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미국 주식 반등 예측! 경기 사이클로 보는 투자 전략 공개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 하반기 전망을 3주에 걸쳐 이야기할 예정이에요.
- 상반기 한국 증시는 기대 이상으로 성장했어요.
- 미국은 기대와 달리 하반기 성적이 저조했어요.
- 하반기 전망 제목은 '다시 미국'으로 정했어요.
- 언론과 주변 의견에 휘둘리지 말아야 해요.
- 시장은 인간의 속성과 기대심리에 영향을 받아요.
- 달러 환율과 미국 수익률은 순환적 또는 구조적 문제를 고민해야 해요.
- 미국이 구조적 약세라면 자금이 유럽이나 중국으로 이동할 수 있어요.
- 미국이 순환적 약세라면 다시 관심을 가져야 해요.
- 올해 미국 주가는 아직 3% 상승에 그쳤어요.
- 한국은 달러 기준으로 26% 이상 올랐어요.
- 유럽과 중국도 많이 올랐어요.
- 지금은 미국과 유사한 시가총액의 아시아, 중국, 대만, 한국에 주목해야 해요.
- 경기 순환적 약세 후 회복 시점에 대해 설명할 거예요.
- 과거 중국과 일본이 미국보다 오래 강세였던 적이 있어요.
- 중국은 4~5년간 수익률이 60%씩 높았어요.
- 중국은 고정자산 투자와 낙수효과로 성장했어요.
- 일본도 80년대에 미국보다 강세였어요.
- 일본은 부동산과 공장 투자로 강세를 보였어요.
- 일본과 중국 사례는 구조적 변화 가능성을 보여줘요.
- AI와 관련된 투자는 미국이 주도하는 게 중요해요.
- 미국이 아닌 지역이 성장하려면 AI 사이클이 달라야 해요.
- 중국은 아직 1인당 GDP 15,000불로 성장 중이에요.
- 중국은 공산체제 때문에 미국을 따라잡기 어렵다고 봐요.
- 유럽은 혁신성과 생산성 격차가 커서 경쟁력이 낮아요.
- 유럽의 제약과 과학기술도 미국에 뒤처졌어요.
- 인도는 금융 비중이 높아 투자가 쉽지 않아요.
- 인도는 대량 투자보다 효율적 투자가 필요해요.
- 탈미국은 장기적 구조적 변화가 어려울 수 있어요.
- 주가 지수는 종목의 합이고, 개별 종목이 중요해요.
- 일본과 중국의 상위 시총 기업들이 지수 성과를 좌우했어요.
- 현재 미국 기업이 대부분 상위 10개에 들어가 있어요.
- 유럽이나 인도 기업이 상위권에 오기 쉽지 않아요.
- 탈미국이 구조적이라는 생각은 틀릴 수 있어요.
- 다음 시간에는 경기 순환적 탈미국의 시기와 매수 시점을 이야기할게요.
- 궁금한 점은 댓글로 남겨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