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말 후 월요일, 시장이 하락세를 보이고 있어요.
- S&P 500과 나스닥이 각각 0.7%에서 0.8% 하락했어요.
- 테슬라와 엔비디아도 영향을 받고 있어요.
- 먼저 유동성 상황을 살펴볼게요.
- 일반적으로 M2 지표와 S&P 500의 상관관계를 봐요.
- M2는 15년부터 꾸준히 상승하고 있어요.
- 2018년, 2020년에도 M2는 계속 올랐어요.
- 2022년에는 M2가 잠시 떨어졌어요.
- 최근 M2 데이터는 4월 말 기준이에요.
- M2 수치는 늦게 발표돼서 신뢰도는 조금 낮아요.
- 그래서 성장률을 보는 게 더 좋아요.
- 2018년, 코로나 때도 성장률이 낮았어요.
- 코로나 이후 성장률이 급증했고 증시도 올랐어요.
- 성장률이 떨어지면 증시도 조정을 받아요.
- 지금 M2 성장률은 4.4%로 보여요.
- 이 수치가 최고인지, 하락 시작인지 알기 어려워요.
- 그래서 유동성은 연준 지표로도 체크해요.
- 연준의 밸런스와 영레포를 매주 봐요.
- 연준이 돈을 풀면 증시도 올라가요.
- 반대로 돈을 거두면 하락 압력이 생겨요.
- 올해 QT로 밸런스가 떨어졌지만 증시는 올랐어요.
- 영레포는 아직 바닥이라 기대하기 힘들어요.
- 한 달 전보다 밸런스는 좋아졌어요.
- 하지만 지금은 제자리걸음이에요.
- 관세 인상과 불확실성도 시장에 영향 줘요.
- 불확실성 지수는 아직 낮아서 상승 여력이 있어요.
- 기술적 분석으로 S&P 500을 봐요.
- 차트는 하락 전환 신호를 보여줘요.
- 상승 추세가 꺾였고, 하락 가능성도 보여요.
- 성장률도 정체 상태예요.
- 6월 2일 기준 매출은 4.16%, 이익은 7.46%예요.
- 하지만 성장률이 계속 떨어지고 있어요.
- 증시는 성장률과 연동돼서 움직여요.
- 불확실성과 성장률이 좋지 않아서 걱정이에요.
- 유동성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에요.
- 테슬라는 강하게 홀드하며 기대하고 있어요.
- 6월 12일 로보텍 출시도 기대되고요.
- 이번 주 옵션 만기 후 포지션을 체크할 계획이에요.
- 시장이 바닥이라고 생각하는 구간을 모니터링 중이에요.
- 최근 상승은 이미 시작됐다고 봐요.
- 어떤 섹터와 종목이 앞으로 유망할지 검증 중이에요.
- 투자는 이유와 근거를 반드시 알아야 해요.
- 근거가 있으면 하락도 기회가 될 수 있어요.
- 상승할 때도 이유를 검증하는 게 중요해요.
- 앞으로도 유망 섹터와 종목을 계속 소개할게요.
-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와 유튜브, 멤버십에서 업데이트할 예정이에요.
- 오늘은 여기까지 마칠게요.
-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과 좋아요 부탁드려요.
- 다음에 또 만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