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정산 148만원 돌려받는 통장? 제발 주의하세요. (연금저축펀드, IRP 장단점 총정리)
연금저축, IRP? 2030 뿅아리들은 꼭 알아야 할 것들!
연금저축이랑 IRP, 유튜브나 블로그에서 좋다고 엄청 많이 들어봤지? 그래서 "나도 꼭 해야 되나?" 싶을 거야. 결론부터 말하면 활용하는 게 좋아! 나도 가입했고.
근데 우리 채널 보는 2030 뿅아리들한테는 꼭! 주의할 점을 알려주고 싶어서 이 영상을 만들었어. 누가 좋다고 다 따라 하지도 말고, 누가 안 좋다고 해서 겁먹지도 말고, 이 영상 보고 똑똑하게 판단하자!
연금저축 vs IRP, 뭐가 다를까?
-
연금저축 계좌 (연금저축 펀드):
- 다양한 펀드랑 ETF를 한 계좌에서 자유롭게 운용할 수 있어.
- 노후에 매달 생활비로 쓸 수 있게 설계된 통장이야.
- 누구나 가입 가능! (나이, 소득 제한 없어)
-
IRP (개인 퇴직 연금):
- 퇴직 후에 노후를 든든하게 보내기 위한 연금이야.
- 소득 있는 근로자나 사업자만 가입 가능! (연금저축이랑 다른 점!)
둘 다 55살 이후에 연금으로 받을 수 있고, 돈이 계속 굴러가면서 복리의 마법을 경험할 수 있지. 게다가 과세 이연 효과도 있어! 이건 세금 내는 걸 나중으로 미뤄주는 건데, 투자해서 생긴 수익에 대한 세금을 연금 받을 때까지 안 내도 되는 거야.
왜 꼭 하라고 할까? 바로 '세액공제' 때문!
연말정산 때 세액공제 혜택이 쏠쏠하거든.
- 납입 한도: 연금저축 + IRP 합쳐서 연 1,800만원까지 가능.
- 세액공제 한도:
- 연금저축: 연 600만원
- IRP: 연 900만원
- 합쳐서 연 900만원까지 세액공제 가능! (보통 연금저축 600만원 + IRP 300만원 이렇게 많이 넣어)
- 세액공제율: 소득에 따라 다른데, 최대 148만 5천원까지 세금 공제 받을 수 있어.
주의! 세액공제는 매년 납입해야 그 해에 혜택을 받을 수 있어. 그리고 내가 낼 세금보다 더 많이 공제받을 수는 없어. 예를 들어, 내가 낼 세금이 42만원인데 900만원을 다 납입해서 148만 5천원 공제받을 수 있다고 해도, 42만원까지만 공제되는 거지.
세액공제 받은 돈, 중간에 빼도 될까?
- 세액공제 받지 않은 원금: 언제든 빼도 세금 없어!
- 세액공제 받은 돈 + 수익금:
- 중간에 빼면 16.5% 기타 소득세로 뱉어내야 해. (세액공제 받은 금액만큼!)
- 특히 소득이 높은 사람들은 세액공제율이 높아서 더 손해 볼 수 있어.
그래서 연금저축은 정말 없어도 되는 돈으로 굴리는 게 맞아. 당장 집, 차, 결혼 자금 등 목돈이 필요한 2030한테는 오히려 독이 될 수도 있다는 거지.
그래서 2030 뿅아리들은 어떻게 해야 할까?
- 당장 나갈 돈이 많은 2030:
- 최소한의 돈, 없어도 되는 돈만 넣어!
- 목돈 마련이 더 급하다면 ISA 계좌를 활용하는 것도 좋아. ISA는 3년만 채우면 투자 수익에 대해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거든.
- 자금 여유가 좀 있는 2030:
- 세액공제 한도까지는 넣는 걸 추천해.
- 하지만 그때까지는 ISA 계좌를 먼저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야.
- ISA 만기 후 연금 계좌로 이전:
- ISA 만기 후 60일 이내에 IRP나 연금저축 계좌로 이체하면 10% 추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어! (최대 300만원까지!)
꼭 기억해!
연금저축이랑 IRP는 장기적으로 노후를 준비하는 데 좋은 상품이야. 하지만 사회초년생에게는 당장 필요한 돈이 더 중요할 수 있으니, 자신의 상황에 맞게 똑똑하게 판단하는 게 중요해.
무턱대고 남들 따라 하지 말고, 이 영상 보고 잘 알아보고 시작하자!