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달라지는 임신·출산·육아 혜택 완벽 정리! 꼭 확인하세요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2025년 임신, 출산, 육아 혜택 총정리! (중학생도 이해 가능!)
요즘 저출산 때문에 정부에서 임신, 출산, 육아에 대한 지원을 엄청 늘리고 있어! 부모님들이 아이 키우는 데 부담을 덜고 아이한테만 집중할 수 있게 도와주려는 거지. 이런 좋은 혜택들, 모르고 놓치면 너무 아깝잖아? 특히 2025년부터는 일하는 엄마들한테 더 좋은 소식들이 많대! 그래서 2025년에 뭐가 바뀌는지, 어떤 혜택들이 있는지 쉽게 알려줄게!
임신 중에 받을 수 있는 혜택
- 국민행복카드: 임신하면 제일 먼저 해야 할 일! 이 카드로 임신이랑 출산에 필요한 병원비, 약값, 분유값 등을 지원받을 수 있어.
- 지원 금액: 쌍둥이 아니면 100만원, 쌍둥이 이상이면 140만원까지! 병원, 약국, 조리원 어디서든 쓸 수 있어.
- 엽산제 & 철분제: 임신 확인하고 보건소 가면 초기에는 엽산제, 16주 지나면 철분제를 무료로 받을 수 있어. 보건소에 임산부 등록하면 검사도 무료로 받을 수 있으니 꼭 등록하자!
출산 후에 받을 수 있는 혜택
- 신생아 양육비 지원: 아기가 태어나서 주민등록번호 받으면 주는 돈이야.
- 금액: 2024년부터 첫째는 200만원, 둘째부터는 300만원이고 2025년에도 똑같아. 국민행복카드에 포인트처럼 들어오고, 육아용품이나 병원비 등 필요한 곳에 자유롭게 쓸 수 있어.
- 부모 급여: 아기 키우는 데 드는 돈을 정부에서 지원해주는 거야.
- 금액: 만 0세 아기는 매달 100만원, 만 1세 아기는 매달 50만원씩! 총 2년 동안 받으면 1,800만원 정도 된대.
- 아동 수당: 아기들의 기본적인 권리와 복지를 위해 주는 돈이야. 만 8세 미만 아기한테 매달 10만원씩 줘.
- 산후조리 지원: 지역마다, 소득마다 조금씩 다르니까 이건 동네 주민센터에 물어보는 게 제일 정확해.
- 전기 요금 할인: 36개월 미만 아기가 있는 집은 전기 요금을 매달 30% 할인해줘.
- KTX/SRT 할인: 아이가 셋 이상인 집은 기차표를 최대 50%까지 할인받을 수 있어.
- 아이돌봄 서비스: 정부에서 지원하는 육아 도움 서비스인데, 누구나 이용할 수 있어. 2025년부터는 소득 기준에 따라 정부 지원 비율이 달라지고, 중위소득 200% 이하까지 혜택을 받을 수 있대.
- 기타 혜택: 지역별 출산 지원금, 육아휴직, 배우자 출산휴가, 육아휴직 급여 등도 있으니 잘 알아보자!
2025년부터 달라지는 혜택 (특히 워킹맘 주목!)
-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
- 원래 임신 36주부터 2시간 단축 근무가 가능했는데, 2025년부터는 임신 32주부터 가능해져. 출산 예정일로부터 약 8주 전부터 단축 근무를 쓸 수 있는 거지.
- 유산이나 조산 위험이 있는 근로자는 임신 기간 내내 단축 근무를 사용할 수 있게 바뀌었어.
- 이 단축 근무는 유급 휴가라서 일하는 시간이 줄어도 월급은 그대로 받을 수 있어!
- 태아 검진 휴가: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과는 별개로 쓸 수 있어. 하루에 3~4시간 정도 반차처럼 쓸 수 있고, 출산이 가까워질수록 더 자주 쓸 수 있게 돼.
- 임신 28주까지: 4주마다 1회
- 임신 29주 ~ 36주: 2주마다 1회
- 임신 37주 이후: 1주마다 1회
- 배우자 출산휴가 확대:
- 아빠 출산휴가가 10일에서 20일로 늘어나! 공휴일은 휴가 일수에서 제외돼.
