 설명) 이 세 가지를 꼭 넣어줘!
  2. C (Context): 누구에게, 왜, 무엇을 근거로 만드는지 알려주기

    • 핵심: AI가 네 질문을 더 잘 이해하도록 배경 정보를 주는 거야.
    • 구글 추천:
      • Audience (대상): 누구를 위한 건지 (예: 초급 네스트 개발자)
      • Purpose (목적): 왜 이걸 만드는지 (예: 파일 업로드 강의 홍보)
      • Source (자료): 어떤 자료를 참고해야 하는지 (예: 아래 핵심 요약 범위만 사용해 줘)
    • 왜 중요하냐고? 맥락이 많을수록 AI가 말하는 톤이나 난이도를 네가 원하는 대로 정확하게 맞춰줄 수 있어.
  3. R (Reference): 원하는 결과물 샘플 보여주기

    • 핵심: 네가 원하는 결과물이 어떤 모습인지 직접 보여주는 게 제일 좋아!
    • 잘 통하는 방법:
      • 샘플 입출력: 원하는 입력과 출력 예시를 여러 개 보여주기
      • JSON 스키마: 결과물이 어떤 형식으로 나와야 하는지 규칙을 정해서 주기
    • 예시: "스타일 가이드는 짧고 핵심 중심으로 써 줘. 과장된 표현은 쓰지 말아 줘." 라고 하고, 원하는 톤의 문장 예시를 보여주면 AI가 그걸 그대로 따라 해.
  4. E (Evaluate): 결과물을 스스로 점검하게 만들기

    • 핵심: AI가 스스로 네가 정해준 기준에 맞게 결과물을 만들었는지 확인하게 하는 거야.
    • 체크리스트:
      • 필수: 꼭 들어가야 하는 내용 (예: 대상 명시, 핵심 포인트 3개, 행동 유도 문구 1개)
      • 금지: 절대 쓰면 안 되는 것 (예: 과장된 표현, 출처 없는 수치)
      • 검증: 꼭 확인해야 하는 것 (예: 용어 정의 2개 이상 포함, 날짜 형식 통일)
    • 효과: 이 세 가지만 잘 넣어줘도 결과물의 품질이 확 달라져!
  5. I (Iterate): 결과가 만족스럽지 않으면 계속 수정 요청하기

    • 핵심: AI한테 질문하고 한 번에 완벽한 결과가 나오지 않아도 실망하지 마! 계속해서 더 좋게 만들어달라고 요청해야 해.
    • 구체적으로 요청하기: "문장 수를 네 문장 이하로 줄여 줘", "예시를 하나 더 추가해 줘", "마지막 줄에 행동 유도 문구를 넣어 줘" 처럼 구체적으로 말해야 AI가 알아듣기 쉬워.
    • 버전 관리: 결과물에 "버전 1", "버전 2" 같은 레이블을 붙여서 관리하면 더 좋아.

실전 예제 3가지

이제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실제 예시를 한번 볼까?

예제 1: 강의 소개글 작성

  • Task: 기술 콘텐츠 마케터로서 초급 네스트 개발자를 대상으로 파일 업로드 강의 소개글 작성
  • Context: 강의 내용은 몰터 S3 업로드, 입력 검증, 보안 팁을 다루고, 초보자 눈높이에 맞춰야 함.
  • Reference: 원하는 스타일과 JSON 스키마 제공
  • Evaluate: 필수, 금지, 검증 사항 명확히 제시
  • Iterate: 결과물이 나오면 "네 문장 이하로 줄여 줘", "군더더기 수식어 제거해 줘" 등으로 계속 개선 요청

예제 2: 회의록 요약

  • Task: 회의록을 다섯 문장으로 요약하고 마크다운 형식으로 출력
  • Context: 회의 주제는 런칭 일정 점검
  • Reference: 원하는 결과 형식, 표 칼럼, 상태 값, 빈값 처리 방법까지 명확하게 제시
  • Evaluate: 오너 실명, 표 최소 3행 포함 등 구체적인 검증 방법 포함
  • Iterate: 결과에 따라 추가적인 요소 요청

예제 3: 문서 요약 및 슬라이드 개요 작성

  • Task: 보고서를 다섯 문장으로 요약하고, 임원 보고용 슬라이드 개요 6장 작성
  • Context: 형식, 톤, 맥락 정보 제공
  • Reference: 원하는 스타일과 형식 제공
  • Evaluate: 검증 방법 제시 및 첫 결과 불만족 시 반복 요청 방법 안내

추가 꿀팁: Temperature 조절하기

AI가 만드는 답변의 창의성을 조절하는 'Temperature'라는 것도 있어.

  • Temperature 높게 (예: 0.9): 창의적이고 다양한 표현을 사용해.
  • Temperature 낮게 (예: 0.2): 일관성 있고 정확한 답변을 해.

같은 질문이라도 Temperature 값을 바꿔가면서 질문하면 훨씬 다채로운 답변을 얻을 수 있을 거야!

이제 AI한테 질문하는 게 훨씬 쉬워졌지? AI는 생각보다 예민하니까, 우리가 정확한 방향을 제시해 주는 것만으로도 훨씬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어. TCREI 구조를 꼭 기억하고, 꾸준히 연습해서 AI랑 똑똑하게 소통해보자!

최근 검색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