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휴직 급여 못 받는 이유? 꼭 알아야 할 필수 조건 5가지!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육아휴직, 급여 받는 거랑 그냥 쉬는 거랑 뭐가 다를까? 🤔
육아휴직 신청하면 당연히 돈도 나오는 거 아니야? 라고 생각했다면, 땡! 🙅♀️
육아휴직 자체를 쓰는 조건이랑, 육아휴직 급여를 받는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헷갈리는 경우가 많아. 그래서 오늘은 이 두 가지의 차이점을 쉽게 알려줄게!
1. 육아휴직, 언제 쓸 수 있을까? 👶
- 조건: 회사에서 일한 지 6개월 이상 됐어야 해. (달력으로 6개월, 쉬었던 날도 포함!)
- 예시: 1월 1일에 입사했으면 7월 1일부터 육아휴직 쓸 수 있는 거지.
- 예외: 6개월 안 됐어도 사장님이 허락해주면 쓸 수 있어! 👍
2. 육아휴직 급여, 언제 받을 수 있을까? 💰
이건 좀 복잡해. '피보험 단위 기간'이라는 걸 따져봐야 하거든. (실업급여 받을 때 들어봤지?)
- 조건: 육아휴직 시작하기 전까지 '피보험 단위 기간'이 총 180일 이상이어야 해.
- '피보험 단위 기간'이란? 월급 받는 날을 다 합친 거야. 실제로 일한 날뿐만 아니라, 쉬는 날인데도 월급 받은 날(유급 휴일 등)도 포함돼. 쉽게 말해 월급 받은 날짜를 세는 거지.
- 왜 6개월만으론 부족할까?
- 주 5일 일하는 사람은 일주일에 6일이 '피보험 단위 기간'에 포함돼.
- 그래서 180일을 채우려면 최소 7개월은 일해야 하고, 아프거나 쉬었던 날이 많으면 8개월, 9개월이 될 수도 있어. 이건 사람마다 달라!
🚨 예시로 더 쉽게 이해하기! 🚨
상냥이라는 친구가 있어.
- 입사: 25년 1월 1일 (이전 경력 없음)
- 근무: 주 4일 근무
- 목표: 6개월 뒤 육아휴직 사용
Q1. 상냥이는 6개월 뒤 육아휴직을 쓸 수 있을까?
A1. 응, 쓸 수 있어! 25년 7월 1일부터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있어. 다만, 휴직 시작 30일 전에는 회사에 미리 신청해야 해.
Q2. 그럼 육아휴직 급여도 받을 수 있을까?
A2. 아쉽게도 못 받아. 😥
- 상냥이는 주 4일 근무하니까, 일주일 '피보험 단위 기간'은 근무일 4일 + 쉬는 날 1일 = 5일이야.
- 1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6개월 동안 '피보험 단위 기간'을 계산하면 127일밖에 안 돼. (결근 없었을 때 기준!)
- 180일을 채우려면 몇 달을 더 일해야 하는 거지.
결론: 육아휴직 급여까지 받고 싶다면, '피보험 단위 기간' 180일을 채우고 나서 육아휴직을 신청해야 해!
💡 알아두면 좋은 꿀팁! 🍯
- 이전 회사 경력도 합쳐져!
- 이전 회사에서 일하다가 그만두고, 그만둔 날로부터 3년 안에 지금 회사에 다시 들어왔다면, 이전 회사 경력도 합쳐서 '피보험 단위 기간'을 계산할 수 있어.
- 예시: 상냥이가 작년에 6개월 계약직으로 일했고, 올해 1월부터 지금 회사에서 6개월 일했다면, 7월 1일에 육아휴직도 쓰고 급여도 받을 수 있는 거지!
- 주의! 만약 중간에 실업급여를 받은 적이 있다면, 그 기간은 '피보험 단위 기간'에서 제외되니까 꼭 기억해둬!
이제 육아휴직이랑 급여 받는 거랑 뭐가 다른지 좀 알겠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