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경원 시장의 미래, 삼성·현대가 쏟은 휴머노이드 혁신 기술 대공개!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한국 로봇 기술, 솔직히 말해줄게
요즘 한국 로봇 기술, 좀 걱정되는 부분이 있어.
1. 부품의 95%가 중국산? 심각한 현실
- 최근 한국 로봇 연구자들이 로봇 핵심 부품들을 봤는데, 놀랍게도 95%가 중국 제품이었대.
- 이게 왜 심각하냐면, 2019년 반도체 수출 규제 때 일본 부품 못 써서 힘들었던 것처럼, 이제는 중국 부품 없이는 로봇을 만들기 어려운 상황이라는 거야.
- 삼성전자 최대 주주인 레인보우 로보틱스 임원도 "부품이 다 중국산이니 아무리 휴머노이드 로봇을 만들어도 못 이긴다"고 말할 정도래.
- 포스텍 로봇 연구자도 삼성은 지금 당장 투자하지 않을 거라고 평가했어. 현업자들도 이런 상황을 비판하고 있어.
2. 삼성과 현대차, 로봇에 뛰어들다!
- 삼성은 레인보우 로보틱스 지분을 늘리고, 현대차는 보스턴 다이나믹스를 인수했지. 둘 다 로봇에 엄청 투자하고 있어.
- 이유는 바로 '피지컬 AI' 때문이야. 이건 인간처럼 물리 세계를 이해하고 실제로 행동하는 AI인데, 이게 로봇에 적용되면 새로운 산업 혁명이 일어날 거래.
- 테슬라, 폭스바겐 같은 회사들은 이미 인간 형태의 로봇(휴머노이드 로봇)을 생산 라인에 투입하고 있고, 가격도 저렴하게 나오고 있어.
3. 한국 로봇 산업, 어디로 가고 있나?
- 그런데 한국의 거대 기업들은 아직 좀 조용하다는 평가야.
- 하이젠버그 연구자는 한국 기업들이 세계와 경쟁할 기술력보다 단기 매출에만 집중하는 것 같다고 비판했어.
- 현대차 보스턴 다이나믹스는 몸은 좋은데 두뇌가 부족하고, 삼성은 경기장은 좋은데 뛸 선수가 없다는 비유도 나왔어.
- 문제는 한국 로봇 산업이 AI에만 너무 쏠려 있다는 것. 로봇의 핵심인 하드웨어, 회로, 제어 기술 같은 기반 연구에 투자되던 시간과 인력이 줄어들고 있대.
- 스타트업 대표들은 하드웨어와 회로를 둘 다 다룰 줄 아는 사람이 정말 귀하다고 하소연할 정도야.
4. 삼성의 새로운 전략: 갤럭시와 로봇의 만남
- 삼성은 갤럭시와 가전제품을 '스마트싱스'로 연결하려는 전략을 가지고 있어.
- 그런데 가전제품은 움직이지 않잖아? 그래서 삼성이 움직이는 로봇 '볼리'를 강조하는 거야.
- '볼리'는 집안의 센서 역할을 해서 집안 상태를 실감 나게 느끼고 반응할 수 있대. 이건 기존 스마트홈의 한계를 넘어서는 거고, 갤럭시를 가진 삼성만이 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해.
- 삼성은 '볼리'를 통해 집안뿐만 아니라 자동차, 회사, 공장, 병원까지 확장해 나갈 계획이야.
- 특히 삼성은 로봇이 내 물건, 내 가족, 내 공간을 구분하고, 오염되거나 어두운 환경에서도 제대로 작동하는 기술에 집중하고 있어. 이게 진짜 경쟁력이라고 보는 거지.
5. 우리가 바라는 삼성과 현대차의 모습
- 삼성과 현대차가 AI 로봇의 경쟁력을 잘 보여주는 건 좋지만, 우리는 더 큰 비전을 기대해.
- 휴머노이드 로봇의 본질은 단순히 노동을 대체하는 걸까? 아니면 더 큰 혁신을 가져오는 걸까?
- 일론 머스크는 휴머노이드 로봇이 AGI(인공 일반 지능)로 가는 가장 중요한 관문이라고 말했어.
- 경쟁사들은 이미 인간 형태의 로봇을 내놓고 있는데, 우리는 그저 보급형을 만들면서 뒤따라가는 모습이 아니라, 세계 시장을 주도하고 자랑스러운 기업이 되기를 바라잖아.
6. 중국의 무서운 추격
- 그런데 중국은 이미 자체 AI 모델을 개발했고, AI 분야 최고 학회에서 발표하는 논문 저자 중 중국인이 미국보다 훨씬 많아.
- 기술 발전 속도와 연구 저변 모두에서 중국이 앞서고 있다는 거야.
- 중국은 가격과 기술력을 모두 갖춘 휴머노이드 로봇을 대규모로 상용화할 가능성이 높아.
- 삼성은 브랜드 프리미엄을 유지할 만큼의 AI 경쟁력이 부족하고, 가격 경쟁에서도 중국을 이기기 어려워.
- 현대차의 보스턴 다이나믹스 로봇은 너무 비싸서 중국의 저가 공세에 맞서기 힘들어. (보스턴 다이나믹스 스팟은 7만 달러 이상인데, 중국 유니트리의 고투는 2,800달러에 팔고 있어.)
7. 최초가 아닌 '최상'을 향해
- 우리는 삼성과 현대차가 최초가 아니라 '최상'이 되기를 바라야 해.
- 갤럭시가 아이폰을 이기길 바라지, 중국 저가 폰을 이기길 바라는 게 아니잖아. 제네시스가 넥서스를 이기고 세계 최고가 되기를 바라는 것처럼 말이야.
- 중국이 수많은 논문과 저가 로봇을 쏟아낼 때, 우리는 단 하나의 제품이라도 최고임을 증명해야 해.
- 사람을 움직이는 건 '최초'라는 타이틀이 아니라, 분명하게 보이는 '최상의 목표'니까.
정주영 현대 창업주의 말처럼, 목표가 분명하다면 장애물은 걸림돌이 아니라 디딤돌이 될 거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