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초보 셀러를 위한 피그마 완벽 가이드 | 피그마 처음이면 이거 보세요
피그마, 상세 페이지 만들 때 꼭 알아야 할 기능들!
요즘 상세 페이지는 피그마로 만드는 게 대세래. 10년 넘게 포토샵만 쓰던 나도 피그마로 바꾸고 나니 작업 속도가 엄청 빨라졌어. 근데 처음 피그마 시작할 때 유튜브 보면서 따라 하려니까 전문가인 나도 어렵더라구. 게다가 인터페이스도 바뀌어서 옛날 영상 보면 더 스트레스받았어.
그래서 내가 진짜 완전 초보도 피그마 가입부터 상세 페이지 만들기 전에 꼭 알아야 할 필수 기능까지 다 알려주는 영상을 만들었어! 이 영상만 보면 끝이야. 바로 시작해 볼까?
1. 피그마 가입하고 시작하기
- 구글 크롬에 들어가서 피그마를 검색하고 첫 번째 사이트를 클릭해.
- 사이트가 열리면 "지금 무료로 시작하기" 버튼을 눌러 가입해.
- 구글 계정으로 계속하기를 클릭하고 네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해.
- 이름 입력하라는 페이지가 뜨면 원하는 이름을 입력하고 "Continue"를 눌러.
- 디자인 선택 페이지에서는 그냥 "Continue"를 눌러줘.
- 회사 정보 입력하는 건 "Continue"를 눌러주고, 혼자 사용한다면 "Nobody"를 클릭하고 "Continue"를 눌러.
- 그다음은 "Skip"을 눌러줘.
- "Starting"을 클릭하고 "Continue"를 눌러줘.
- "No, first time"을 누르고 "Continue"를 클릭해.
- 이제 요금제 선택인데, 우리는 무료로 사용할 거니까 "Starter"를 클릭하고 "Continue"를 눌러줘.
- 마지막으로 "Design with Figma"를 클릭하고 스크롤 내려서 "Finish"를 눌러주면 끝!
2. 피그마 앱 다운로드 & 글꼴 설치
피그마는 웹에서도 바로 쓸 수 있지만, 앱으로 다운로드 받는 걸 추천해. 렉도 덜 걸리고 오류도 훨씬 적거든.
- 앱 다운로드: 네 컴퓨터에 맞는 피그마 앱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해 줘.
- 글꼴 설치: 컴퓨터에 다운로드 받은 외부 폰트를 피그마에서 쓰려면 글꼴 설치가 꼭 필요해.
앱을 설치했다면, 앱을 열고 "Login with Browser"를 클릭한 후 "Open the Desktop App"을 눌러서 피그마를 열어줘.
3. 피그마 인터페이스 살펴보기
새 파일을 만들어서 피그마 화면을 같이 보자.
- 파일 생성: 왼쪽 상단 "+" 버튼을 누르면 새 파일을 만들 수 있지만, 무료 버전은 파일 3개밖에 못 만들어. 그래서 홈으로 돌아가서 왼쪽 바의 "Drafts"를 눌러서 파일을 생성하는 게 좋아. 상품별로 무제한으로 만들 수 있거든!
- Drafts 클릭 후 "+" 버튼을 누르고 "Design file"을 클릭하면 새 파일이 열려.
피그마 인터페이스 구조:
- 왼쪽 패널: 페이지, 레이어, 파일명을 관리하는 곳이야. 상단 "Untitled"를 눌러 파일 이름을 바꿀 수 있어.
- 하단 도구: 다양한 디자인 도구들이 있어. 단축키도 직관적이라 눌러보면 금방 익힐 수 있을 거야.
4. 페이지, 프레임, 레이어 개념
피그마에서 이 세 가지 개념이 헷갈릴 수 있는데, 쉽게 설명해 줄게.
- 페이지: 하나의 디자인 파일 안에 여러 개의 페이지를 만들 수 있어. 예를 들어, 딸기, 오렌지, 토마토, 포도처럼 상품별로 페이지를 나누는 거지.
- 프레임: 각 페이지 안에서 디자인 영역을 나누는 거야. 딸기 페이지 안에서 스마트 스토어 상세 페이지, 쿠팡 상세 페이지, 인스타그램 배너 등을 프레임으로 만들어서 관리할 수 있어.
