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4㎡ 집에서 느낀 진짜 감동 이야기😭 울지마 바보야 리뷰!
게시일:
작성자: 자청의 유튜브 추출기
영화 '84제곱미터' 쉽게 정리해 줄게!
이 영화, 마지막 장면이 좀 헷갈릴 수 있어서 내가 쉽게 설명해 줄게.
영화 줄거리
- 주인공 우성: 퇴직금, 보증금, 부모님 땅까지 다 팔아서 서울에 25평 아파트를 사. 이제 행복한 미래만 남았다고 생각했는데...
- 층간 소음 지옥: 갑자기 아랫집, 윗집에서 시끄러운 소음 때문에 미쳐버릴 지경이야. 밑에서도 층간 소음, 위에서도 층간 소음... 진짜 괴로워.
- 입주민 대표 & 윗집 이웃: 아파트 대표는 집값 떨어질까 봐 이 일을 덮으려고 하고, 윗집 이웃은 우성이랑 같이 층간 소음의 비밀을 파헤치려고 해.
- 과연 우성은 진실을 찾을 수 있을까? 이게 바로 '84제곱미터' 이야기야.
영화 설명
- 감독: '스마트폰을 떨어뜨렸을 뿐인데' 감독님이 만들었어. 일상 속 불안을 스릴러로 만드는 데 재능이 있는 분인데, 이번에도 도시 괴담 같은 소재를 다뤘어.
- 주연: 강하늘, 라미란, 서현우 배우가 나와.
- 러닝 타임: 거의 2시간이야.
- 구성: 영화가 딱 반으로 나뉘는데, 앞부분은 층간 소음 때문에 정신적으로 힘들어하는 이야기, 뒷부분은 층간 소음의 비밀을 파헤치는 이야기야. 그래서 앞부분은 블랙 코미디 느낌, 뒷부분은 스릴러 느낌을 느낄 수 있어.
영화가 말하는 세 가지 이야기
-
현실 공포 스릴러:
- 내 집 마련의 꿈을 이룬 우성이 층간 소음 때문에 괴로워하는 현실적인 이야기야.
- 우리가 사는 집이 과연 안전한 공간일까? 라는 질문을 던져.
- 부동산, 대출, 층간 소음 같은 현실적인 문제들이 영화 속에 그대로 담겨 있어서 더 무섭게 느껴질 수도 있어. 너무 현실적이어서 웃음이 나오는데, 그 뒤에 찝찝함이 남는 거지.
-
한국 사회 비판:
- 이 영화는 공포보다 현실이 더 무섭게 느껴질 정도로 지금 우리가 사는 한국 사회의 모습을 그대로 보여줘.
- '영끌족' 우성: 퇴직금, 보증금, 부모님 땅까지 다 팔아 겨우 집을 샀는데, 비트코인 투자 실패하고 투잡까지 뛰어야 하는 청년들의 절박함을 보여줘.
- 층간 소음 = 사회 문제: 층간 소음은 주거 불안, 정보 비대칭, 위험 감지 불가 같은 사회 구조적인 문제들을 상징해.
- 아파트의 계급: 아파트 층마다 다른 사람들의 상황을 보여주면서 계급 갈등을 나타내. 13층은 세금 못 내는 사람, 14층은 대출 많은 우성, 17층은 돈 많은 사람... 이렇게 아파트 구조로 계급을 보여주면서 갈등을 부추기는 거지.
- 결국 이 영화는 스릴러지만, 사회 고발극에 더 가깝다고 볼 수 있어. 공포의 대상은 귀신이 아니라 우리 사회 구조 그 자체인 거야.
-
엔딩 해석:
- 마지막 장면에서 우성이 다시 서울로 와서 집 문서를 들고 웃는 모습이 나오는데, 이게 여러 가지로 해석될 수 있어.
- 해석 1: 위기 극복 성공: 힘든 싸움을 이겨내고 드디어 자기 집을 지켰다는 성공의 의미일 수 있어.
- 해석 2: 서울 욕망 포기 못 함: 시골에 가서 편하게 살 수도 있었는데, 다시 서울로 돌아온 건 현대인들의 끝없는 욕망을 보여주는 걸 수도 있어.
- 해석 3: 집의 상징성: 현대 사회에서 집이 얼마나 중요한 상징이 되었는지를 보여주는 결말이야. '그래도 여기서 살아야 한다'는 한국 사회의 집착과 생존 본능을 담고 있지.
비슷한 영화
- 노이즈: 층간 소음을 소재로 하고 현실적인 공포를 다룬다는 점에서 비슷해.
- 기생충: 공간의 위계와 계급 갈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84제곱미터'와 비슷해. 아파트 층으로 계급을 보여주는 방식이 똑같지.
'84제곱미터' 어땠냐고?
- 좋았던 점: 이런 소재를 코믹하고 가볍게 다뤄서 부담 없이 볼 수 있었어. 공감할 수 있는 부분이 많았고, 웃긴 장면에서는 정말 많이 웃었어.
- 아쉬웠던 점: 영화가 끝으로 갈수록 좀 정신없고 산만하게 느껴졌어. '스마트폰을 떨어뜨렸을 뿐인데'나 '타겟' 같은 영화처럼 마무리가 좀 애매하다는 느낌을 받았어. 앞에 쌓아온 이야기를 좀 흐릿하게 만드는 느낌이랄까? 그래서 아주 좋다고만 말하기는 어려워. 중간 정도라고 생각하면 돼.
이런 사람에게 추천!
- 현실적인 이야기와 사회적인 메시지를 좋아하는 사람
- 부동산, 내 집 마련, 층간 소음 같은 한국 사회의 단면에 관심 있는 사람
이런 사람에게 비추천!
- 단순한 오락이나 명확한 해피 엔딩을 기대하는 사람
- '영끌'해서 집 샀거나, 집에서 층간 소음 때문에 스트레스받는 사람 (너무 현실적이어서 눈물 날 수도 있어. 내가 겪는 일 같아서 불쾌할 수도 있고.)
결론적으로, '84제곱미터'는 우리 사회의 현실을 날카롭게 꼬집는 흥미로운 영화지만, 마무리가 조금 아쉬운 작품이라고 할 수 있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