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년 만에 다시 달 탐사? 숨겨진 진짜 이유 공개!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달에 다시 가는 이야기: 50년 만의 재도전!
1. 달에 처음 간 이야기 (1969년)
- 1969년에 아폴로 11호가 달에 착륙했어.
- 닐 암스트롱이 인류 최초로 달에 발을 디뎠지. "한 명의 인간에게는 작은 발걸음이지만, 인류에게는 위대한 도약이다!"라고 말했대.
- 총 12명이 달에 다녀왔고, 마지막은 1972년 아폴로 17호였어.
2. 왜 50년 동안 달에 못 갔을까?
- 옛날 나사 컴퓨터는 지금 핸드폰보다 성능이 안 좋았대.
- 우주 기술은 엄청 발전해서 인공위성이 거의 만 개나 되는데도, 사람은 50년 전처럼 달에 못 갔어.
- 그래서 달 착륙이 조작되었다는 소문도 돌았었지.
3. 다시 달에 가는 이유 (아르테미스 계획)
- 나사에서 아르테미스 계획을 추진 중이야.
- 2026년에 사람을 달에 보내는 게 목표래.
4. 50년 전, 달에 가야만 했던 이유: 우주 경쟁!
- 1957년에 소련이 스푸트니크 1호를 쏘아 올렸어.
- 미국은 엄청 충격받았지. 과학 기술에서 뒤처진 것도 자존심 상했지만, 로켓 기술 때문에 미국 본토가 안전하지 않다고 느꼈어.
- 이때부터 미국과 소련의 우주 경쟁이 시작된 거야.
- 소련은 살아있는 개를 우주에 보내고, 유리 가가린이 인류 최초로 우주 비행에 성공하는 등 계속 앞서나갔어.
- 미국은 뒤처지지 않으려고 과학 교육과 로켓 기술에 돈을 엄청 쏟아부었지.
- 원래는 달 탐사가 별로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했지만, 소련의 우주 기술에 대한 사람들의 공포를 잠재우기 위해 아폴로 계획을 발표했어.
- 결국 달 탐사는 실용적인 목적보다 명예와 자존심 대결의 성격이 강했지.
- 아폴로 계획에 무려 250억 달러(지금 돈으로 2,500억 달러!)나 썼고, 미국 연방 예산의 4.4%를 나사가 썼을 정도야.
5. 아폴로 계획 성공 후, 왜 멈췄을까?
- 아폴로 계획으로 미국의 명예와 자존심은 회복됐어.
- 그런데 미국은 베트남 전쟁 등으로 돈이 많이 부족해졌지.
- 달 탐사에 계속 돈을 쓰기 어려워졌고, 결국 아폴로 계획은 1972년에 끝났어.
- 달 기지 건설이나 화성 탐사 계획도 모두 취소되었지.
6. 21세기에 달에 다시 가는 이유: 달라진 세상!
- 달에 대한 지식 증가:
- 과거엔 달이 메마른 땅이라고 생각했지만, 이제는 달 북극에 얼음이 엄청나게 많다는 걸 알아냈어.
- 이 물은 사람이 마실 수도 있고, 로켓 연료로도 쓸 수 있어. 달에서 장기 체류할 수 있다는 뜻이지!
- 달에는 헬륨 3라는 미래 에너지 자원도 엄청나게 많대. 지구에는 거의 없어서 1톤에 30억 달러나 하지만, 달에는 100만 톤 이상이 있을 것으로 추정돼.
- 민간 우주 기업의 발전:
-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 제프 베조스의 블루오리진 같은 회사들이 자체적으로 로켓을 만들고 재사용 로켓 기술까지 개발했어.
- 이런 민간 기업들이 나사를 도와 로켓, 우주복 등을 만들고 있어. 심지어 사람을 달에 데려다줄 착륙선도 스페이스X가 맡았지.
7. 왜 아직도 달에 가는 게 어려울까?
- 아르테미스 계획은 아폴로 계획보다 훨씬 야심 찬 계획이야.
- 달 궤도에 우주 정거장(루나 게이트웨이)을 만들고, 달에 사람이 살 기지를 짓는 등 장기적인 계획이거든.
- 그래서 우주선 안전 문제, 우주복 개발 지연 등 해결해야 할 문제가 많아.
- 무엇보다 나사의 예산이 부족해. 과거 아폴로 계획 때보다 예산이 훨씬 줄었거든.
- 예산 부족 때문에 계획이 지연되거나 축소되고, 민간 기업에 너무 많이 의존하는 문제가 생기고 있어.
8. 새로운 경쟁자: 중국!
- 2010년대부터 중국이 달 탐사 경쟁자로 떠올랐어.
- 중국은 달 뒤편에 착륙하고, 광물을 채취하는 등 우주 기술이 많이 발전했어.
- 2030년에는 사람을 달에 보내고, 2035년에는 달 기지를 짓겠다는 계획이야.
- 미국과 중국이 미래에는 자원(헬륨 3 등)을 두고 경쟁할 수도 있어.
9. 미래의 우주 자원, 누가 차지할까?
- 우주 조약에는 우주 공간을 어느 나라든 점유할 수 없다고 되어 있지만, 자원 활용에 대한 내용은 없어.
- 스페이스X 같은 민간 기업에 대한 규제도 없지.
- 이대로라면 우주 자원을 몇몇 강대국이나 기업이 독식하게 될 수도 있어. 그러면 빈부 격차가 더 심해질 수도 있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