- 레이어: 페이지와 프레임 위에 올라가는 텍스트, 도형, 사진 같은 개별 요소들을 말해.
5. 주요 도구 살펴보기
- 무브 툴 (V): 오브젝트를 선택하고 이동할 때 사용해. 아래 화살표를 누르면 핸드 툴 (H)도 있는데, 이건 화면을 잡고 이동하는 기능이야.
- 프레임 (F): 페이지 안에 여러 개의 프레임을 만들 수 있어. 미리캔버스랑 다르게 프레임 크기를 다르게 만들 수 있다는 게 장점이야. 프레임을 복제할 때는 Ctrl+C, Ctrl+V 또는 Ctrl+D를 사용하고, 이름을 바꾸려면 Enter를 누르면 돼.
- 도형: 사각형, 라인, 원형 등 다양한 도형을 만들 수 있어.
- 크기 조절: 도형을 선택하고 오른쪽 패널에서 W(가로), H(세로) 값을 직접 입력하거나, 모서리를 드래그해서 조절할 수 있어.
- 모서리 둥글게: 도형 모서리에 있는 동그라미를 드래그하거나, 오른쪽 패널의 "Individual corners"에서 수치를 입력해서 원하는 모서리만 둥글게 만들 수도 있어.
- 필 (Fill): 도형을 채우는 색상이나 이미지를 설정해.
- 단색: 네모 모양을 눌러 색상을 선택하고, 투명도도 조절할 수 있어.
- 그라디언트: 원하는 색상을 조합해서 그라디언트를 만들 수 있어.
- 이미지: 컴퓨터에서 이미지를 불러와 도형 안에 채울 수 있어.
- 스트로크 (Stroke): 도형 외곽선 두께와 색상을 설정할 수 있어.
- 이펙트 (Effect): 그림자 효과를 줄 수 있어. 그림자의 가로/세로 위치, 흐림 정도, 퍼짐 정도, 색상까지 조절 가능해.
- 텍스트 툴 (T): 텍스트를 입력하고 편집할 수 있어.
- 텍스트 박스 크기 조절: 무브 툴 상태에서 모서리를 드래그해서 조절해.
- 글자 크기 조절: K 단축키를 누른 상태에서 모서리를 드래그하면 글자 크기가 자유롭게 변해.
- 폰트 변경: 오른쪽 패널의 "Typography"에서 폰트명을 영문으로 검색해서 변경할 수 있어.
- 줄 간격 (Line Height): 드래그로 조절 가능해.
- 글자 간격 (Letter Spacing): 드래그로 조절 가능해.
- 정렬 (Alignment): 왼쪽, 가운데, 오른쪽 정렬을 할 수 있어.
- 오토 레이아웃 (Auto Layout): 상세 페이지 만들 때 내용이 추가되거나 수정될 때 간격이 틀어지는 걸 방지해줘. 원하는 요소를 선택하고 오른쪽 패널에서 "Use Auto Layout"을 클릭하면 돼. 텍스트를 추가해도 간격이 그대로 유지돼서 편리해.
- 내보내기 (Export): 완성된 디자인은 "Export"에서 원하는 파일 형식(JPG 등)으로 내보낼 수 있어.
6. 미러링 기능 (모바일 실시간 확인)
상세 페이지 제작에 정말 꼭 필요한 기능이야! 모바일 화면에서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작업할 수 있거든.
- 피그마 앱을 다운로드 받아야 해.
- 피그마 앱을 열고 "Login to Figma"를 누른 후 "Continue with mobile app"을 눌러.
- 앱 화면에서 오른쪽 맨 아래 "Mirror"를 눌러줘.
- PC에서 작업 중인 페이지를 띄우려면 PC 프레임을 클릭해.
- "Begin Mirroring"을 누르면 모바일 화면에 작업 화면이 떠!
- 이제 모바일 화면을 보면서 텍스트를 수정하거나 글자 크기를 조절하는 등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작업할 수 있어.
오늘은 상세 페이지 제작 전에 꼭 알아야 할 피그마 기능들을 살펴봤어. 다음 영상에서는 피그마로 상세 페이지 만드는 과정을 직접 보여줄게! 다음 영상에서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