- 출산일 이후부터 쓸 수 있지만, 휴가 기간 중에 출산 예정일이 포함되면 출산 전에도 신청할 수 있어.
- 최대 3회까지 나눠서 쓸 수 있고, 법으로 보장되는 유급 휴가야. 처음 20일 중 5일은 정부에서 지원하고, 나머지 15일은 회사에서 지급해줘.
- 육아휴직 급여 인상:
- 월 150만원이었던 상한액이 2025년부터는 첫 3개월 동안 월 250만원, 4~6개월은 월 200만원, 7개월 이후는 월 160만원으로 올라가. 1년 동안 받는 육아휴직 급여가 510만원이나 늘어나는 거지!
- 이전에는 육아휴직 급여의 75%만 받고, 복직 후 6개월 일해야 나머지 25%를 받았는데, 이제는 휴직 중에 100%를 받을 수 있게 돼서 더 편하게 제도를 이용할 수 있어.
- 육아휴직 통합 신청 및 승인 간소화:
- 2025년 1월부터 출산휴가랑 육아휴직을 한 번에 신청할 수 있어.
- 회사가 14일 안에 서면으로 허락해주면 되는데, 만약 기간 안에 답이 없으면 신청한 대로 바로 사용할 수 있게 돼.
- 육아휴직 기간 연장:
- 육아휴직 기간이 6개월 늘어나서 최대 1년 6개월까지 쓸 수 있게 돼. 단, 부모 모두 같은 아이에 대해 3개월 이상 육아휴직을 사용해야 해.
- 부모 모두 직장 다니고, 아이가 만 1세 이하이고, 부모 모두 3개월 이상 육아휴직을 사용하면 1년 6개월까지 가능해.
- 나눠서 쓰는 횟수도 3번에서 4번으로 늘어나!
- 이미 1년 다 썼더라도 아이가 만 1세 이하라면 6개월 더 연장할 수 있으니 꼭 활용하자!
- 부부 동시 육아휴직 (단축근무): 맞벌이 부부라면 같은 아이에 대해 부부가 모두 육아휴직 (단축근무)을 사용할 수 있어. 육아휴직을 안 쓰면 최대 3년까지 쓸 수 있고, 단축된 급여에 대해서도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대.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대상 자녀 연령 확대: 원래 8세 이하 자녀까지 가능했는데, 2025년부터는 12세 이하 자녀까지 확대돼. 사용 기간도 변동이 있고, 연차 계산할 때 단축 근로 시간을 포함할지 여부도 바뀐다고 하니 참고해!
난임 지원 확대
- 난임으로 고생하는 분들을 위해 본인 부담금과 지원 횟수가 늘어났어.
- 본인 부담금: 이전에는 45세 미만은 30%, 45세 이상은 50%였는데, 2025년부터는 나이 상관없이 30%로 통일돼.
- 지원 횟수: 부부당 25회에서 출산당 25회로 기준이 확대됐어.
- 제왕절개 분만 본인 부담금: 5%에서 0%로 변경돼.
- 약제 및 치료 재료 지원: 입덧약, 배란유도 주사제, 연속 혈당 측정기 등도 지원해준대.
- 난임 치료 휴가 확대: 연간 3일, 유급 1일에서 연간 6일, 유급 2일로 늘어났어.
미숙아 지원 확대
- 2025년부터 미숙아에 대한 규정이 새로 생겨서, 아기가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 입원하면 출산 전후 휴가 기간이 기존 90일에서 100일로 늘어나.
- 미숙아 기준은 임신 37주 미만이거나 체중 2.5kg 미만인데, 이런 아기를 낳으면 정부에서 미숙아 휴가 급여를 지원해준대.
임산부 교통비 지원 확대
- 일부 지역에서는 임산부한테 교통카드로 대중교통비를 지원해주는데, 2025년에는 연천, 가평, 양평, 안성, 포천, 여주 같은 지역에 사는 임산부한테도 최대 100만원까지 지원한대. 4월부터 시행될 예정이야.
정부랑 지자체에서 생각보다 많은 혜택들을 주고 있으니, 우리 가족한테 필요한 제도가 뭔지 잘 알아보고 꼭꼭 챙겨서 활용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